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LED 광원에 따른 미세조류 Haematococcus pluvialis의 성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Microalgae Haematococcus pluvialis by LED Light Sour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0, 2020년, pp.64 - 71  

이건우 (선문대학교 나노과학과) ,  김송이 (선문대학교 식품과학과) ,  유용진 (선문대학교 나노과학과) ,  이영복 (선문대학교 나노과학과) ,  김진우 (선문대학교 식품과학과) ,  김호섭 (선문대학교 나노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Haematococcus pluvialis의 성장에 미치는 배양 배지와 광원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제한 성분 배지인 Modified Bold's Basal Medium (MBBM) 와 상업용 액체 비료 배지인 Neo, 그리고 파장이 서로 다른 7개의 광원을 사용하여 H. pluvialis를 39일 동안 배양하고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한 성분 배지인 MBBM에서 H. pluvialis의 성장은 fluorescent light 광원에서 세포 성장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blue+red LED에서 세포 성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상업용 배지인 Neo에서 H. pluvialis의 성장은 fluorescent light 광원에서 세포성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lue LED에서는 세포 성장이 가장 낮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MBBM 배지가 Neo 배지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MBBM 배지를 이용하여 fluorescent light에서 성장한 미세조류는 본 연구에서 가장 우수한 세포 성장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차대사산물 생산을 위한 H. pluvialis 배양에서 배지, 광원과 광량을 최적화한 것으로 미세조류 대량 배양에 기초 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culture media and light sources on the growth of microalgae Haematococuus pluvialis. Limited ingredient medium, Modified Bold's Basic Medium (MBBM), commercial liquid fertilizer medium Neo, and seven different light sources with different wavelengths were used...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아스타잔틴 고생산 균주로 알려진 H. pluvialis 성장 증대를 위해 미세조류 배양용 최적화 배지인 Modified Bold’s Basal Medium (MBBM) 배지와 상업용 액체 비료 배지인 Neo 배지를 이용하여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조류란? 미세조류(Microalgae)는 광합성을 하는 수생 미생물로서 세계적으로 25,000여 종이 있으며, 한국에는 1,300여 종이 존재하며 건강 보조제품, 이산화탄소 고정, 폐수처리와 대체에너지 생산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1-4].
본 연구에서 아스타잔틴 고생산 균주로 알려진 H. pluvialis의 배양에 사용하기 위해 선정한 7가지 광원은? pluvialis 성장 증대를 위해 미세조류 배양용 최적화 배지인 Modified Bold’s Basal Medium (MBBM) 배지와 상업용 액체 비료 배지인 Neo 배지를 이용하여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비교하였다. 배양에 사용한 7가지의 광원으로 White LED (W12), Blue+Red (Blue와 Red 광원의 1:2 혼합, BR12), Blue LED (B450), Red1 LED (R640), Red2 LED (R660), Infra red LED (R741), Fluorescent light (F.L)을 선정하였으며, 배양에 필수인 광원과 배지 조성 변화에 따른 H. pluvialis의 성장을 흡광도와 건조세포중량을 통해 비교 하였다.
미세조류의 β-카로틴 함량을 증진할 수 있는 경우는? 그리고 Skeletonema sp.의 경우 LED 단일 파장인 청색 파장(450 nm)에서 높은 세포 성장을보였으며 Chlorella vulgaris의 경우 적색 파장(650 nm)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보인다고 알려졌으며[7], Dunaliella salina의 경우 LED 단일 파장인 청색 파장(470 nm)과 적색 파장(660 nm)의 비율이 1:3의 조건에서 세포 성장이 증진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단일 LED 파장인 적색 파장(660 nm)을 이용해 배양한 경우에 β-카로틴의 함량을 증진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8]. 또한, 세포 내 지질 함량이 높아 바이오디젤 생산 우수 종으로 알려진 Botryococcus braunii의 경우 LED 단일 파장인 적색 파장(660 nm), 청색 파장(470 nm) 그리고 녹색 파장(525 nm)에 따라서 세포 내 지질 및 탄수화물의 함량에 변화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J. H. Kim, C. M. Choi, W. I, Kim, J. S. Lee, G. B. Lee, "Application of microalgae for managing agricultural water qual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ol.26, No.1, pp.7-16, Mar. 2007. DOI: https://doi.org/10.5338/KJEA.2007.26.1.007 

  2. S. P. Choi, S. J. Sim, "Microalgal bioconversion to organic resources form $CO_2$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Vol.15, No.2, pp.11-24, Apr. 2012. 

