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들의 교대근무가 식행동 및 건강관련요인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behavior and health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shift work in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7 no.6, 2014년, pp.416 - 425  

김지명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식품영양전공) ,  강복희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health-related behavior of nurse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 nurses studying at a cyber universit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tress,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들의 교대근무에 따른 스트레스와 이들의 식습관, 식행동 및 건강관련행동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다니며 근무를 하고 있는 간호사 161명을 대상으로 교대근무에 따른 스트레스와 이들의 식습관, 식행동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건강관련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교대근무가 불가피한 이유는? 1 이와는 달리 비교대 근무 간호사란 정규시간에 맞추어 고정적으로 근무하는 형태를 말한다.2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의료기관은 24시간 내내 가동하여야 하며, 특히 환자와 가장 밀착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최상의 간호를 제공해야 하는 간호사의 경우 교대 근무가 불가피하다.3
비교대 근무 간호사란? 교대 근무 간호사란 근로자들을 2개조 이상으로 조직하여 1일 근로를 두 개 이상의 시간으로 구분하여 일정한 기일마다 교대로 작업하게 하는 변칙적 근로형태로 간호사 면허를 가진 자가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업무에 종사하는 간호사를 말한다.1 이와는 달리 비교대 근무 간호사란 정규시간에 맞추어 고정적으로 근무하는 형태를 말한다.2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의료기관은 24시간 내내 가동하여야 하며, 특히 환자와 가장 밀착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최상의 간호를 제공해야 하는 간호사의 경우 교대 근무가 불가피하다.
교대 근무 간호사란? 교대 근무 간호사란 근로자들을 2개조 이상으로 조직하여 1일 근로를 두 개 이상의 시간으로 구분하여 일정한 기일마다 교대로 작업하게 하는 변칙적 근로형태로 간호사 면허를 가진 자가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업무에 종사하는 간호사를 말한다.1 이와는 달리 비교대 근무 간호사란 정규시간에 맞추어 고정적으로 근무하는 형태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Park IS. A study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s [dissertation]. P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1995. 

  2. Yun JY, Ham OK, Cho IS, Lim JY. Effec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mental health status of shift and non-shift nurses on quality of life. J Korean Acad Public Health Nurs 2012; 26(2): 268-279. 

  3. Lee KJ, Kim MR, Lee AS, Lee JH, Jang YH, Jung MS. Research about development of working type for improving work conditions on nursing. Seoul: Report of service for working nurses of hospitals; 2006. 

  4. Park JS. The prevention of industrial fatigue and health care in the shift workers. Ulsan: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1993. 

  5. Akerstedt T. Psychological and psychophysiological effects of shift work.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0; 16 Suppl 1:67-73. 

  6. Lee SY, Kim YM. The impact of stress and sleep in shift nurses. Proc Cathol Sangji Coll 2004; 30: 157-176. 

  7. Sung MH, Yoon GS. Fatigu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shift work nurses. Health Sci 2011; 3: 22-36. 

  8. Kim HC, Kwon KS, Koh DH, Leem JH, Park SG, Shin JY, Lee YC, Kim YK.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6; 18(1): 25-34. 

  9. Hardy GE, Shapiro DA, Borrill CS. Fatigue in the workforce of National Health Service Trusts: levels of symptomatology and links with minor psychiatric disorder, demographic, occupational and work role factors. J Psychosom Res 1997; 43(1): 83-92. 

  10. Wall TD, Bolden RI, Borrill CS, Carter AJ, Golya DA, Hardy GE, Haynes CE, Rick JE, Shapiro DA, West MA. Minor psychiatric disorder in NHS trust staff: occupational and gender differences. Br J Psychiatry 1997; 171: 519-523. 

  11. Suzuki K, Ohida T, Kaneita Y, Yokoyama E, Miyake T, Harano S, Yagi Y, Ibuka E, Kaneko A, Tsutsui T, Uchiyama M. Mental health status, shift work, and occupational accidents among hospital nurses in Japan. J Occup Health 2004; 46(6): 448-454. 

  12. Ko JW, Yom YH.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J Korean Acad Nurs 2003; 33(2): 265-274. 

  13. Lee KA. A comparison of eating and general health practices to the degree of health consciousness in Pusa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9; 28(3): 732-746. 

  14. Kim JH, Lee MJ, Yang IS, Moon SJ.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Korean eating behavior. Korean J Food Cult 1992; 7(1): 1-8. 

  15. Lee JT, Lee KJ, Park JB, Lee KW, Jang KY. The relations between shiftwork and sleep disturbance in a university hospital nurs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7; 19(3): 223-230. 

  16. Zhao I, Turner C. The impact of shift work on people's daily health habits and adverse health outcomes. Aust J Adv Nurs 2008; 25(3): 8-22. 

  17. Kim HK, Lee TY, Kim KH.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shifting nurses' on the health condition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2010; 11(3): 1126-1132. 

  18. Yoon HS, Choi YY. Stress level and health-related behavior of nurses working in the Kyungnam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8(5): 781-793. 

  19. Kim WY, Cho MS, Lee H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2003; 36(1): 83-92. 

  20. Lee SL, Kim SJ. Health-related factors and nutritional status in shift-workers at coffee shops: focused on single women in twentie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5): 467-477. 

  21. Kim JH, Lee MJ, Moo SJ, Shin SC, Kim MK. Ecological analysis of food behavior and life-style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Korea. Korean J Nutr 1993; 26(9): 1129-1137. 

  22. Choue RW, Hong JY, Lee HW, Lee SL.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development of nutritional consultation during medical examination of employees and of worksite nutrition programs. J Korean Diet Assoc 1996; 2(1): 20-28. 

  23. Kim H, Moon S, Lee K.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nurses, medical doctors and factory workers. Korean J Nutr 1980; 13(3): 126-133. 

  24. Bilski B. Influence of shift work on the diet and gastrointestinal complains among nurses. A pilot study. Med Pr 2006; 57(1): 15-19. 

  25. Sudo N, Ohtsuka R. Nutrient intake among female shift workers in a computer factory in Japan. Int J Food Sci Nutr 2001; 52(4): 367-378. 

  26. Choi SK, Lee KS, Lee JW, Koo JW, Park CY. Health behavior practices and need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according to shift work pattern in subway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3; 15(1): 37-51. 

  27. Seo JS.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status of clinical nurses. Korean J Rehabil Nurs 2002; 5(1): 71-85. 

  28. Breslow L, Enstrom JE. Persistence of health habits and their relationship to mortality. Prev Med 1980; 9(4): 469-483. 

  29. Yoon HS, Choi YS.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health consciousness and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attitud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Masan city. Korean J Nutr 2002; 35(3): 368-379. 

  30. Suh ES, Kim IS, Kwon TB. The effect of living custom of health, exercise, etc. on the health. 1. A study on nutrient intake. Korean J Gerontol 1994; 4(2): 71-76. 

  31. Sim KS, Lee KH.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knowledge and health improvement in dyslipidemic industrial employees. J Korean Diet Assoc 2012; 18(1): 43-58. 

  32. Occupational Health Clinics for Ontario Workers Inc. (CA). Shiftwork: health effects & solutions [Internet]. Ontario: Occupational health clinics for Ontario workers Inc.; 2005 [cited 2014 Jul 28]. Available from: http://nupge.ca/sites/nupge.ca/files/Shiftwork.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