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근통행에 의한 직·간접 흐름을 이용한 지역의 중심성 분석
Analysis of Regional Centrality by Investigating Direct and Indirect Flows of Commuters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7 no.3, 2020년, pp.125 - 134  

이종상 (공주대학교) ,  서덕수 (한동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gional centralit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national and regional planning and it is measured by data such as people, goods, and information flows among regions. The inter-regional flows are usually considered by only direct flows, yet indirect flows, which are generated accordingly from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직 ⋅ 간접 흐름을 이용하여 229개의 각 시·구·군의 중심성을 광역시와 도에 속한 시·구·군의 중심성, 시, 구, 군에 속한 지역의 중심성을 비교하는 데 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시 ⋅ 구 ⋅ 군을 단위로 조사한 통근통행 O-D 행렬을 이용하여 직접 흐름뿐만 아니라 간접 흐름도 고려하여 지역의 중심성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직접 흐름만 고려한 경우와 직 ⋅ 간접 흐름을 동시에 고려하는 경우를 비교 분석하는 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연결망 분석에서 중심성이란 무엇인가? 사회연결망 분석에서 중심성은 사회 네트워크에서 개인이 가지는 권력과 영향력이라는 개념으로 개발되었으며, 중심성이 높은 지역은 독립성(independence), 지배력(dominance), 영향력(influence) 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Freeman(1979)은 사회 연결망 분석에서 중심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연결정도 중심성(degree centrality), 근접 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등을 제시하였다.
국토 및 지역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부분은 무엇인가? 국토 및 지역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대상 지역의 공간구조 및 위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때 지역의 중심성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우리 정부는 지방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서울에 집중된 공공기관 및 정부출연 연구기관 등을 지방으로 분산해서 지역의 새로운 거점을 조성하는 혁신도시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지역간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보다 정확한 지역의 중심성 및 위계를 파악하는 것이 시급한 이유는 무엇인가? 국토 및 지역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대상 지역의 공간구조 및 위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때 지역의 중심성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우리 정부는 지방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서울에 집중된 공공기관 및 정부출연 연구기관 등을 지방으로 분산해서 지역의 새로운 거점을 조성하는 혁신도시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지방으로 분산시켜서 신규로 조성할 기관의 입지가 과학적인 중심성 지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보다는 많은 경우 정치적 논리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지역간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보다 정확한 지역의 중심성 및 위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시급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성록. (2014). 수도권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1995년-2010년. 국토지리학회지, 48(1), 57-68. 

  2. 김효진. (2008).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통근연구: 서울대도시권의 시간대별 통근. 지리교육논집, 52, 25-43. 

  3. 김희철, & 안건혁. (2012). 연결망 이론으로 본 인구, 고용, 사회적 자본과 서울 대도시권 중심성 사이의 관계. 국토계획, 47(3), 105-122. 

  4. 남영우. (2007). 도시공간구조론. 서울: 법문사. 

  5. 성준용. (1990). 한국도시시스템. 서울: 교학연구사. 

  6. 박시현, 이원도, & 조창현. (2012). 수도권 가구동행조사를바탕으로한서울시 교통네트워크 분석. 국토 지리학회지, 46(2), 189-200. 

  7. 이성용, & 하창현. (2014). 제주지역의 인구이동과 지역 구조변화 분석. 국토계획, 49(2), 41-53. DOI:10.17208/jkpa.2014.04.49.2.41 

  8. 이종상. (2007). O-D행렬에서 간접류의 재해석과 계산방법의 개선.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9(2), 1-14. 

  9. 이종상. (2008).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수도권 공간구조와 그 변화: 1995-2005년. 한국도시지리 학회지, 11(3), 91-100. 

  10. 이종상, 서영창, & 김성록. (2018a).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지역의 중심성 측정: 지역간 경쟁관계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3(4), 87-93. DOI:10.17208/jkpa.2018.08.53.4.87 

  11. 이종상, 서영창, & 김성록. (2018b). 지역의 규모를 고려한 네트워크 중심성분석: 통근통행 자료의 변환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0(4), 71-84. 

  12. 이희연, & 김홍주. (2006). 서울대도시권 통근 네트워크 구조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1), 91-111. 

  13. 이희연, & 이승민. (2008). 수도권 신도시 개발이 인구 이동과 통근통행패턴에미친영향. 대한지리학회지, 43(4), 561-579. 

  14. 주미진, & 김성연. (2014). 가구통행 분석을 통한 도시 중심성 변화 연구: 성남시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80, 35-48. 

  15. 통계청. (2017). 2015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대전. 

  16. 村山祐司. (1982). 結節地域設定に關するNystuen-Daceyモデルの再檢討. 地理科學, 37(2), 73-84. 

  17. 竹內啓. (1974). 線形數學-補訂版. 東京: 倍風館. 

  18. 森川 洋. (1978). 結節地域?機能地域の分析手法?中國地方を例として. 人文地理, 30(1), 17-37. 

  19. Bonacich, P. (1987). Power and centrality: A family of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2(5), 1170-1182. 

  20. Borgatti, S. P., Everett, M. G., & Freeman, L. C. (2002). UCINET 6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Harvard, MA: Analytic Technologies. 

  21. Cates, D. B. (1978). Short-run structural change in an active network of declining connectivity. Professional Geography, 30, 9-13. 

  22. Cook, K. S., Emerson, M., Gillmore, M. R., & Toshio, Y. (1983). The distribution of power in exchange networks: Theory and experimental results.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9(2), 275-305. 

  23. Freeman, L. C. (1978).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 215-239. 

  24. Nystuen, J. D., & Dacey, M. F. (1961). A graph theory interpretation of nodal regions. Papers and Proceedings of the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7, 29-42. 

  25. Reed, W. E. (1970). Indirect connectivity and hierarchies of urban dominance. Annals of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60(4), 770-785. 

  26. Stephenson, L. K. (1974). On functional regions and indirect flows. Geographical Analysis, 6, 383-385. 

  27. Tinkler, K. L. (1976). On functional regions and indirect flows. Geographical Analysis, 8, 205-2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