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습기 살균제 노출 실태와 피해규모 추산
An Estimation of Population at Risk of Exposure to Humidifier Disinfectant and Associated Health Effect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6 no.4, 2020년, pp.457 - 469  

변지은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  김희성 (서던포스트) ,  박문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이경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홍명근 (가습기살균제사건과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  최예용 (가습기살균제사건과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precise nationwide number of those who used humidifier disinfectants (HDs) and experienced specific health effects, including death, due to exposure to HDs in Korea between 1994 and 2011. Methods: A total of 5,000 households (15,472 people) were sur...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습기 살균제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사용했고 그 중 어느 정도의 사람들이 어떤 건강피해를 입었고 사망했는지 파악하는 것은 가습기 살균제 참사 진상규명의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습기 살균제의 피해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가습기 살균제가 판매중지되기 이전에 출생한 만 8세 이상 가구원을 포함하고 있는 전국의 가구(5,000가구, 15,472명)를 대상으로 대인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를 통해 가습기 살균제 노출 당시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질병 발생 여부, 질병 중증도, 사망 여부 등을 파악하고, 조사결과를 통해 가습기 살균제 피해 규모를 추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994년부터 2012년까지 가습기 살균제 사용 가구의 사용실태를 수집 및 분석하여 그 피해의 규모를 추정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표본조사는 전문 조사원에 의한 대인면접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실태 조사가 본격 추진된 이래 가장 큰 규모의 표본 수를 확보하였고, 조사 설계적 측면에 있어서도 표본추출틀 대표성 확보, 통계 생산 단위를 고려한 모집단 층화, 표본배분 및 추출방법의 타당성 확보 등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결과 확보를 위한 많은 노력이 반영되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지닌다.
  • 본 연구는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2019년 진행한 전국 규모의 가습기 살균제 피해조사사업인 ‘가습기 살균제 피해규모 정밀추산’의 결과를 학술적으로 정리하고 조명한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습기 살균제의 피해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가습기 살균제가 판매중지되기 이전에 출생한 만 8세 이상 가구원을 포함하고 있는 전국의 가구(5,000가구, 15,472명)를 대상으로 대인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를 통해 가습기 살균제 노출 당시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질병 발생 여부, 질병 중증도, 사망 여부 등을 파악하고, 조사결과를 통해 가습기 살균제 피해 규모를 추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2019년 진행한 전국 규모의 가습기 살균제 피해조사사업인 ‘가습기 살균제 피해규모 정밀추산’의 결과를 학술적으로 정리하고 조명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 실시된 표본조사는 전문 조사원에 의한 대인면접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실태 조사가 본격 추진된 이래 가장 큰 규모의 표본 수를 확보하였고, 조사 설계적 측면에 있어서도 표본추출틀 대표성 확보, 통계 생산 단위를 고려한 모집단 층화, 표본배분 및 추출방법의 타당성 확보 등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결과 확보를 위한 많은 노력이 반영되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지닌다. 특히 조사를 통해 확인된 가습기 살균제 노출 가구원 전수에 대해 사망 여부를 포함한 구체적 피해 실태를 파악했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가습기 살균제로 인해 발생한 피해 중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질환은 무엇인가? 현재 가습기 살균제로 인해 발생한 피해는 현재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질환만 해도 폐질환, 천식, 태아피해, 독성간염, 아동/성인간질성폐질환, 기관지확장증, 폐렴, 기관지염, 상기도 질환군 등 10개에 이른다.5) 또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피해는 가족 내 여러 구성원이 거의 동일한 시기에 유사한 증상을 보인 사례가 약 18% 정도로 유례없이 높은 가족 이환율을 보였다.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피해 사실을 입증하기 어렵고 피해 신고 건수도 실제 발생한 피해에 비해 매우 적을 것으로 판단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가습기 살균제는 일반 생활용품으로서 누구나 쉽게 구입 가능하고 장시간에 걸쳐 사용하게 되는 점, 주로 아이와 임신부, 노인 등이 있는 가정에서 사용되었던 점8) 등을 고려할 때 피해 정도와 규모가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조사 시점인 2019년 기준으로 사건 발생 이후 최소 8년에서 최대 25년이라는 시간의 격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피해 사실을 입증하기 어렵고 피해 신고 건수(2020년 8월 7일 현재 6,833건)도 실제 발생한 피해에 비해 매우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가습기 살균제의 피해규모를 산출하는 것은 가습기 살균제 사태의 진상 파악과 피해 보상의 기준과 범위, 예산 마련에 대한 근거가 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가습기 살균제에 노출된 인구와 그로 인해 피해를 입은 인구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한 그동안의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피해 정도와 규모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가습기 살균제는 일반 생활용품으로서 누구나 쉽게 구입 가능하고 장시간에 걸쳐 사용하게 되는 점, 주로 아이와 임신부, 노인 등이 있는 가정에서 사용되었던 점8) 등을 고려할 때 피해 정도와 규모가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조사 시점인 2019년 기준으로 사건 발생 이후 최소 8년에서 최대 25년이라는 시간의 격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피해 사실을 입증하기 어렵고 피해 신고 건수(2020년 8월 7일 현재 6,833건)도 실제 발생한 피해에 비해 매우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Moon SJ. The Damage Caused by Humidifier Disinfectants and the National Liability for Risk Management.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2014; 45(1): 67-88. 

