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적가치 기반의 오대산국립공원 보전지구 재설정 방안 연구
Re-establishment of a Conservation Area in Odaesan(Mt.) National Park based on Ecological Values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9 no.10, 2020년, pp.951 - 959  

염정헌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re-establish the conservation area reflecting landscape ecological value through scenario program, targeting Odaesan National Park. The basic data were mapped in watershed planning units, which were set considering topographical and ecological values. The framework of Marxan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이 우수한 오대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한 Marxan with Zones 시나리오 분석틀을 적용함으로써, 경관생태학적 가치를 반영한 보전지구 재설정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이 높은 오대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하여 경관·생태적 가치를 반영한 용도지구를 재설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UCN은 어떤 기준을 제시하였는가? , 2008).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은 관리지구 설정에 있어 카테고리 적용지침을 통해 보호지역중 적어도 3/4(75%) 이상은 목적에 맞게 관리되어야 한다는 기준(Dudley, 2004)을 제시한 바 있으며, UNESCO MAB (Man and Biosphere) 프로그램에서는 생태적 가치 및 인간의 활동 강도에 따라 핵심지역(core area), 완충지역(buffer area), 전이지역(transition or cooperation area)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보호지역이란? 보호지역은 생물다양성과 문화적 가치를 보전하기 위하여 법적 또는 기타 효과적인 방법을 통해 관리되고 있는 지역이다(Dudley, 2004). 이러한 보호지역의 효율적 보전과 인위적 간섭에 대한 관리 수단으로써 특정 관리 목적에 따라 공간을 구별하여 지정하는 관리지구의 설정은 필수적이며(Airame, 2005), 보전과 이용 활동 간 잠재적 갈등을 조절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Day, 2002; Halpern et al.
생물다양성이 높은 오대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하여 경관·생태적 가치를 반영한 용도지구를 재설정한 실험 결과는?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이 높은 오대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하여 경관·생태적 가치를 반영한 용도지구를 재설정하고자 하였다. Marxan with Zones 시나리오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안된 공원자연보존지구(Zone A, Zone B) 최종안은 지형경관적 가치, 동·식물생태적 가치 측면에서 현재의 공원자연보존지구를 상당부분 개선시킨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규명되지 못했던 오대산국립공원에 대한 생태계 가치기반의 합리적 보전지구 설정안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나, 일부 지표의 가중치 설정 방법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관·생태적 가치가 명확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타 국립공원에 대한 지속적인 적용 필요성을 시사하며, 생태경관보전지역을 포함한 기타 보호지역 유형의 관리 지구 설정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irame, S., 2005, Channel islands national marine sanctuary: advancing the science and policy of marine protected areas, In: Sholz A, Wright D (eds.) Place Matters: Geospatial Tools for Marine Scienc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the Pacific Northwest, Oregon State University Press, Corvallis, 91-124. 

  2. Ardron, J. A., Possingham, H. P., Klein, C. J., 2010, Marxan Good Practices Handbook, version 2. Pachific Marine Analysis and Research Association, Victoria, BC, Canada. 

  3. Choi, T. Y., Lee, Y. S., Park, C. H., 2006, Home-range of wild boar, Sus scrofa Living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Korea., J. Ecol. Environ., 29, 253-257. 

  4. Day, J. C., 2002, Zoning-lessons from the great barrier reef marine park, Ocean Coast Manage., 45, 139-156. 

  5. Dudley, N., 2004, Guidelines for applying protected area management categories, IUCN, Gland, Switzerland. 

  6. Farina, A., 2014, Soundscape and landscape ecology. In: Jones BS, Smith RZ (eds.) Soundscape Ecology, Springer, Netherlands, 1-28. 

  7. Halpern, B. S., McLeod, K. L., Rosenberg, A. A., Crowder, L. B., 2008, Managing for cumulative impacts in ecosystem-based management through ocean zoning, Ocean Coast Manage., 51, 203-211. 

  8. Han, B. H., Choi, J. W., Yeum, J. H., 2017, Effects on vegetation distribution of odaesan national park according to climate and topography of Baekdudaegan, Korea, J. Environ. Sci. Int., 26, 1111-1124. 

  9. Horton, R. E., 1945, Erosional development of streams and their drainage basins: hydro-physical approach to quantitative morphology, Geol. Soc. Am. Bull., 56, 275-370. 

  10. Hull, V., Xu, W., Liu, W., Zhou, S., Vina, A., Zhang, J., Tuanmu, M. N., Huang, J., Linderman, M., Chen, X., Huang, Y., 2011, Evaluating the efficacy of zoning designations for protected area management, Biol. Conserv., 144, 3028-3037. 

