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화학사고 피해저감을 위한 GIS 연계 복합시뮬레이션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IS-based Complex Simulation Prototype for Reducing the Damage of Chemical Accident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5 pt.4, 2020년, pp.1255 - 1266  

김은별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오주연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이태욱 (울산지방경찰청) ,  오원규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김현주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임동연 ((주)세이프티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화학사고에 따른 인명피해 저감을 위해서 신속하고 정확한 화학물질 확산 범위 예측을 위한 복합시뮬레이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복합시뮬레이션은 화학물질의 누출 특성을 고려하고자 근거리 확산과정에서 누출 운동량을 고려하였다. 원거리 확산과정에서는 사고지점 주변의 기상 및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획일적으로 제시되었던 기존 모델의 바람 분포를 개선하여 실제와 유사한 바람장을 구현하였다. 개선된 근·원거리 확산과정에 따라 최종적으로 피해확산 범위는 기존의 모델에 비해서 정밀한 분포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복합시뮬레이션의 시간대별 피해 범위 예측 결과 통해서 화학사고 발생 후 주민 대피 및 복귀 등 정책적 의사결정의 지원시스템으로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complex simulation prototype was developed for rapid and accurate prediction of chemical dispersion range in order to reduce human casualties caused by chemical accidents. Complex simulation considered the leakage momentum during the near-field dispersion to take into account the le...

Keyword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누출에 의한 화학사고 피해 예측범위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 화학물질의 누출이 발생한 지점에서 용기의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누출 운동량을 고려한 화학물질의 거동과 누출 운동량이 모두 소멸된 후 대기의 흐름에 의해서 확산되는 과정을 함께 고려하였다. 또한 예측된 결과를 정책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활용하기 위해서 GIS 기법을 연계하여 사고 발생 지점과 화학물질의 확산 범위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복합시뮬레이션 체계를 개발하고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GIS 연계 복합시뮬레이션 체계 개발을 위해서 화학물질 누출사고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았다. 누출사고의 대표적인 유형에는 화학공정 반응기의 반응폭주에 의한 누출, 위험물질 저장 탱크 파열에 의한 누출, 위험물질 운송차량 사고에 의한 누출 등이 있다 (Crowl and Louvar, 2019).
  • 근거리 및 원거리 확산 모듈은 선행연구를 통해서 신뢰성이 확보된 모델을 검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가장 적합한 것을 선정하고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화학물질 확산예측 시뮬레이션 중 HGSYSTEM에 대한 검토 및 적합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 근거리 및 원거리 확산 모듈은 선행연구를 통해서 신뢰성이 확보된 모델을 검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가장 적합한 것을 선정하고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화학물질 확산예측 시뮬레이션 중 HGSYSTEM에 대한 검토 및 적합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HGSYSTEM은 미국 환경청(U.
  • 반면에 PHAST와 HGSYSTEM는 누출지점 근처에서는 누출 운동량을 고려하고 운동량이 상실되는 지점부터는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기 때문에 모델의 결과값도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누출 운동량을 고려하고 예측 정확도가 검증된 PHAST와 HGSYSTEM 중 하나의 모델의 선정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으며, 누출 운동량 상실 후 확산을 위한 모델 개선을 위해서 소스코드 형태로 제공되는 HGSYSTEM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 HGSYSTEM은 화학물질의 확산과정에서 누출 운동 량이 존재하는 영역에 대한 확산 형상을 모의하기에는 정확도가 높은 모델이지만, 누출 운동량 상실 후 지형 및 시간 등의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기상 현상을 반영 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누출 운동량이 상실된 후 원거리 확산에 중요한 요소인 지형 및 바람의 분포를 실제상황과 유사하게 고려하기 위해서 모델을 개선하였다. 원거리 확산 과정에 대한 주요 개선 사항은 근거리 확산 모듈에서 누출 운동량이 상실되는 지점을 추정하고 그 지점의 유향을 산출한 후 산출된 값을 원거리 확산 모듈의 누출원으로 간주하여 연 계하는 것이다.
  • 원거리 확산 과정에 대한 주요 개선 사항은 근거리 확산 모듈에서 누출 운동량이 상실되는 지점을 추정하고 그 지점의 유향을 산출한 후 산출된 값을 원거리 확산 모듈의 누출원으로 간주하여 연 계하는 것이다. 이때 원거리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바람장은 사고지점에 인접한 기상지점의 단일 값이 아닌 지형과 주변 관측지점들의 관측 값을 함께 고려하여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 물질의 장거리 수송과 대기의 비정상상태를 고려할 수 있는 CALPUFF 모델을 적용하였다.
  • 10과 같이 예측된 바람장과 피해확산 범위를 결과 표출 부분에서 확 인해 볼 수 있다. 기존의 화학사고 피해확산 범위 예측 결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점의 기상관측 자료와 지형 자료를 이용하여 화학물질이 확산되는 공간내의 격자별 바람장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또한 피해 확산 범위는 타원형 등의 형태로 일괄적인 기상조건에 따라 예측된 범위가 아니라 상세 바람장을 기반으로하여 기존의 모델보다 정밀한 분포를 나타낸다.
  • 연구에서는 기존의 화학사고 피해범위 예측 시뮬레이션의 한계점 보완을 통한 정밀한 예측 결과 제공을 위해서 복합시뮬레이션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복합시뮬레이션 프로토 타입은 근거리 확산 모듈, 원거리 확산 모듈, 기상자료 입력 모듈, GIS 모듈로 구성되었다.

가설 설정

  • 1. Concept of dispersion due to the effect of leakage momentum.
  • 5. Concept of tile layer technolog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ng, M., Y. Chon, Y. Hwang, and Lee, I., 2017. A study on the integrated analysis of chemical accidents by using the decision tree,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5(1): 59-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a, J., S. Hyun, Y. Lee, and I. Kim, 2018. A study on the ideas on the type and cause analysis of hazardous materials accidents,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6(1): 105-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 C., D. W. Lee, and S. Y. Kim, 2018. A review of statistics & analysis on the chemical accidents in Korea 2017: Focus on the NFA, National 119 rescue headquarters,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6(1): 37-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rowl, D. A., J. F. Louvar, 2019. Chemical process safety: fundamentals with applications, Prentice Hall PTR, New Jersey, USA. 

  5. KEI(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5, The application of Air Quality Models on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R. 

  6. Kim, S. Y., C. H. Cho, and E. Lee, 2017. Studies on the chemical accidents of Korea by the statistics and case review,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5(1): 50-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T. H., J. D. Park, S. J. Lee, B.S. Bang, K. P. Kim, M. S. Kim, and J. S. Park, 2015. Characteristics of chemical substance accident in Korea,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3(1): 37-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MOIS(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9, Guidelines for responding to chemical accidents by local governments,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KR. 

  9. NDMI, 2018, Development of simulation prototype for dispersion causes analysis and consequence prediction due to chemical accident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KR. 

  10. NDMI, 2019, Development of complex simulation technology for chemical accidents diffusio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KR. 

  11. NICS, 2019, Final report on oil vapor leakage accident,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Ministry of Environment, KR. 

  12. NICS, 2020,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web site, http:://nics.me.gr, Accessed on September 25, 2020. 

  13. Witlox, H.W., M. Harper, and G. DNV, 2013. Modeling of time-dependent dispersion for release including potential rainout, Presentation at UKELG 50th anniversary discussion meeting, Wales, UK, Jul. 9, pp. 1-11. 

  14. You, J. and Y. Chung, 2014. Case analysis of the harmful chemical substances' spill,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8(6): 90-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