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본 나사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물의 고정 방식에 따른 임플란트 고정체 치경부에 발생하는 변형율 비교분석
Analysis of implant strain value exerted using different screw tightening protocols in screw-retained 3-unit prostheses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8 no.4, 2020년, pp.321 - 327  

김상범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이두형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이청희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3본 나사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물의 나사 고정 방식에 따른 치경부에 발생하는 변형율을 측정하고 비교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2가지 종류의 임플란트(외부연결방식, 내부연결방식)를 각각 2개씩 4개 임플란트 고정체 경부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한 후, 각 종류의 아크릴릭 레진 모형 2개를 제작하였다. CAD-CAM을 이용하여 hex 및 nonhex 지대주를 제작하였고,(EH, ENH, IH& INH 군) 나사-시멘트 유지보철 개념으로 보철물을 비귀금속으로 제작하였다. 각 지대주를 10 Ncm 토크로 고정한 후, 보철물을 합착하였다. 나사를 3가지의 다른 방법으로 30 Ncm까지 고정한 다음, 5분 후 변형율을 측정한 후 평균비교 및 군간 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α = .05). 결과: 외부연결방식 군은 내부연결방식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변형율을 나타냈으며, EH군이 ENH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변형율을 나타내었으나 (P < .05), 나사 고정 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P > .05). IH군이 INH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변형율을 나타내었으며 IH군에서만 나사 고정 방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P < .05). 결론: 나사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물에서는 외부연결방식인 경우에는 큰 영향이 없으나, 내부연결방식에서는 보다 큰 변형율이 발생하고 나사 고정 방법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the strain value exerted on the cervical area using different screw tightening protocols in implant-supported, screw-retained 3-unit prostheses. Materials and methods: Strain gauges were attached to four implants: two external and two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21 하지만 나사 고정 시 발생하는 전하중은 임플란트 주위 골에 응력을 발생시켜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임플란트 연결고정성 보철물에서는 특히 더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래서 이번 실험에서는 가장 간단한 경우인 2개의 임플란트가 있는 3본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에서 나사 고정하는 방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응력을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여 그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런 실험의 전제 조건은 수동적 적합 가지는 보철물을 제작하는 것인데 주조에 의해서는 실질적으로 얻을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되어 나사-시멘트 유지 개념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채득된 모형에서 시편을 통상적으로 제작한 다음, 지대주를 10Ncm으로 고정한 후, 임플란트용 시멘트로 합착하여 사용하였다.
  • 따라서 본 실험의 목적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여 외부연결방식과 내부연결방식에서 각각 제작된 3본 나사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물을 3가지의 다른 나사 고정 방법으로 임플란트 고정체에 고정할 때 발생하는 변형율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플란트는 무엇을 위해 사용되는가? 임플란트는 부분적 또는 완전히 상실된 치열에서 구강 능력을 회복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임플란트는 초기 안정성 및 2차 안정성 과정을 거쳐 치조골과 골유착 되어 기능하기 때문에 골 유착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Wolff’s law에 따르면 적절한 부하에서는 건강한 골의 재형성이 일어난다고 한다.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 고정체에 제작된 보철물을 고정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 고정체에 제작된 보철물을 고정하는 방법에는 나사형 방법과 합착형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합착형 방법은 제작하기 쉽고 교합면에 나사구멍이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잔류시멘트가 치은 하방에 남을 수 있고 보철물을 다시 제거하여 수리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 고정체에 제작된 보철물을 고정하는 방법들의 장단점은?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 고정체에 제작된 보철물을 고정하는 방법에는 나사형 방법과 합착형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합착형 방법은 제작하기 쉽고 교합면에 나사구멍이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잔류시멘트가 치은 하방에 남을 수 있고 보철물을 다시 제거하여 수리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나사형 방법은 보철물을 정확하게 제작하여야 하고 교합면에 나사구멍이 있다는 단점이 있으나 제거하기가 쉬워서 사용하는 중에도 제거하여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Li J, Jansen JA, Walboomers XF, van den Beucken JJ. Mechanical aspects of dental implants and osseointegration: A narrative review. J Mech Behav Biomed Mater 2020;103:103574. 

  2. Nishioka RS, Nishioka LN, Abreu CW, de Vasconcellos LG, Balducci I. Machined and plastic copings in three-element prostheses with different types of implant-abutment joints: a strain gauge comparative analysis. J Appl Oral Sci 2010;18:225-30. 

