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멜론(Cucumis melo L.) 수경재배 시 착과 절위, 적심 절위 및 과실 수확시기에 따른 멜론의 생육 및 품질 특성
Growth and Quality of Muskmelon (Cucumis melo L.) as Affected by Fruiting Node Order, Pinching Node Order and Harvest Time in Hydroponics Using Coir Substrate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9 no.4, 2020년, pp.406 - 413  

임미영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  최수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최경이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  김소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  정호정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멜론(Cucumis melo L.)의 코이어 배지 수경재배 시 고품질 과실을 생산하기 위한 적정 착과 절위, 적심 절위 및 수확 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코이어 배지 슬라브(100 × 20 × 10cm)에 3주를 정식하였다. 양액은 야마자키 멜론 표준액을 이용하였고, 급액 농도는 '초기-중기(과실 비대기)-후기'의 생육 단계별로 1.8-2.0-2.3dS·m-1 공급하였다. 착과 및 적심 절위 실험은 '피엠알달고나'와 '얼스아이비' 2품종을 이용하였다. 착과 절위 실험은 8-10, 11-13 및 14-15 마디에 각각 3처리하였다. 적심 절위 실험은 18, 21 및 24 마디에 각각 3처리하였다. 과실 수확시기 실험은 '피엠알달고나'와 '얼스크라운' 2품종을 이용하여 착과 45일, 50일, 55일 및 60일 후로 4처리하였다. '피엠알달고나' 품종에서 11-13마디 이상 착과 시, 엽폭28.2cm, 엽면적은 10,845㎠로 가장 컸다. 줄기 길이는 '얼스아이비' 품종에서 11-13마디 착과 시 147.6cm로 가장 길었다. 과중은 '얼스아이비' 품종에서 11-13마디 착과시 2.0kg으로 가장 컸다.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SSC)은 '피엠알달고나' 품종에서 8-10 마디 착과시 14.5°Brix, 24 마디 적심시 14.0°Brix로 각각 유의성 있게 가장 높았다. 착과 절위가 낮아질수록 SSC값이 증가하는 경향이 두 품종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피엠알달고나'와 '얼스크라운' 2품종 모두 착과 55-60일 후 수확된 과실의 SSC 값과 과중이 가장 우수하였다. 종합적으로 검토하면 대부분 SSC값은 착과 절위가 낮아지고 적심 절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고, 과중은 착과 절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착과 후 일수가 증가할수록 과실의 SSC값이 증가하였으며 다양한 품종에 대한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수경재배 시 멜론 품종 별로 특성을 잘 파악하여 착과 절위, 적심 절위 및 과실 수확시기를 설정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optimum fruiting node order, pinching node order, and harvesting time in hydroponics using coir substrates to produce high quality melon (Cucumis melo L.) fruit. Three plants per coir slab (100 × 20 × 10 cm) were planted for each treatment. Yamazak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멜론의 수경재배 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착과 절위, 적심 절위 및 과실 수확시기가 생육과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론은 어느 곳에서 재배되고 있는가? 멜론은 캔탈루프 멜론(Cucumis melo L. cantaloupe)을 포함하여 북유럽, 미주지역, 중국, 터키, 이란 등 100여 개 국가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는데 2018년에 생산량 2,700만 톤, 재배면적은 105만 ha에 이른다(Choi 등, 2019; FAO, 2020).
우리나라 멜론 수경재배 면적이 전체 멜론 재배면적의 1%에 불과한 이유는? 우리나라의 멜론 수경재배 면적은 2019년 13 ha로 전체 멜론 재배면적의 1%에 불과하다(MAFRA, 2019). 그것은 수경재배 시스템의 설치비용 부담과 재배기술의 미흡 등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Choi 등, 2019). 그러나 수경재배 시 연작 장해 예방과 시비, 관수 및 관리 작업의 생력화가 가능하므로 고품질의 안정적인 멜론 생산이 가능한 수경재배 기술 확립이 필요하다(Hwang 등, 1998).
멜론이 과실 수량이 크게 감소될 우려가 높은 이유는? 멜론은 대부분 토양 재배되고 있으며 토양 재배의 경우 덩굴쪼김병, 검은점뿌리썩음병, 역병 및 선충 등의 병해충 발생과 연작장해 발생이 심하여 과실 수량이 크게 감소될 우려가 높다(Lee 등, 2015). 우리나라의 멜론 수경재배 면적은 2019년 13 ha로 전체 멜론 재배면적의 1%에 불과하다(MAFRA,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 C.G., Y.H. Hwang, G.M. Shon, C.S. Lim, J.L. Cho, and B.R. Jeong. 2009. Effect of irrigation amount in rockwool and cocopeat substrates on growth and fruiting of sweet pepper during fruiting period. Kor. J. Hort. Sci. Technol 27:233-238 (in Korean). 

