$\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층 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예측 모델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of Solid Oxide Fuel Cell Stack Using Deep Neural Network Technique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31 no.5, 2020년, pp.436 - 443  

이재윤 (한국기계연구원 청정연료발전연구실) ,  이스라엘 또레스 삐네다 (한국기계연구원 청정연료발전연구실) ,  잡 반 티엔 (한국기계연구원 청정연료발전연구실) ,  이동근 (한국기계연구원 청정연료발전연구실) ,  김영상 (한국기계연구원 청정연료발전연구실) ,  안국영 (한국기계연구원 청정연료발전연구실) ,  이영덕 (한국기계연구원 청정연료발전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of a solid oxide fuel cell stack has been developed using deep neural network technique, one of the machine learning methods. The machine learning has been received much interest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nergy system mo- deling.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예측 모델을 구축함에 있어서, 다양한 조건의 실험에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동시에 신뢰도가 높은 모델을 구축할 목적으로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기법을 도입하여 모델을 구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기계 학습 기법 중 심층 신경망(deep learning) 기법은 학습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비선형적인 연산을 여러 차례 수행하여 복잡하게 연관된 입력과 결과 간에서도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이는 기계 학습 방법이다.
  • 본 논문에서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성능 측정과 모델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면서도 높은 수준의 모델 예측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계 학습을 도입하였다. 사전에 수행된 실험 자료를 기반으로 1차원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기계 학습을 수행하였고, 실제 측정 자료와 학습으로 추정된 자료의 정성적, 정량적인 검증을 통해 기계 학습을 통한 진단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수행한 SOFC 스택 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합성곱 신경망 방식으로 모델을 학습하여 예측값을 얻을 수 있었고, 이를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기계 학습 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연속적인 값의 회귀이므로 오차는 평균 제곱 오차(mean square error)로 계산한다. 평균 제곱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가중치(weight)와 편향(bias)을 조절하는 것이 회귀 학습의 최적화이다.

가설 설정

  • 연료전지가 작동하며 발생하는 열을 스택 상부와 측면으로 배출하는 구조이나 핫 박스로 인해 열이 원활히 배출되지 않아, 상부 및 측면부에 고온이 형성된다. 스택을 대표하는 작동 온도는 스택의 중앙부의 온도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가정 하에 이를 추정하는 두 가지 방안을 도입하였다. 상기 설명한 7개 측정 온도를 단순 산술 평균한 온도를 평균 온도(average temperature, Taver), 연료와 유체의 유량을 고려하여 유입, 유출되는 유체의 평균 온도(입구와 출구의 평균)와 구조물에서 측정한 온도와 산술 평균을 낸 값을 대표 온도(representative temperature, Trept)로 정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장점은? 다양한 친환경 발전기술 중 연료전지는 전기 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성하여 질소 산화물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발전효율이 높아 차세대 발전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1,2). 특히,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는 다양한 연료전지 방식 중 가장 고온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비가역손실이 작아 가장 높은 발전효율을 보이며, 폐열의 온도 또한 높아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3). 최근 집중적인 연구개발4-6) 덕분에 현재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연구개발 단계를 벗어나 상용화 제품7,8)이 출시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사용자가 조절이 가능한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있어, 안정적인 제어 시스템과 고장 감지 및 진단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사용자가 조절이 가능한 변수는 전류 인가에 따른 연료 소비량, 공급하는 연료의 유량, 전류값과 연료 투입량으로 결정되는 연료 이용률 등이 있으며, 다양한 작동조건에 따라 스택의 운전 온도, 출력이 결정된다. 현재는 이러한 조건의 변화를 일일이 실험을 통해 측정하여 시간적, 금전적 비용이 크게 발생하고 있다.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가 고온에서 작동함으로 인해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현재는 이러한 조건의 변화를 일일이 실험을 통해 측정하여 시간적, 금전적 비용이 크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고온에서 작동하는 특성상 시동 및 정지 절차는 물론, 운전조건 변화에 따라서 성능이 변화하는 데에는 긴 안정화 시간이 필요하여 연료전지 성능이 예측된 값을 나타내는지 판단하고, 성능모델을 구축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T. S. Park, T. H. Nam, D. G. Lee, S. K. Lee, and J. S. Moon, "A study of deduction of evaluation items for design of SOFC stack safety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J. Korean Inst. Gas., Vol. 21, No. 6, 2017, pp. 81-87, doi: https://doi.org/10.7842/kigas.2017.21.6.81. 

  2. F. Ramadhani, M. A. Hussain, H. Mokhlis, and S. Hajimolana, "Optimization strategies for solid oxide fuel cell (SOFC) application: a literature survey", Renewable Sustainable Energy Rev., Vol. 76, 2017, pp. 460-484, doi: https://doi.org/10.1016/j.rser.2017.03.052. 

  3. A. Kirubakaran, S. Jain, and R. K. Nema, "A review on fuel cell technologies and power electronic interface", Renewable Sustainable Energy Rev., Vol. 13, No. 9, pp. 2430-2440, doi: https://doi.org/10.1016/j.rser.2009.04.004. 

  4. M. C. Williams, S. D. Vora, and G. J. Gary, "Worldwide status of solid oxide fuel cell technology" ECS Transactions, Vol. 96, No.1, 2020, pp. 1-10, doi: https://doi.org/10.1149/09601.0001ecst. 

  5. M. Yoda, S. Inoue, Y. Takuwa, K. Yasuhara, and M. Suzuki,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new residential SOFC CHP system", ECS transactions, Vol. 78, No.1, 2017, pp. 125-132, doi: https://doi.org/10.1149/07801.0125ecst. 

  6. W. M. Chen and H. N. Kim, "Energy, economic, and social impacts of a clean energy economic policy: fuel cells deployment in Delaware", Energy Policy, Vol. 144, 2020, pp. 111617, doi: https://doi.org/10.1016/j.enpol.2020.111617. 

  7. M. Noponen, P. Torri, J. Goos, J. Puranen, H. Kaar, S. Pylypko, and E. Ounpuu, "Elcogen-next generation solid oxide cell and stack technology", ECS Transactions, Vol. 91, No. 1, 2019, pp. 91-97, doi: https://doi.org/10.1149/09101.0091ecst. 

  8. Y. S. Kim, Y. D. Lee, and K. Y. Ahn, "System integration and proof-of-concept test results of SOFC-engine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Applied Energy, Vol. 277, 2020, 115542, doi: https://doi.org/10.1016/j.apenergy.2020.115542. 

  9. S. Malek, F. Melgani, and Y. Bazi, "One-dimension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spectroscopic signal regression", J. Chemom., Vol. 32, No. 5, 2018, pp. e2977, doi: https://doi.org/10.1002/cem.2977. 

  10. J. M. Jo, "Effectiveness of normalization pre-processing of big data to the machine learning performanc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4, No. 3, 2019, pp. 547-552, doi: https://doi.org/10.13067/JKIECS.2019.14.3.547. 

  11. R. Ma, T. Yang, E. Breaz, Z. Li, P. Briois, and F. Gao, "Data-driven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degradation predication through deep learning method", Applied Energy, Vol. 231, 2018, pp. 102-115, doi: https://doi.org/10.1016/j.apenergy.2018.09.111. 

  12. Y. H. Jang, J. Y. Kim, and S. K. Oh, "A study on information data segmentation method using optimization algorith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28, No. 4, 2018, pp. 321-327, doi: https://doi.org/10.5391/JKIIS.2018.28.4.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