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7C 부여 관북리 유적의 동 생산기법 연구
A Study of Copper Production Techniques at the Archaeological Site in Gwanbukri, Buyeo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6 no.3, 2020년, pp.162 - 177  

이가영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조남철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여 관북리 유적에서 시행된 동 생산 및 제련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나'지구, '라'지구 출토동 생산 부산물(동 슬래그 및 동 도가니) 11점의 과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방법은 파장분산형 X-선 형광 분석, X-선 회절 분석, 금속 현미경 관찰, 주사 전자현미경-에너지 분산형 X-선 분석기, 전계방출 전자탐침미량분석기, 라만 마이크로분광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관북리 동 슬래그에서는 주로 도가니 슬래그 및 정련 슬래그에서 전형적인 특징으로 나타나는 규산염 광물, Magnetite, Fayalite, Delafossite 등이 검출되었다. 또한 관북리 동 슬래그는 외형 및 미세조직의 양상의 특성에 따라 1. 유리질 바탕 기지 + Cu prill, 2. 유리질 바탕 기지 + Cu prill + Magnetite, 3. 규산염 광물 바탕 기지 + Cu prill, 4. 결정질(Delafossite, Magnetite)/유리질(비정질) 바탕 기지 + Cu prill, 5. Magnetite + Fayalite, 6. 청동합금 슬래그로 분류되었다. 미세조직 내에는 SiO2, Al2O3, CaO, SO4 P2O5, Ag2O, Sb2O3 등의 불순물이 잔재되어 있으며, 일부는 주석과 납이 합금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부여 관북리 유적에서는 동 생산과정 중 배소와 제련을 거친 동 중간생성물의 정련과 불순물이 함유된 동-주석, 또는 동-주석-납의 합금정련을 시행하였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copper production and smelting process with 11 copper smelting by-products (copper slag and copper crucible) excavated from the NA and LA areas at the Gwanbuk-ri archeological site in Buyeo.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wav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백제 사비기의 왕궁 후보지인 부여 관북리 유적의 ‘나’지구, ‘라’지구에서 출토된 동 슬래그 및 동 도가니 11점을 대상으로 과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부여 관북리 유적에서 시행된 동 생산과정을 살펴보고 유구의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chman, H. G., 1982, The Identification of slags from archaeological sites, Routledge, New York. 

  2.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9, Buyeo Gwanbuk-ri Historic site of Baekje excavation report III, 67-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uzatu, A. and Buzgar, N., 2010, The Raman study of single-chanin silicates. Analele Sti ntifice ale Universitati "Alexandru Ioan Cuza" Iasi, seria Geologie, 56(1), 107-125. 

  4. Cho, H.K., 2015, Manufacturing technology of iron swords in the midwestern Korea from 2nd to 6th century AD, Doctor's thesis, Kongju University, Kongju.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Eliyahu-Behar, A., Yahalom-Mack, N., Shilstein, S., Zukerman, A, Shafer-Elliott, C., Maeir, A., Boaretto, E., Finkelstein, I., Weiner, S,. 2012, Iron and bronze production in Iron Age IIA Philistia: New evidence from Tell es-Safi/Gath, Israel,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9(2). 

  6. Hauptmann, A., 2007, The Archaeo-metallurgy of Copper (Evidence from Faynan, Jordan). Springer, Bochum, 157-215. 

  7.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4, Natural science analysis report of excavated artifacts from the Jungwon area, 187-1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S.J. and Kim, 2017, A study on analysis of smelting slags produced reproduction experiment of iron smelting furnace and interpretation method for the slag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3(2), 75-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won, H.N., 2001, The study on ancient copper smelting: Slags excavated from dongchun-dong, Kyungju.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2-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G.Y., 2019, Metallurgical study on the copper smelting by-products excavated from Gwanbuk-ri site in Buyeo, Master's thesis, Kongju University, Kongju.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J.S., 2006, The making place of copper(Dongso) and the using of copper in Koryo Dynasty,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25, 151-181. 

  12. Lee, S.J., 2018, Metalurgical study on the coper smelting by-products excavated from Ungyo site in Wanju, Jelabuk-do, Korea. Master's thesis, Kongju University, Kongju, 24-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Morimoto, N., 1988, The nomenclature of pyroxenes, Mineralogy and Petrology, 39, 55-76. 

  14. No, T.C., 2000, A study on the history of the ancient archaeometallurgy in Korea, Hakyounmoonhwasa, Seoul, 109-156. 

  15. Park, J.H,, Choi, U.K., Choe, H.I., and Shin, S.H., 2015, Characteristic of flotation for recovery of copper from copper slag in Kazakhsta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24(4), 12-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Vania, S. F., Muralha, V.S.F., Rehren, T. and Clark R.J.H., 2011, Characterization of an iron smelting slag from Zimbabwe by Raman microscopy and electron beam analysis, Journal of Raman Spectroscopy, 42(12), 2077-2084. 

  17. Yoon, D.S., 1986, On the slag produced in early iron metallurgy, The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25, 197-2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