  2. Lung Injury Investigation Committee by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White paper on health damage by the exposure to humidifier disinfectant, 1st ed. Seoul: Hanrimwon: 2014. p.23. 

  3. Kim JW. Who is the 'Authentic' Victim?: The Construction of the Category of Victims at Humidifier Disinfectant Disaster. Institute of Cross-Cultural Studies. 2017; 23(2): 5-51. 

  4. Choi YY, Lee IH. A Comparative Study of the Humidifier Disinfectant Disaster and Minamata Disease.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9; 45(4): 326-339. 

  5. Ministry of Environment. 11 Additional Victims of Humidifier Disinfectant Were Recognized... Expansion of Diseases Targeted for Damage Such as Bronchitis And Upper Respiratory Disease Group. Available: http://www.me.go.kr/home/web/board/read.do;jsessionidbLEFTAsRrXi-CzBbSgtOz2fY.mehome1?pagerOffset0&maxPageItems10&maxIndexPages10&searchKey&searchValue&menuId286&orgCd&boardId1384220&board-MasterId1&boardCategoryId39&decorator[accessed 19 August 2020]. 

  6. Lee E, Seo JH, Kim HY, Song JW, Park YS, Jang SJ, et al. Two series of familial cases with unclassified interstitial pneumonia with fibrosis. 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2012; 4(4): 240-244. 

  7. Kim JW, Bahng YW, Park MY, Zoh KE, Choi YY. Critical Reviews of Academic Research and Perspectives for Understanding the Humidifier Disinfectant Disaster.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9; 45(4): 340-357. 

  8. Choi YY, Lim HK, Lim SY, Paek DY. Health Damages and Lessons of the Use of Humidifier Disinfectants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2; 38(2): 166-174. 

  9. Jeon BH, Park YJ. Frequency of humidifier and humidifier disinfectant usase in Gyeonggi Province.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2012; 27: 4-7. 

  10. Presian News. One-fifth of nation are potential victim by the exposure to humidifier disinfectant. Available: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39317 [accessed 19 August 2020]. 

  11. Lim JH, Kim HJ, Jung KH, Lee JH, Hong SI, Kwon HJ, et al. Establishing disease identification and standards criteria to expand the range of health hazards caused by the humidifier steriliz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6; NIERSP2016-429: 1-210. 

  12. Choi YY. Questions and Answers about the Humidifier Disinfectant Disaster as of February 2017.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3(1): 1-22. 

  13. Lee KM, Paik DH, Cheong HK, Kim SW, Seo HW, Hong YS, et al. Population Size Estimates for the Use of Humidifier Disinfectants and Experience of Health Effects from Exposure to Humidifier Disinfectant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9; 45(3): 273-284. 

  14. Johnson M, Stokes R. G, Arndt T. The Thalidomide Catastrophe: How it Happened, who was Responsible and why the Search for Justice Continues After More Than Six Decades. 1st ed. UK: Onwards and Upwards; 2018. p.1-2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