  2. Choi, S.H., M.Y. Lim, G.L. Choi, S.H. Kim, and H.J. Jeong. 2019. Growth and quality of two melon cultivars in hydroponics affected by mixing ratio of coir substrate and different irrigation amount on spring season.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8:376-387 (in Korean). 

  3. FAO. 2020. Crop statistics. Retrieved from http://www.fao.org/faostat/en/#data/QC. 

  4. Hwang, Y.H., K.H. Cho, G.W. Song, W.K. Shin, and B.R. Jeong. 1998. Effect of pinching and fruit setting, and planting density on fruit quality and yield of muskmelon cultured by deep flow technique. J. Bio. Fac. Env. 7: 219-225 (in Korean). 

  5. Kim, H.J., and Y.S. Kim. 2003. Effect of irrigation duration by integrated sol radiation on growth and water use efficiency of muskmelon grown in perlite culture. J. Kor. Soc. Hortic Sci. 44:146-151 (in Korean). 

  6. Kim, Y.H., B.H. Hwang, and J.K. Kim. 2007. Changes in soluble and transported sugars content and activity of their hydrolytic enzymes in muskmelon (Cucumis melo L.) fruit during development and senescence. Kor. J. Hort. Sci. Technol. 25:89-96 (in Korean). 

  7. Lee, S.W., and Z.H. Kim. 2003. Path-coefficient analysis of some characters affecting fruit sweetness in melon (Cucumis melo ssp.). J. Kor. Soc. Hortic Sci. 44:661-665 (in Korean). 

  8. Lee, T.I., C.S. Jeong, and K.C. Yoo. 1996. Patterns of sugar accumulation of muskmelon cultivars in relation to spring and fall cultivation. J. Kor. Soc. Hort. Sci. 37:746-750 (in Korean). 

  9. Lee, W.J., J.H. Lee, K.S. Jang, Y.H. Choi, H.T. Kim, and G.J. Choi. 2015. Development of efficient screening methods for melon plants resistant to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is. Kor. J. Hort. Sci. Technol. 33:70-82 (in Korean). 

  10. Lee, J.S., M.S. Chang, and C.S. Jeong. 2020. Changes in quality factors of 'Honey One' melon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 Kor. J. Hort. Sci. Technol. 38:249-262 (in Korean). 

  11. Li, X.R., W.H. Cho, C.S. Jeong, K.C. Yoo, and I.S. Kim. 2001. Effects of limited supply of nutrient solution during fruit ripening stage on growth and sugar content of musk melon fruits in ash ball culture. J. Kor. Soc. Hort. Sci. 42:259-263 (in Korean). 

  12. Lim, B.S., S.J. Hong, S.H. Oh, D.S. Chung, and K.H. Kim. 2010.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chilling injury and fruit quality of muskmelon. Kor. J. Hort. Sci. Technol. 28:248-253 (in Korean). 

  13. Lim, M.Y., S.H. Choi, H.J. Jeong, and G.L. Choi. 2020. Characteristics of domestic net type melon in hydroponic spring cultivars using coir substrates. Kor. J. Hort. Sci. Technol. 38:78-86 (in Korean). 

  14. MAFRA. 2019. Present status of greenhouse and vegetable production in 2018. Sejong, Korea. p. 48 (in Korean). 

  15. Oh, S.H., R. Bae, and S.K. Lee. 2011. Current status of the research on the postharvest technology of melon (Cucumis melo L.). Korean J. Food Preserv. 18:442-458 (in Korean). 

  16. RDA. 2012. Manual for agriculture investigation. Suwon, Korea 590-593. 

  17. Wu, H.C., L.F. Chan, M.L. Wei, and H.Y. Lu. 2010. A simple and inexpensive technique for estimating leaf surface area of muskmelon (Cucumis melo L.). J. Taiwan Agric. Res. 59:71-77. 

  18. Yamazaki, K. 1982. Soiless culture. Hakuyu Press, Tokyo, Japan. p. 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