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렉시블 전기변색 소자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30 no.5, 2020년, pp.333 - 341  

이지현 (상명대학교 그린화학공학과) ,  강문성 (상명대학교 그린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플렉시블 전기변색 소자(ECD)에 적용하기 위한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의 최적 설계 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해질 멤브레인의 제조를 위한 기저 고분자로 접착력 및 투명도가 우수한 polyvinyl butyral (PVB)을 선정하였으며 가소제로는 adipate계 고분자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ECD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전해질 멤브레인의 이온 전도도 및 투과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인자는 리튬염의 해리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다양한 리튬염 중 음이온의 크기가 큰 LiTFSI 염이 25 wt.% 정도의 함량으로 용해될 때 최적의 ECD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optimum design conditions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pplication to a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ECD) were tried to be derived. Polyvinyl butyral (PVB) with excellent adhesive property and transparency was selected as the base polymer for the preparation of the e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효율 플렉시블 ECD 적용을 위해 기저 고분자로 PVB를 이용한 접착 멤브레인 전해질을 제조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PVB를 기반으로 한멤브레인 전해질은 연속식 공정으로 플렉시블 ECD를 제조하기 용이하며 투과율이 높으며 우수한 접착력으로 인해 장치의 물리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 PVB를 기반으로 한멤브레인 전해질은 연속식 공정으로 플렉시블 ECD를 제조하기 용이하며 투과율이 높으며 우수한 접착력으로 인해 장치의 물리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최적 조성을 도출함으로써 우수한 이온전도도 및 계면전하전달 특성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접착성 및 투명성을 가진 고분자인 PVB를 기저 고분자로 이용하여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을 제조하고 이를 플렉시블 ECD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리튬염의 농도 및 음이온 조성이 전해질 특성 및 ECD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PVB를 기반으로한 전해질 멤브레인의 최적 조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접착성 및 투명성을 가진 고분자인 PVB를 기저 고분자로 이용하여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을 제조하고 이를 플렉시블 ECD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리튬염의 농도 및 음이온 조성이 전해질 특성 및 ECD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PVB를 기반으로한 전해질 멤브레인의 최적 조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리튬염의 농도와 조성에 의해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의 이온전도도 및 광투과율이 크게 좌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X. Wu, Y. Wu, C. Zhang, H. Niu, L. Lei, C. Qin, C. Wang, X. Baia, and W. Wang, "Polyurethanes prepared from isocyanates containing triphenylamine derivatives optical, electrochemical, electrochromic and memory properties", RSC Adv., 5, 58843 (2015). 

  2. R. Leones, R. C. Sabadinic, F. C. Sentaninc, J. M. S. S. Esperanca, A. Pawlicka, and M. M. Silva, "Polymer electrolytes for electrochromic devices through solvent casting and sol-gel routes", Sol. Energy Mater Sol. Cells, 169, 98 (2017). 

  3. M. Fernandes, V. Freitas, S. Pereira, R. Leones, M. M. Silva, L. D. Carlos, E. Fortunato, R. A. S. Ferreira, R. Rego, and V. Z. Bermudez, "Luminescent electrochromic devices for smart windows of energy-efficient Buildings", Energies, 11, 3513 (2018). 

  4. D. H. Choi, M. H. Son, T. H. Im, S. H. Ahn, and C. S. Lee, "Crack-free fabrication of prussian blue-based blending film for the dramatic enhancement of dual electrochromic device", Ceram. Int., 46, 21008 (2020). 

  5. E. Eren, M. F. Aydin, and A. U. Oksuz, "A practical approach for generation of $WO_3$ -based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s", J. Solid State Electrochem., 24, 1057 (2020). 

  6. D. Zhou, D. Xie, X. Xia, X. Wang, C. Gu, and J. Tu, "All-solid-state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WO3 $\parallel$ NiO films: material developments and future applications", Sci. China Chem., 60, 3 (2017). 

