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 수분 함량에 따른 너도개미자리, 벼룩이울타리, 산괴불주머니의 노지 생육
Growth of Minuartia laricina, Arenaria juncea, and Corydalis speciose in Field with Various Soil Water Contents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9 no.4, 2020년, pp.344 - 353  

길민 (배재대학교 원예산림학과 대학원) ,  권혁환 (배재대학교 원예산림학과 대학원) ,  권영현 (배재대학교 원예산림학과 대학원) ,  정미진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김상용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이용하 (배재대학교 원예산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자생식물은 관상적가치 뿐만 아니라 환경 적응력도 뛰어나므로 정원 식물로 활용가능하다. 토양의 적절한 용적수분함량(volumetric water content, VWC)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환경적 요인이 통제되는 온실 환경 조건에서 수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정원 식재를 고려할 때 빈번한 강우가 발생하는 실외 조건에서 자동 관수 시스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노지 환경에서 너도개미자리, 벼룩이 울타리 및 산괴불주머니의 생장에 적합한 VWC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실험에 사용한 토양은 자연풍화 마사토를 이용했으며, FDR 방식의 토양 수분 센서데이터로거를 사용하여 0.15, 0.20, 0.25, 0.30 ㎥·m-3 수준의 VWC를 유지시켰다. 벼룩이울타리는 VWC 처리간에 생장 및 항산화 효소 활성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단지 토양 수분 함량이 가장 높았던VWC 0.30 ㎥·m-3 처리에서 생존율이 낮았다. 물 사용 효율을 고려하면 벼룩이울타리는 VWC 0.15-0.20 ㎥·m-3 수준이 재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너도개미자리는 VWC 조건이 낮을수록 생장량이 높았다. 실외의 빈번한 강우로 인해 관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VWC 0.15 ㎥·m-3 처리에서도 식물 부피 및 생존율이 높았다. 산괴불주머니는 초장, 줄기 수, 측지 수, 생물중 및 건물중이 VWC 0.25 ㎥·m-3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종합하면, 너도개미자리는 VWC가 낮은 환경에서도 관리가 가능한 식물종이며 벼룩이울타리와 산괴불주머니는 너도개미자리보다 VWC를 높게 유지하되 과도한 수분 공급은 피해야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nts native in Korea have not only ornamental values but also have excellent environmental adaptability, so they can be used as garden plants. Studies on proper volumetric water content (VWC) of substrates have been reported, but many have been conducted in glasshouse conditions where environmen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외 환경에서 토양수분을 제어하는 것이 실내 환경 보다 정밀하지 않지만 정원에 자동관수시스템을 도입하고 자생식물의 적정 수분 관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는 실외 환경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험은 노지 환경에서 자동관수시스템을 이용하여 토양수분을 제어하고 너도개미자리, 벼룩이울타리, 산괴불주머니의 생장 반응을 조사하여 각 식물종의 내건성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았을 때 실험에 사용한 토양으로 피트모스, 코코피트 등 수분보유력이 좋은 원예상토를 사용하였고 수분보유력과 유기물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마사토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 정원 식재를 고려할 때 빈번한 강우가 발생하는 실외 조건에서 자동 관수 시스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노지 환경에서 너도개미자리, 벼룩이 울타리 및 산괴불주머니의 생장에 적합한 VWC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실험에 사용한 토양은 자연풍화 마사토를 이용했으며, FDR 방식의 토양 수분 센서 및 데이터로거를 사용하여 0.
  • 실험에 사용한 FDR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토양수분센서는 토양 수분 함량을 부피비로 나타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분함량과 토양수분 장력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수분보유곡선(water retention curve)을 조사하였다. Hyprop(UMS, Munich, Germany)를 이용하여 실험 포지 토양의 토양 수분 장력과 VWC의 연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극적인 야생화의 산업화가 필요한 이유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야생화를 상업적으로 재배하는 농가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야생화 시장 규모 또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Jeon과 Jeong, 2012).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들은 세계적인 신화훼작물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적극적인 야생화의 산업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토양 수분 조건은 식물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정원에 식물이 한번 식재 되면 관리 특성상 식물을 쉽게 옮길 수 없기 때문에 식물의 내환경성에 따라 적절하게 식재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중 토양 수분 조건은 식물 생장에 큰 영향을 주는데(Boyer, 1982), 적절한 수분 관리는 식물의 관상 가치를 결정한다. 식물 재배에서 효율적인 수분 관리를 위한 다양한 관수 시스템이 연구되어 왔는데, 그 중 토양수분센서를 이용한 관수시스템은 토양수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일정한 토양수분함량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Burnett와 van Iersel, 2008; Nemali와 van Iersel, 2006).
수분보유력과 유기물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마사토를 국내 자생식물 내건성 평가를 위한 실험에서 사용한 이유는? 마사토에서 큰조롱(Cynanchum wilfordii)의 유묘생장이 원예상토의 단용 또는 혼용 배지보다 좋지 않았던 것과 같이(Lee 등, 2013), 마사토는 배수성이 좋지만 그만큼 보수력이 좋지 않아 실험에 많이 활용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실제 정원에 자생 식물이 식재되는 상황에서는 자연 풍화된 마사토를 많이 사용할 것이 예상되어 본 연구에서는 마사토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i T., C. Li, F. Ma, F. Feng, and H. Shu. 2010. Responses of growth and antioxidant system to root-zone hypoxia stress in two Malus species. Plant and Soil. 327:95-105. 