  3. H. M. Park, S. D. Lee, "The Effet of $CO_2$ fixation for microalgae based on $CO_2$ concentration and flow rate.",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20, No.4, pp.363-369, Nov. 2018. DOI: https://doi.org/10.17663/JWR.2018.20.4.363 

  4. Y. J. Yoo, G. W. Lee, D. H. Baek, J. W. Kim, H. S. Kim, "Growth Evaluation of Scenedesmus obliquus Microalgae Using Raman Spectroscop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1, No.5, pp.223-229,May. 2020. DOI: https://doi.org/10.5762/KAIS.2020.21.5.223 

  5. H. J. Park, E. J. Jin, T. M. Jung, H. Joo, J. H. Le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photosynthetic microalgae Nannochloropsis oculata.",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ol.21, No.6, pp.659-663, Dec. 2010. 

  6. D. G. Kim, Y. E. Choi, "Microalgae cultivation using LED light.",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rch, Vol.52, No.1, pp.8-16, Feb. 2014. DOI: https://doi.org/10.9713/kcer.2014.52.1.8 

  7. S. J. Oh, H. K. Kwon, J. Y. Jeon, H. S. Yang, "Effect of monochromatic light emitting diode on the growth of four microalgae species (Chlorella vulgaris, Nitzschia sp., Phaeodactylum tricornutum, Skeletonema s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21, No.1, pp.1-8, Feb. 2015. DOI: http://dx.doi.org/10.7837/kosomes.2015.21.1.001 

  8. W. Fu, O. Guomundsson, G. Paglia, G. Herjolfsson, O. S. Andresson, "Enhancement of carotenoid biosynthesis in the green microalga Dunaliella salina with light-emitting diodes and adaptive laboratory evolution",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97, No.6, pp.2395-2403, Mar. 2013. DOI: https://doi.org/10.1007/s00253-012-4502-5 

  9. M. Baba, F. Kikuta, I. Suzuki, M. M. Watanabe, Y. Shiraiwa, "Wavelength specificity of growth, photosynthesis, and hydrocabon production in the oil-producing green alga Botryococcus braunii.", Bioresource Technology, Vol.109, pp.266-270, Apr. 2012. DOI: https://doi.org/10.1016/j.biortech.2011.05.059 

  10. D. S. Putri, S. Alaa, "The growth comparison of Haematococcus pluvialis in two different medium.", Biota, Vol.12, No.2, pp.90-97, Dec. 2019. DOI: https://doi.org/10.20414/jb.v12i2.202 

  11. S. Y. Kim, S. J. Jung, H. S. Kim, D. H. Gam, J. W. Kim,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astaxanthin from haematococcus pluvialis",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Vol.34, No.4, pp.346-351 Dec. 2019. DOI: http://dx.doi.org/10.7841/ksbbj.2019.34.4.346 

  12. R. C. Starr, J. A. Zeikus, "UTEX - The culture collection of algae at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993 list of cultures.", Journal of Phycology, Vol.29, No.s2, pp.1-106, Apr. 1993.. DOI:https://doi.org/10.1111/j.0022-3646.1993.00001.x 

  13. S. J. Joo, H. J. Hwang, S. Zhang, S. J. Hwang, "Effects of light condition in the continuous mass cultivation of microalgae scenedesmus dimorphus",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 Vol.29, No.3, pp.319-323, Jun. 2015. DOI: https://doi.org/10.11001/jksww.2015.29.3.319 

  14. S. J. Joo, S. Zhang, K. J. Choi, S. M. Lee, S. J. Hwang, "Effects of sodium bicarbonate as an inorganic carbon source on the growth of Scenedesmus dimorphu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stewater, Vol.28, No.5, pp.555-560, Oct. 2014. DOI: http://dx.doi.org/10.11001/jksww.2014.28.5.555 

  15. Z. H. Kim, Enhanced production of astaxanthin by Haematococcus pluvialis using effective illumination methods,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pp.32-33, Feb. 2006. 

  16. T. Katsuda, A. Lababpour, K. Shimahara, S. Katoh, "Astaxanthin production by Haematococcus pluvialis under illumination with LEDs.",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Vol.35, No.1, pp.81-86, Jul. 2004. DOI: https://doi.org/10.1016/j.enzmictec.2004.03.016 

  17. N. C. Choi, B. J. Kim, K. H. Cho, S. J. Lee, C. Y. Park, "An economic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low cost medium for Spirulina sp. mass production.", J. of Advanced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9, No.3, pp.267-273, Sep. 2016. 

  18. E. J. Kim, W. S. Jung, S. H. Kim, H. G. Choi, S. J. Han, "Enhancing lipid production in the arctic microalga Chlamydomonas sp. KNM0029C by using statistical optimization of medium components",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Vol.34, No.3, pp.173-177, Sep. 2019. DOI:http://dx.doi.org/10.7841/ksbbj.2019.34.3.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