  7. T. Winie, A. K. Arof, and S. Thomas, "Polymer electrolytes: characterization techniques and energy applications", pp. 365-389,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NY (2019). 

  8. J. Pan, R. Zheng, Y. Wang, X. Ye, Z. Wan, C. Jia, X. Weng, J. Xie, and L. Deng, "A high-performance electrochromic device assembled with hexagonal $WO_3$ and NiO/PB composite nanosheet electrodes towards energy storage smart window", Sol. Energy Mater Sol. Cells., 207, 110337 (2020). 

  9. A. L. S. Eh, A. W. M. Tan, X. Cheng, S. Magdassi, and P. S. Lee, "Recent advances in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s: Prerequisites, challenges, and prospects", Energy Technol., 6, 33 (2018). 

  10. A. L. S. Eh, A. W. M. Tan, X. Cheng, S. Magdassi, and P. S. Lee, "Recent advances in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s: The prerequisites, challenges and prospects", Energy Technol., 6, 33 (2017). 

  11. S. Guan, W. Wang, J. Zheng, and C. Xu, "A method to achieve full incorporation of PMMA-based gel electrolyte in fiber-structured PVB for solid-state electrochromic device fabrication", Electrochim. Acta, 354, 136702 (2020). 

  12. J. Comyn, "Handbook of adhesives and sealants", pp. 1-50, Elsevier, Amsterdam (2006). 

  13. S. Ebnesajjad, "Handbook of adhesives and surface preparation", pp. 137-183, Elsevier, Amsterdam (2011). 

  14. R. H. Lambeth and A. Rizvi, "Mechanical and adhesive properties of hybrid epoxy-polyhydroxyurethane network polymers", Polymer, 183, 121881 (2019). 

  15. X. Li, J. Ke, J. Wang, M. Kang, Y. Zhao, Q. Li, and C. Liang, " $CO_2$ derived amino-alcohol compounds for preparation of polyurethane adhesives", J. $CO_2$ Util., 31, 198 (2019). 

  16. O. Olabisi and K. Adewale, "Handbook of thermoplastics", pp. 90-137, CRC Press, Boca Raton, FL (2015). 

  17. E. J. Grojzdek, M. Kunaver, D. Kukanja, and D. Moder, "Renewable (waste) material based polyesters as plasticizers for adhesives", Int. J. Adhes. Adhes., 46, 56 (2013). 

  18. N. B. Halima, "Poly(vinyl alcohol): Review of its promising applications and insights into biodegradation", RSC Adv., 6, 39823 (2016). 

  19. Y. Li and S. Ren, "Building decorative materials", pp. 325-341, Elsevier, Amsterdam (2011). 

  20. E. Corroyer, M. C. B. Salon, D. Chaussy, S. Wery, and M. N. Belgacem,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polyvinylbutyrals", Int. J. Polym. Anal. Charact., 18, 346 (2013). 

  21. F. N. Nguyen and J. C. Berg, "The effect of vinyl alcohol content on adhesion performance in poly(vinyl butyral)/glass systems", J. Adhes. Sci. Technol., 18, 1011 (2004). 

  22. G. P. T. Ganesh, and B. Deb, "Designing an all-solid- state tungsten oxide based electrochromic switch with a superior cycling efficiency", Adv. Mater. In terfaces, 4, 1700124 (2017). 

  23. K.-K. Lee, K. Park, H. Lee, Y. Noh, D. Kossowska, K. Kwak, and M. Cho, "Ultrafast fluxional exchange dynamics in electrolyte solvation sheath of lithium ion battery", Nat. Commun., 8, 14658 (2017). 

  24. M. Ue, "Mobility and ionic association of lithium and quaternary ammonium salts in propylene carbonate and ${\gamma}$ -butyrolactone", J. Electrochem. Soc., 141, 3336 (1994). 

  25. A. Arya and A. L. Sharma, "Polymer electrolytes for lithium ion batteries: A critical study", Ionics, 23, 497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