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직포 멀칭 방식에 따른 종가시나무 묘목의 생장과 제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lypropylene Mulching Method on Growth of Quercus glauca Thunb. Seedling and Weed Treatment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8 no.5, 2020년, pp.59 - 66  

성창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윤준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진언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배은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이상기후 등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관상가치가 높은 상록활엽수의 활용을 높이기 위한 재배 및 관리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Thunb.) 1-2묘를 공시수종으로 하여 10개월간 경남 진주시 금산면에 위치한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월아 시험림에서 1m×22.5m 크기의 묘상을 만들어 부직포 멀칭 소재 60g/㎡, 80g/㎡ 두 종류와 멀칭 방식 겹치기, 구멍뚫기 두 방식 그리고 멀칭을 하지 않은 대조구 총 5개 처리구로 각각 92본씩 시험지를 조성하였다. 부직포 멀칭 소재 60g/㎡ 겹치기 방식은 대조구와 비교 시 묘고는 약 1.9배 근원경은 약 1.1배 더 높은 값을 보였으며, 처리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건전한 묘목은 H/D ratio 7.0 이하, T/R ratio 3.0 이하, 부위별 물질 생산량 값이 높은 조건으로 분석 결과, 이를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멀칭 처리에 따른 묘목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LWR, SWR, RWR 값을 대조구와 비교해 보면, 잎과 줄기를 포함하는 지상부의 생장은 증진되었지만, 뿌리를 포함하는 지하부의 생장은 대조구 값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묘목의 종합적인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SQI 값은 대조구와 멀칭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멀칭 처리에 따른 생육증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엽록소 함량 분석에서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조구의 잡초 발생이 환경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엽록소 함량의 저하를 야기한 것으로 판단된다. 부직포 멀칭 소재 80g/㎡ 겹치기 방식은 잡초 발생량이 대조구 대비 약 4배 더 적게 발생하며, 식재지 조성인력과 제초작업에 소요되는 총 작업인력은 3.3인/100㎡/1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멀칭처리는 묘목의 생장과 품질 그리고 제초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생육증진 효과가 있으며, 대규모 식재지를 포함한 일반수목 생산지에서의 제초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수급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cultivation and management technologies have been needed to adapt due to climate change, which is causing abnormal weather conditions. One technique i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with high ornamental value. A total of five treatments were installed (1m&#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polypropylene 소재의 부직포를 이용하여 멀칭 처리가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Thunb.) 묘목 재배 시 묘목의 생장과 제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상록활엽수의 활용가치를 높이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y Manpower required of weedin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가시나무의 열매의 크기는? 5cm로 표면에는 윤기가 있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열매는 반구형으로 크기는 6~9mm 이며, 5~6개의 원 무늬와 잔털이 있는 도토리집에 1/3 정도 들어가 있다(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https://species.nibr.
종가시나무는 어떤 수종인가?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Thunb.)는 상록활엽수로 사계절 푸른 잎을 보이며 노동력이 작게 투입되어도 공간적, 시각적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제공해주는 관상가치가 높은 수종으로 각광받고 있다 (Oh and Kim, 2006). 내한성이 약해 수도권 지역에서의 생육은 어렵지만, 낙엽활엽수보다 상대적으로 내음성이 강하여 실내와 같은 반음지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수종이다(Lee and Kim, 2017).
종가시나무는 무엇에 강한가? 내한성이 약해 수도권 지역에서의 생육은 어렵지만, 낙엽활엽수보다 상대적으로 내음성이 강하여 실내와 같은 반음지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수종이다(Lee and Kim, 2017). 또한, 내병성 및 내충성에도 강하여 도심지 조경수, 공원수, 정원수 등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수종이다(Choi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rnon, D. I.(1949) Copper enzymes in isolated chloroplasts, polyphenoloxidase in Betula vulgaris. Pant Physiology 24: 1-15. 

  2. Baczek, K. R. and J. Koscielniak(2003) Antioxidative effect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in the air on maize hybrids subjected to serve chill. Photosynthetica 41(2): 161-165. 