  11. Jefferson, R. G., Usher, M. B., 1986, Ecological succession and the evaluation of nonclimax communities. In: Usher MB (ed.) Wildlife conservation evaluation, Chapman and Hall Ltd., New York, 69-91. 

  12. Jo, G. H., 1994, On the Amendments of the nature park law to conserve the national parks in Korea, J. Kor. Plan. Assoc., 29, 383-408. 

  13. Jo, T. D., Lee, M. W., Kim, J. S., 1997, Focused on nature preservation zone and natural environment zone of national parks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Zoning of Nature Parks of Korea, J. Kor. Plan. Assoc., 32, 185-202. 

  14. Knight, A. T., Cowling, R. M., Campbell, B. M., 2006, An Operational model for implementing conservation action, Conserv. Biol., 20, 408-419. 

  15. Lee, C. H., Ahn, S. M., Lee, K. S., 1998, Comparison of topographic, Vegetation, Scenic resource distribution between natural preservation zone and natureal environment zone in Mt. Teogyu National Park, J. Environ. Impact Assess., 7, 49-61. 

  16. Lee, H. J., Cha, J. Y., Chung, C. U., Kim, Y. C., Kim, S. C., Kwon, G. H., Kim, J. J., 2014, Home range analysis of three midium-sized mammals in Sobaeksan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Tech., 17, 51-60. 

  17. Lee, K. J., Kim, G. T., Yim, K. B., 1994, Management proposal of Sobae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l., 7, 58-71. 

  18. Levin, N., J. E., Watson, M., Joseph, L. N., Grantham, H. S., Hader, L., N., Perevolotsky, A., DeMalach, N., Possingham, H. P., Kark, S., 2013, A framework for systematic conserv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of Mediterranean landscapes, Biolo. Conserv., 158, 371-383. 

  19. Pressey, R. L., Bottrill, M. C., 2009, Approaches to landscapeand seascape-scale conservation planning: convergence, contrasts and challenges, Oryx, 43, 464-475. 

  20. Reyers, B. J., Patrick, O., Jeanne, L. N., Kerrie, W.,2012, Expanding the conservation toolbox: conservation planning of multifunctional landscapes, Landsc. Ecol., 27, 1121-1134. 

  21. Schaller, J., 1992, Environmental Impact of Proposal Site for 1992 Winter Games in Berchtesgaden, West Germany, UNESCO. 

  22. Seo, C. W., Park, C. H., 2000, Wild boar (Sus scrofa coreanus Heude) habitat modeling using GIS and logistic regression, J. Korea Spat. Inf. Soc., 8, 85-99. 

  23. Solnetsev, N. A., 2007, The natural geographic landscape and some of its general rules. In: Wiens JA, Moss MR, Turner MG, Mladenoff DJ (eds.) Foundation papers in landscape ecology,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19-27. 

  24. Stewart, R., Possingham, H., 2005, Efficiency, costs and trade-offs in marine reserve system design, Environ. Model Assess., 10, 203-213. 

  25. Strahler, A. N., 1952, Hypsometric (area-altitude) analysis of erosional topology, Geol. Soc. Am. Bull., 63, 1117-1142. 

  26. Tjallingii, S. P., 1976, Enkele opmerkingen over het begrip ekotoop, Gorteria, 8, 31-35. 

  27. Watts, M., Carissa, K., Romola, S., Ian, B., Possingham, H., 2008, Marxan with Zones (v. 1.0.1), University of Queensland, Queensland, Australia. 

  28. Watts, M., Ian, B., Romola, S., Carissa, K., Kerrie, W., Charles, S., Reinaldo, L., Lindsay, K., Possingham, H., 2009, Marxan with zones: Software for optimal conservation based land-and sea-use zoning, Environ. Model Softw., 24, 1513-1521. 

  29. Wilson, K. A., Meijaard, E., Drummond, S., Grantham, H. S., Boitani, L., Catullo, L., Christie, L., Dennis, R., Dutton, I., Falcucci, A., Maiorano, L., Possingham, H. P., Rondinini, C., Turner, W. R., Venter, O., Watts, M., 2010, Conserving biodiversity in production landscapes, Ecol. Appl., 20, 1721-1732. 

  30. Yeum, J. H., Han, B. H., 2017, Re-establishment of park nature conservation area in Bukhansan (Mt.) national park using marxan with zones, J. Environ. Sci. Int., 26, 133-146. 

  31. Yim, K. B., Lee, K. J., Oh, K. K., Lee, M. W., 1987, Management proposal of Bukhan mountain national park, Kor. J. Env. Ecol., 1, 83-97. 

  32. You, J. H., Park, K. H., Jung, S. G., 2005, A Study on importance of assessment factors and indicators of natural ecosystem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land conservation, J. Environ. Impact Assess., 14, 165-17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