  2. Bayer A., I. Mahbub, M. Chappell, J. Ruter, and M. W. van Iersel. 2013. Water use and growth of Hibiscus acetosella ‘Panama Red’grown with a soil moisture sensor-controlled irrigation system. HortSci. 48:980-987. 

  3. Boyer J.S. 1982. Plant productivity and environment. Science. 218:443-448. 

  4. Burnett S.E. and M. W. van Iersel. 2008. Morphology and irrigation efficiency of Gaura lindheimeri grown with capacitance sensor-controlled irrigation. HortSci. 43:1555-1560. 

  5. De Boodt M. and O. Verdonck. 1972.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ubstrates in horticulture. Acta Hortic. 26:37-44. 

  6. Dhindsa R. S., P. Plumb-Dhindsa, and T. A. Thorpe. 1981. Leaf senescence: correlated with increased levels of membrane permeability and lipid peroxidation, and decreased levels of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J. Exp. Bot. 32:93-101. 

  7. Esterbauer H., and K. H. Cheeseman. 1990. Determination of aldehydic lipid peroxidation products: malonaldehyde and 4-hydroxynonenal. p. 407-421 Methods in Enzymology. Elsevier. 

  8. FAO. 1979. Yield response to water.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33. Rome: FAO, p. 193. 

  9. Fridovich, I. 1975. Superoxide dismutases. Ann. Rev. Biochem. 44:147-159. 

  10. Gaidi G., T. Miyamoto, and M. A. Lacaille-Dubois. 2005. An unusual new sulfated triterpene saponin from Arenaria juncea. Die Pharmazie. 60:635-637. 

  11. Jeon, I.-J. and J.-H. Jeong. 2012. Crop and cultivation status of native plants in Korea. Food Pres. Process. Ind. 11:3-6. 

  12. KFS. 2017.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Available via https://www.nature.go.kr Accessed 31 July 2020. 

  13. KFS. 2018. Production of forest products. Available via https://www.forest.go.kr/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3137117&bbsIdBBSMSTR_1016&pageIndex1&pageUnit10&searchtitletitle&searchcont&searchkey&searchwriter&searchdept&searchWrd&ctgryLrclsCTGRY071&ctgryMdcls&ctgrySmcls&ntcStartDt&ntcEndDt&orgId&mnNKFS_04_05_10 Accessed 31 July 2020. 

  14. Kim, J., M. W. van Iersel, and S. E. Burnett. 2011. Estimating daily water use of two petunia cultivars based on plant and environmental factors. HortSci. 46:1287-1293. 

  15. Kim, T. 2009. Relationship of the tourist'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a local festival. Master Diss., Kangwon Univ. 

  16. Lea-Cox J. D., G. F. Kantor, and A. G. Ristvey. 2008. Using wireless sensor technology to schedule irrigations and minimize water use in nursery and greenhouse production systems. Comb. Proc. Int. Pl. Prop. Soc. 58:512-518. 

  17. Lee S.G., W. W. Cho, J. J. Ku, and H. D. Kang. 2013. Effects of seed pre-treatment and seedling culture system on germination and subsequent growth of Cynanchum wilfordii. Korean J. Plant Res. 26:75-83. 

  18. Metwally A., I. Finkemeier, M. Georgi, and K.-J. Dietz. 2003. Salicylic acid alleviates the cadmium toxicity in barley seedlings. Plant Physiol. 132:272-281. 

  19. Nam S., D.-H. Lee, and J. Kim. 2018. Effect of substrate volumetric water content on performance of Ardisia pusilla grown in indoor conditions. Flower Res. J. 26:124-131. 

  20. Nemali K. S., and M. W. van Iersel. 2006. An automated system for controlling drought stress and irrigation in potted plants. Sci. Hortic. 110:292-297. 

  21. Pardossi A., L. Incrocci, G. Incrocci, F. Malorgio, P. Battista, L. Bacci, B. Rapi, P. Marzialetti, J. Hemming, J. Balendonck. 2009. Root zone sensors for irrigation management in intensive agriculture. Sensors, 9:2809-2835. 

  22. Rhie Y. H., S. Kang, D. C. Kim, and J. Kim. 2018. Production traits of garden mums subjected to various substrate water contents at a commercial production farm. Hortic. J. 87:389-394. 

  23. Shin U.S., S.J. Song, H.J. Oh, J.S. Lee, S.Y. Kim, and S.Y. Lee. 2018. Changes in vegetative growth and flowering of Minuartia laricina (L.) Mattf. under various shading rates. Proc. Kor. Soc. Hortic. Sci. Conf. p. 182. 

  24. Tian Z., F. Wang, W. Zhang, C. Liu, and X. Zhao. 2012. Antioxidant mechanism and lipid peroxidation patterns in leaves and petals of marigold in response to drought stress. Hortic. Environ. Biotechnol. 53:183-192. 

  25. van Iersel M., R. M. Seymour, M. Chappell, F. Watson, and S. Dove. 2009. Soil moisture sensor-based irrigation reduces water use and nutrient leaching in a commercial nursery. Proc. Southern Nursery Assn. Res. Conf. 54:17-21. 

  26. Yeon S. H., S. Y. Lee, and C. H. Lee. 2019. Cultivation factors for pot-plant production of Arenaria juncea M. Bieb. Proc. Plant Res. Soc. Kor. Conf. p. 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