  3. Bayala, J., M. Dianda, J. Wilson, S. J. Quedraogo and K. Sanon(2009) Predicting field performance of five irrigated tree species using seedling quality assessment in Burkina Faso, West Africa. New Forests 38(3):309-322. 

  4. Blair, R. and F. Cech(1974) Morphological seedling grades cmpared after thirteen growing seasons. Tree Planters' Notes 25: 5-7. 

  5. Burdett, A. N.(1990) Physiological processes in plantation establishment and the development of specifications for forest planting stock.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0: 415-427. 

  6. Carlson, W. C.(1986) Root system considerations in the quality of loblolly pine seedlings. Southern Journal of Applied Forestry 10:87-92. 

  7. Choi, S. M., H. C. Shin, K. Y. Huh and H. J. Jeong(2012) Effects of underground container types on plant growth of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and Quercus glauca. J. Kor. Env. Red. Tech 15(3): 67-74. 

  8. Curtis, R. O.(1955) Use of graded nursery stock for red pine plantations. Journal of Forestry 53: 71-173. 

  9. Davis, A. S. and D. F. Jacobs(2005) Quantifying root system quality of nursery seedlings and relationship to outplanting performance. New Forests 30: 295-311. 

  10. Deans, J. D., W. L. Mason, M. G. R. Cannell, A. L. Sharpe and L. J. Sheppard(1989) Growing regimes for bare-root stock of sitka spruce, douglas fir and scots pine. Morphology at the end of the nursery phase. Forestry 62: 53-60. 

  11. Dickson, A., A. L. Leaf and J. F. Hosner(1960) Quality appraisal of white spruce and white pine seedling stock in nurseries. The Forestry Chronicle 36: 10-13. 

  12. Haase, D.(2007a)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evaluation of seedling quality. USDA Forest Service Proceedings RMRS-P-50. 

  13. Haase, D.(2007b) Understanding forest seedling quality: Measurements and interpretation. Tree Planter's Notes 52(1). 

  14. Hermann, R. K.(1964) Importance of top-root ratios for survival of Douglas-fir seedlings. Tree Planters' Notes 64: 7-11. 

  15. Hong, S. C., J. W. Heo, J. T. Lee and K. K. Kang(2011) Characteristics of reflective light over red and black plastic mulch, and effect on the quality and yield of the oriental melon and tomato. K. J. Environ Agric 30(4): 414-418. 

  16. Iyer, J. G. and S. A. Wilde(1982) A quick way to appraise the performance potential of tree planting stock. Tree Planters' Notes 33:26-27. 

  17. Jensen, M. H.(1988) The achievements on the use of plastic in agriculture. International seminar on the utilization of the plastics in agriculture. Food & Fertilizer Technology Center for the Asian and Pacific Region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f Korea. pp.1-17. 

  18. Jin, E. J., J. H. Yoon, E. J. Bae, S. M. Choi, Y. B. Park and M. S. Choi(2015) Effect of above and below-ground container cultivation on growth of Quercus glauca 4 years old seedlings. J. Agri & Life Sci 49(6):9-17. 

  19. Johnson, F., J. Paterson, G. Leeder, C. Mansfield, F. Pinto and S. Watson(1996) Artificial regeneration of Ontario's Forest: Species and stock selection manual. Forest Research Information Paper No. 131. 

  20. Kang, A. R. and S. G. Park(2017) Growth and ground coverage of Ophiopogon japonicus 'Nanus' under different shade conditions. J. KILA 45(2): 68-75. 

  21. Kang, J. S., J. M. Suh, H. M. Shin, J. H. Cho and C. O. Hong(2013) Effects of compost application and plastic mulching on soil carbon sequestration in upland soil. K. J Environ Agric 32(4): 260-267. 

  22. Kim, J. H and S. J. Park(2010) An analysis of the yarfing productivity and cost in forest tending operation. J. K. For. Soc 99(4):625-632. 

  23. Kim, J. H., D. H. Kim and D. H. Lee(2015) Effects of fertilizer treatment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2-years old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container seedlings. J. Agri & Life Sci 49(1): 63-70. 

  24. Lee, C. Y., T. J, Kim and G. J. Lee(2010) Effects of organic mulching on potato production and weed management. K. J. Org. Agri 18(4); 587-598. 

