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습기 살균제 제품의 건강위험 고찰 - 제품 수와 살균제 성분을 중심으로 -
Comprehensive Review on Humidifier Disinfectant (HD) Products, Focusing on the Number of Products and Their Disinfectant Type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6 no.5, 2020년, pp.481 - 494  

박동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이승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임흥규 (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 ,  김소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김지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박지훈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 사고대응총괄과) ,  조경이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No study has been conducted to review characteristic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HD) products, such as real numbers, levels and types of HD substances contained, or the volume marketed. We aimed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H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Methods: We collected lit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2020년 “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4·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이하 특조위)”는 “가습기 살균제 성분 분석” 연구를 통해 총 40개 제품을 확인하였고, 이 중 일부 제품의 살균제 성분, 농도 등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3)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별, 시기별로 보고된 가습기 살균제 제품 수와 살균제 성분 분석결과 등을 종합하고, 주요 쟁점들을 건강위험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제품별 건강위험의 추정과 건강피해 현황 기록, 건강피해 원인 규명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 2011년 질병관리본부는 폐 손상 등 건강 피해와 연관되는 10개 제품만을 대상으로 살균제 성분으로 PHMG, PGH, CMIT, MIT, NaDCC, 산화은(silver oxide)을 정량하였다.4) 이 조사는 집단 폐 손상을 초래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당시 같은 살균제 성분을 사용한 제품이 많았지만 부분적인 조사에 그쳤고(Table 1 and 5), 제품 확보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 우리나라에서 가습기 살균제 제품 이름과 성분이 처음 공식적으로 알려진 시기는 2011년 무렵으로, 질병관리본부가 총 10개 제품을 대상으로 살균제 성분을 분석한 때이다.4) 이 조사는 폐 손상을 일으킨 가습기 살균제 주요 제품과 살균제 성분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2012년 한국환경보건학회는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N=105)가 사용했다고 응답한 제품 수를 20개로 보고하였다.
  • 아직 확인하지 못한 가습기 살균제 제품 사례가 있을 가능성도 있다. 제품과 살균제 성분 현황을 통해 향후 규명해야 할 쟁점들을 건강위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가 단독 또는 혼합으로 사용한 제품에서 확인된 살균제 성분은 무엇인가요? 폐 손상, 천식, 태아 피해자와 피해 신고자가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한 제품은 총 19개 이상이었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가 단독 또는 혼합으로 사용한 제품에서 확인된 살균제 성분은 PHMG, PGH, CMIT와 MIT 혼합물, NaDCC, BKC였다. 이 결과는 제품의 성분분석, 환경부의 기업 면담, 피해 신고자 설문 응답 등을 통해서 얻은 것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판매된 가습기 살균제 제품은 총 몇개인가요? 지금까지 국내에서 판매된 가습기 살균제 제품은 총 40개로 확인되었다. 폐 손상, 천식, 태아 피해자와 피해 신고자가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한 제품은 총 19개 이상이었다.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를 초래한 구체적인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동시에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를 초래한 구체적인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일도 소홀히 할 수 없는 과제이다. 이는 건강피해를 일으킨 직접적인 원인이 제품에 함유된 살균제를 포함한 화학물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동안 가습기 살균제 제품 수, 판매 기간, 판매량, 살균제 성분 등 제품의 위험 특성을 추정할 수 있는 연구 사례는 드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Park D-U, Lee S, Lim H-K, Bae S-Y, Ryu S-H, Ahn J-J. Review on safety and health information on humidifier disinfectant. J Environ Heal Sci. 2017; 43(5): 349-359. 

  2. Park D, Kwon J, Oh H.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y humidifier disinfectant brand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NIER) Research Report. 2017. (confidential) 

  3. Special Investigation Commission on Humidifier Disinfectants and 4.16 Sewol Ferry Disasters (SICHD). Analysis of components of disinfectant contained in humidifier disinfectant products. 2020. (confidential)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Analytical results of the chemical components of various humidifier disinfectant brands from KCDC's parliamentary inspection (In Korean). Department of Epidemiology Research. 2011. 

  5.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KSEH). Cases of health problems due to the use of humidifier biocide (in Korean). KSEH Report. 2012. 

  6. Ministry of Environment (MOE). Field interview investigation for 30 companies to manufacture humidifier disinfectant (HD). 2017 (confidential). 

  7. Environmental Exposure Checklist (anonymous). The checklist for environmental exposure investigation. 2013. 

  8. National Assembly (NA). Special Committee for National Investigation to find out the truth of the humidifier disinfectant accident, remedy damage, and prepare measures to prevent recurrence. National Survey Results Report. 2016. 

  9. Lee E, Cheong H-K, Paek D, Kim S, Leem J, Kim P, et al. Characteristics of exposure to humidifier disinfectants and their association with the presence of a person who experienced adverse health effects in general households in Korea. J Environ Heal Sci. 2020; 46(3): 285-296. 

  10.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KEITI). Comprehensive supporting portal for humidifier disinfectant victims: Statistical data. Available from: https://www.healthrelief.or.kr/home/content/stats01/view.do#page04 [accessed 22 September 2020]. 

  11. Ministry of Environment (MOE).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Household Chemical Products and Biocides (No. 17326).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accessed 22 September 2020). 

  12. Datta S, Baudouin C, Brignole-Baudouin F, Denoyer A, Cortopassi GA. The eye drop preservative benzalkonium chloride potently induces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preferentially affects LHON mutant cells. Investig Ophthalmol Vis Sci. 2017; 58(4): 2406-2412. 

  13. Project SENSOR News. Disinfectants and Asthma. Available from: http://www.processcleaningsolutions.com/pdf/Quats%20and%20asthma.pdf [accessed 24 September 2020). 

  14. Zock J-P, Plana E, Jarvis D, Anto JM, Kromhout H, Kennedy SM, et al. The use of household cleaning sprays and adult asthma: an international longitudinal study. Am J Resp Crit Care Med. 2007; 176(8): 735-741. 

  15. Purohit A, Kopferschmitt-Kubler M-C, Moreau C, Popin E, Blaumeiser M, Pauli G.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nd occupational asthma. Int Arc Occup Env Hea. 2000; 73(6): 423-427. 

  16. Vandenplas O, D'Alpaos V, Evrard G, Jamart J, Thimpont J, Huaux F, et al. Asthma related to cleaning agents: a clinical insight. BMJ Open. 2013; 3(9): e003568. 

  17. Park D-U, Ryu S-H, Lim H-K, Kim S-K, Choi Y-Y, Ahn J-J, et al. Types of household humidifier disinfectant and associated risk of lung injury (HDLI) in South Korea. Sci Total Environ. 2017; 596: 53-60. 

  18. Ryu SH, Park DU, Lee E, Park S, Lee SY, Jung S, et al. Humidifier disinfectant and us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lung injury in Korea. Indoor Air 2019; 29(5): 735-747. 

  19. Park D-U, Park J, Yang KW, Park J-H, Kwon J-H, Oh HB. Properties of polyhexamethylene guanidine (PHMG) associated with fatal lung injury in Korea. Molecules. 2020; 25(14): 33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