  3. de Vasconcellos LG, Kojima AN, Nishioka RS, de Vasconcellos LM, Balducci I. Axial loads on implant-supported partial fixed prostheses for external and internal hex connections and machined and plastic copings: strain gauge analysis. J Oral Implantol 2015;41:149-54. 

  4. Asvanund P. A strain gauge analysis comparing external and internal implant-abutment connections. Implant Dent 2014;23:206-11. 

  5. Albrektsson T, Dahlin C, Jemt T, Sennerby L, Turri A, Wennerberg A. Is marginal bone loss around oral implants the result of a provoked foreign body reaction?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14;16:155-65. 

  6. Nishioka RS, de Vasconcellos LG, de Melo Nishioka LN. External hexagon and internal hexagon in straight and offset implant placement: strain gauge analysis. Implant Dent 2009;18:512-20. 

  7. Nissan J, Gross M, Shifman A, Assif D. Stress levels for wellfitting implant superstructures as a function of tightening force levels, tightening sequence, and different operators. J Prosth Dent 2001;86:20-3. 

  8. Watanabe F, Uno I, Hata Y, Neuendorff G, Kirsch A.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in a screw-retained implant prosthesi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0;15:209-18. 

  9. Al Quran FA, Rashdan BA, Zomar AA, Weiner S. Passive fit and accuracy of three dental implant impression techniques. Quintessence Int 2012;43:119-25. 

  10. Luk HW, Pow EH, McMillan AS, Hui CF. A double casting technique to minimize distortion when constructing fixed partial dentures on implants. J Prosth Dent 2004;91:93-6. 

  11. Karl M, Holst S. Strain development of screw-retained implant-supported fixed restorations: procera implant bridge versus conventionally cast restorations. Int J Prosthodont 2012;25:166-9. 

  12. Misch CE. Dental implant prosthetics. 2nd ed. St. Louis; CV Mosby; 2014. p. 747. 

  13. Maeda Y, Satoh T, Sogo M. In vitro differences of stress concentrations for internal and external hex implant-abutment connections: a short communication. J Oral Rehabil 2006;33:75-8. 

  14. Heckmann SM, Karl M, Wichmann MG, Winter W, Graef F, Taylor TD. Cement fixation and screw retention: parameters of passive fit. An in vitro study of three-unit implant-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s. Clin Oral Implants Res 2004;15:466-73. 

  15. Karl M, Taylor TD. Bone adaptation induced by non-passively fitting implant superstructure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16;31:369-75. 

  16. Im SM, Kim DG, Park CJ, Cha MS, Choi LR. Biomechanical considerations for the screw of implant prosthesis: A literature review.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0;48:61-8. 

  17. Huang Y, Wang J. Mechanism of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oosening of the implant abutment screw: A review. J Esthet Restor Dent 2019;31:338-345. 

  18. Matsuzaki M, Ayukawa Y, Sakai N, Matsuzaki T, Matsushita Y, Koyano K. A comparison of the peri-implant bone stress generated by the preload with screw tightening between 'bonded' and 'contact' model. Comput Methods Biomech Biomed Engin 2017;20:393-402. 

  19. Al-Otaibi HN, Akeel RF. The effects of two torque values on the screw preload of implant-supported prostheses with passive fit or misfi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14;29:1058-63. 

  20. Wentaschek S, Tomalla S, Schmidtmann I, Lehmann KM. Preload, coefficient of friction, and thread friction in an implant-abutment-screw complex. Int J Prosthodont 2017;30:542-4. 

  21. Rutkunas V, Larsson C, Vult von Steyern P, Mangano F, Gedrimiene A. Clinical and laboratory passive fit assessment of implant-supported zirconia restorations fabricated using conventional and digital workflow.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20;22:237-45. 

  22. Siamos G, Winkler S, Boberick KG. Relationship between implant preload and screw loosening on implant-supported prostheses. J Oral Implantol 2002;28:67-73. 

  23. Zipprich H, Rathe F, Pinz S, Schlotmann L, Lauer HC, Ratka C. Effects of screw configuration on the preload force of implant-abutment screw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18;33:e25-32. 

  24. Lee JH. Axial displacement of internal conical connection abutments under static load.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