  25. Lee, K. W. and D. G. Kim(2017) Freezing injury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warm-temperature in the southern region in Korea. J. K. Env. Res. Tech 20(1): 77-96. 

  26. Leiva, M. J. and R. Fernandez-Ales(1998) Variability in seedling water status during drought within a Quercus ilex subsp. ballota population, and its relation to seedling morphology.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11: 147-156. 

  27. Lim, K. H., S. G. Kim, D. I. Seo, Y. W. Yang, Y. S. Kim, H. J. Kim and J. K. Kim(2009) The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and weed control methods on growth and weed occurrence of pesticide-free kale(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K. J. Org. Agri 17(4):501-517. 

  28. Mackinney, G.(1941) Absorption of light by chlorophyll solution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40: 315-322. 

  29. Mattsson, A.(1996) Prediction field performance using seedling quality assessment. New Forests 13. 

  30. Mullin, R. E. and C. Christl(1982) Morphological grading of white pine nursery stock. The Forestry Chronicle 58: 40-43. 

  31. Naidu, S. L. and E. H. Delucia(1998)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acclimation of shade-grown tree seedlings to late-season canopy gap formation. Plant Ecology 138: 27-40. 

  32.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https://species.nibr.go.kr) 

  33. Oh, G. K. and D. G. Kim(2006) Ecological Revengetation Engineering. Gwangil Publishing Co., Ltd. 

  34. Park, J. M., J. H. Kang, E. H. Jeong and G. W. Song(2004) Growth an yield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Affected by mulching methods. K. J. Medi Crop Sci 12(3): 226-230. 

  35. Reynolds, J. F. and C. D'Antonio(1996)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plasticity in root weight ratio in response to nitogen: Opinion. Plant and Soil 185(1): 75-97. 

  36. Ritchie, G. A.(1984) Assessing seedling quality. In: Duryea, M. L. and T. D. Landis(Eds), Forest Nursery Manual 1: Production of Bareroot Seedlings. Martinus Nijh off Publishers. Netherlands. pp.243-259. 

  37. Roh, S. W., Y. C. Ku, D. Y. Song, J. H. Park and K. Y. Seong(2004)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hange od dominant weed species on upland fields in Chungcheong region. K. J. Weed Sci 24(1):72-77. 

  38. Sagong, D. H., S. J. Lee, S. G. Han and T. M. Yoon(2011) The influence of materials for surface mulching on soil temperature and vegetative growth of apple nursery trees. K. J. Agri and Forest Mete 13(1): 1-9. 

  39. Sestak, Z., J. Eatsky and P. G. Jarvis(1971) Plant photosynthetic production manual of methods. The Hague 818. 

  40. Shin, S. O., H. S. Shim, W. Y. Han, H. T. Kim, C. S. Jeong and I. Y. Baek(2012) Difference of growth chatacteristics and yield under P. E. filim mulching soybean cultivation in southern region og Korea. K, J. Intl. Agri 24(1): 12-21. 

  41. Sung, H. I., G. S. Song, Y. G. Cha and J. J. Kim(2011)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seedling quality of 1-year old Quercus myrsinaefolia by shading and fertilizing treatmen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4): 598-608. 

  42. Switzer G. L. and L. E. Nelson(1963) Effect of nursery fertility and density on seedling characteristics yield, and field perfomance of lobby pine(Pinus taeda L.). Soil Sci. Soc. Amer. Proc 27:461-464. 

  43. Thompson, B. E.(1985) Seedling morphological evaluation - What you can tell by looking. In : Proceedings, Evaluation Seedling Quality: Principles, Procedures, and Predictive Abilities of Major Tests. Durvea, M. L. (ed.), Forest Research Lab. Oregon State Univ, Corvallis. 

  44. Unger, P. W.(1978) Straw mulch effects on soil temperatures and sorghum germination and growth. Agron. J. 70: 858-864. 

  45. Yoon, J. H., K. S. jeon, K. S. Song, Y. B. Park, Y. S. Moon and D. H. Lee(2014)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Cacalia firma seedlings by shading conditions in forest farming. J. K. For. Soc 130(1): 65-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