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양이에서 포도막염을 동반한 전안방 섬유소성 종괴의 내과적 치료
Medical Management of an Anterior Chamber Fibrinous Mass Accompanied by Uveitis in 3 Cats 원문보기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37 no.5, 2020년, pp.286 - 291  

강선미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임상수의학 및 수의과학연구소) ,  서강문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임상수의학 및 수의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15-year-old castrated male Persian (Case 1), an 1.5-year-old castrated male Bengal (Case 2), and an 1.5-year-old spayed female Russian Blue (Case 3) cats were presented with iris-color change and suspicious anterior chamber mass. Complete ophthalmic examination revealed a vascularized or blood t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보고에서는 고양이의 안구에 발생한, 포도막염을 동반한 전안방의 섬유소성 종괴가 내과적인 치료만으로 성공적으로 소실된 경우를 소개하고 있다. 본 3마리 고양이의 전안방 내 섬유소성 종괴는 FIP 감염증 또는 전신 종양에 동반하여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 림프육종, 고양이안육종 등은 전형적으로 분홍색-흰색을 띄는 전안방 내 종괴로 관찰되며, 그 양상이 포도막염으로 인한 섬유소 덩이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다(5,9). 본 증례보고에서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 포도막염을 동반하는 전안방의 섬유소성 종괴 증례를 소개하면서 그 치료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전신 상태가 병적이거나 노령의 고양이 등 마취가 어려운 환자에서, 심각한 포도막염 및 복합증이 병발된 홍채모양체 종괴 일지라도 안구적출 전내과적 치료 시도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증례보고에서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 포도막염을 동반하는 전안방의 섬유소성 종괴 증례를 소개하면서 그 치료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전신 상태가 병적이거나 노령의 고양이 등 마취가 어려운 환자에서, 심각한 포도막염 및 복합증이 병발된 홍채모양체 종괴 일지라도 안구적출 전내과적 치료 시도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구 내 종양의 특징은 무엇인가? 안구 내 종양은 난치성 포도막염, 안구 내 출혈, 속발성 녹내장 등과 병발하여, 시력 예후에 영향을 주고, 통증을 유발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안과 질환이다(5). 개의 포도막 종양이 대개 전이 가능성이 낮은 양성 종양인데 비해(1,4), 고양이의 포도막 종양은 국소 침습성과 전신 전이율이 높은 악성 종양인 경우가 많아 조기 진단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9).
개와 비교하여 고양이에게 발생되는 안구 내 종양에 대한 관리나 치료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안구 내 종양은 난치성 포도막염, 안구 내 출혈, 속발성 녹내장 등과 병발하여, 시력 예후에 영향을 주고, 통증을 유발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안과 질환이다(5). 개의 포도막 종양이 대개 전이 가능성이 낮은 양성 종양인데 비해(1,4), 고양이의 포도막 종양은 국소 침습성과 전신 전이율이 높은 악성 종양인 경우가 많아 조기 진단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9). 안구 내 종양을 조기에 진단하고, 적극적인 종양 절제술인 안구적출 등의 치료법을 통해 환자의 생명을 연장할 수 있다(6).
고양이의 원발성 포도막 종양에는 무엇이 있는가? 고양이의 포도막 종양은 원발성과 속발성 종양 모두 발생하는데, 이때 원발성 종양의 경우라도 국소 침습성과 전신 전이율이 높은 악성 종양인 경우가 많아, 종양을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5,9). 고양이의 원발성 포도막 종양은 미만성 홍채 흑색종(feline diffuse iridal melanoma), 고양이안육종(feline ocular sarcoma), 모양체 선종 및 선암종(primary ciliary body adenomas and adenocarcinoma)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고양이에서 전이성 포도막 종양은 림프육종(lymphosarcoma)이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5), 선암종, 혈관육종(hemangiosarcoma) 등의 발생이 보고되어 왔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Dubielzig RR, Ketring KL, McLellan GJ, Albert DM. The uvea. In: Veterinary Ocular Pathology A Comparative Review, 1st ed. Edinburgh: Saunders Elsevier. 2010: 245-322. 

  2. Ettinger SN. Principles of treatment for feline lymphoma. Clin Tech Small Anim Pract 2003; 18: 98-102. 

  3. Gould D, Papasouliotis K. Clinical microbiology and parasitology. In: Veterinary Ophthalmology, 5th ed. Iowa: Blackwell Publishing Ltd. 2013: 300-350. 

  4. Kang S, Park S, Kwak J, Seo K. Diagnosis of an asymptomatic iridociliary tumor using ultrasound biomicroscopy in a dog. J Vet Clin 2016; 33: 65-69. 

  5. Miller PE. Uvea. In: Slatter's Fundamentals of Veterinary Ophthalmology, 5th ed. Missouri: Elsevier Saunders. 2013: 220-246. 

  6. Nam T, Kang S, Park S, Kwak J, Park E, Lim J, Jeong S, Seo K. Feline diffuse iris melanoma in a cat. J Vet Clin 2016; 33: 225-227. 

  7. Ota-Kuroki J, Ragsdale JM, Bawa B, Wakamatsu N, Kuroki K. Intraocular and periocular lymphoma in dogs and cats: a retrospective review of 21 cases (2001-2012). Vet Ophthalmol 2014; 17: 389-396. 

  8. Peiffer RL Jr, Wilcock BP. Histopathologic study of uveitis in cats: 139 cases (1978-1988). J Am Vet Med Assoc 1991; 198: 135-138. 

  9. Stiles J. Feline ophthalmology. In: Veterinary Ophthalmology, 5th ed. Iowa: Blackwell Publishing Ltd. 2013: 1477-1559. 

  10. Wiggans KT, Skorupski KA, Reilly CM, Frazier SA, Dubielzig RR, Maggs DJ. Presumed solitary intraocular or conjunctival lymphoma in dogs and cats: 9 cases (1985-2013). J Am Vet Med Assoc 2014; 244: 460-4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