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축형 종결 욕구의 타당화
Validation of the Need for Closure Scale-Short For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0, 2020년, pp.166 - 173  

김은경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종결 욕구를 측정하는 단축형 종결 욕구 척도(NFCS-SF: Need for Closure Scale-Short Form)를 타당화하기 위함이었다. 참가자들은 인지적 종결 욕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우울과 불안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2017년 5월~7월 동안 수집된 536개의 자료 중, 총 495명의 참가자의 자료를 SPSS 20.0과 M-Plu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하위 영역에서 3문항을 선정하여 15문항의 NFCS-SF를 구성하였다. 둘째, NFCS-SF의 내적 일치도가 양호했다(연구 1, Cronbach's α=.85; 연구 2, Cronbach's α=.84).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5요인 구조가 지지되었다(χ2(80)=178.34, p<.001, CFI=.87, TLI=.83, RMSEA=.07, SRMR=.08). 넷째, NFCS-SF는 NFCS(r=.86, p<.01) 뿐 아니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r=.58, p<.01), 우울(r=.16, p<.05)과 불안(상태 불안, r=.31, p<.01; 특성 불안, r=.29, p<.01) 척도와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토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alidate the Need for Closure Scale-Short Form (NFCS-SF), which measures the need for cognitive closur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need for cognitive closure, intolerance of uncertainty,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536 data collected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인지적 종결 욕구를 효율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단축형 종결 욕구 척도를 구성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한 요약과 논의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지적 종결 욕구가 높은 사람의 특징은? 인지적 종결 욕구(Need for Cognitive Closure)는 정보처리와 의사결정에 대한 동기와 관련되는 것으로,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바라고 모호함을 회피하고 싶은 욕구이다[1]. 따라서 인지적 종결 욕구가 높은 사람들은 모호한 상황에서 얻어진 답이 모호함을 감소시켜 준다고 여겨지면 정답이 아닐지라도 거기에서 더 이상의 정보 탐색을 멈추고 그것을 최종 해결책으로 결론짓는다. 뿐만 아니라 모호함을 해소시켜 준다면 부정적인 소식일지라도 무소식 보다 선호한다.
인지적 종결 욕구는 무엇인가? 인지적 종결 욕구(Need for Cognitive Closure)는 정보처리와 의사결정에 대한 동기와 관련되는 것으로,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바라고 모호함을 회피하고 싶은 욕구이다[1]. 따라서 인지적 종결 욕구가 높은 사람들은 모호한 상황에서 얻어진 답이 모호함을 감소시켜 준다고 여겨지면 정답이 아닐지라도 거기에서 더 이상의 정보 탐색을 멈추고 그것을 최종 해결책으로 결론짓는다.
국내에서 NFCS의 타당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채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무슨 작업이 필요가 되는가? 더욱이 국내에서는 NFCS의 타당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채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표본에 적합한 단축형 NFCS를 구성하고 타당화 하는 작업이 필요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 W. Kruglanski, D. M. Webster, "Motivated closing of mind: Seizing and freezing", Psychological Review, Vol.103, pp.263-283, 1996. DOI: https://doi.org/10.1037/0033-295X.103.2.263 

  2. D. C. Houghton, R. Grewal, "Please, let's get an answer-any answer: Need for consumer cognitive closure" Psychology & Marketing, Vol.17, No.11, pp.911-934, 2000. DOI: https://doi.org/10.1002/1520-6793(200011)17:11 3.0.CO;2-4 

  3. A. W. Webster, D. M. Kruglanski, "Individual differences in need for cognitive clo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7, pp.261- 271, 1994.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67.6.1049 

  4. A. Roets, A. Van Hiel,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a brief, 15-item version of the Need for Closure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 50, pp.90-94, 2011. DOI: https://doi.org/10.1016/j.paid.2010.09.004 

  5. H. Atak, M. Syed, F. Cok, "Examination of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Need for Closure Scale-Short Form among Turkish college students", Archives of Neuropsychiatry, Vol.54, No.2, pp. 175-182, 2017. DOI: https://doi.org/10.5152/npa.2017.12707 

  6. N. O. Rosen, E. Ivanova, B. Knauper, "Differentiating intolerance of uncertainty from three related but distinct constructs", Anxiety and Stress Coping, Vol.27, pp.55-73, 2014. DOI: https://doi.org/10.1080/10615806.2013.815743 

  7. A. Roets, B. Soetens, "Need and ability to achieve closure: Relationships with symptoms of psychopatholog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46, pp.60-65, 2010. DOI: https://doi.org/10.1016/j.paid.2009.09.013 

  8. R. McKay, R. Langdon, M. Coltheart, "Need for closure, jumping to conclusions, and decisiveness in delusion-prone individual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194, No.6, pp.422-426, 2006. DOI: https://doi.org/10.1097/00005053-200201000-00007 

  9. A. L. Comrey, H. B. Lee, A first course in factor analysi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2. 

  10. J. Nunnally, I. Burstein,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1994. 

  11. S. H. Kim, The Relationship of Fear of Negative and Positive Evaluati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Anx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p.26, 2010. 

  12. M. J. Cho, K. H. Kim,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Vol.32, No.3, pp.381-399, 1993. 

  13. D. W. Hahn, C. H. Lee, K. K. Chon, "Korean adaptation of Spielberger's STAI(K-STAI)",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 pp.1-14, 1996. 

  14. L. K. Muthen, B. O. Muthen, Mplus 2.14 [Computer software]. Los Angeles, Author, 2002. 

  15. L. Hu,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pp.1-55, 1999. DOI: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16. D. Hooper, J. Coughlan, M. R. Mullen,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Guidelines for determining model fit", Electronic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Method, Vol.6, pp.53-60, 2008. DOI: https://doi.org/10.21427/D7CF7R 

  17. M. Mikulincer, Human learned helplessness: A coping perspective. New York, Plenum, 1994. 

  18. S. Nolen-Hoeksema, "The role of rumination in depressive disorders and mixed anxiety/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9, pp.504-551, 2002. DOI: https://doi.org/10.1037/0021-843X.109.3.504 

  19. R. McKay, R. Langdon, M. Coltheart, "Jumping to delusions? Paranoia, probabilistic reasoning, and need for closure", Cognitive Neuropsychiatry, Vol.12, No.4, pp.362-376, 2007. DOI: https://doi.org/10.1080/13546800701203769 

  20. D. Freeman, P. A. Garety, E. Kuipers, S. Colbert, S. Jolley, D. Fowler, Delusions and decision-making style: Use of the Need for Closure Scale,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4, No.8, pp.1147-1158, 2006. DOI: https://doi.org/10.1016/j.brat.2005.09.002 

  21. S. M. Colbert, E. R. Peters, P. A. Garety, "Need for closure and anxiety in delusions: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in early psychosi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4, No.8, pp.1385-1396, 2006. DOI: https://doi.org/10.1016/j.brat.2005.06.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