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부청(釜山府廳)의 건축과정과 변용특성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 of Municipal Building in Busan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9 no.5, 2020년, pp.7 - 16  

송혜영 (부산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unicipal Building of Busan was the first western-style building of Korea in 1879. It was also the predecessor of Busan Metropolitan City Hall. On the other hand, the Municipal Building of Busan was a symbolic structure that shows the history of Busan. The Municipal Building of Busan has inherit...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초량왜관의 관수왜가 부지 위에 1879년 건립된 부산일본영사관에서 1936년 청사 이전(移轉) 직전까지 존치된 부산부청에 대해, 부지 활용의 연속성에 주목하여 건축과정과 공간변용을 고찰하려 한다. 이는 부산의 역사에서 행정관청이 지녔던 존립 및 건축적 특성에 기반을 둔 공간적 의미를 찾기 위한 시도의 일환이기도 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산부청이란? 부산부청(釜山府廳)은 1879년 이 땅 위에 건립된 최초의 서양식(西洋式) 건물인 부산일본영사관(釜山日本領事館)을 승계하였으며 오늘날 부산광역시청의 전신(前身)이다. 부산지역 근대 및 일제강점기를 동시에 상징했던 부산부청은 1938년 부립(府立) 도서관으로 전용(轉用) 중 화재로 소실되어 현존하지 않지만, 조선후기 이래 지역사(地域史)의 흐름을 한눈에 보여줄 수 있는 상징적인 건축물이기도 하다.
부산부청의 신축은 부산의 지역사에 있어서 크게 세 가지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이 중 필자가 말한 첫번째로 발생한 현상은 무엇인가? 첫째, 용두산 자락에 자리 잡고 있던 행정관서가 해안가로 이전됨에 따라 이른바 해안 변두리가 중심지로 변모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림 13>은 부산부청의 이전을 지적도(地籍圖)로 표현한 것으로, 이른바 내륙에서 해안으로 공간의 이동이 발생함을 보여준다.
부산부청은 어떠한 건축물인가? 부산부청(釜山府廳)은 1879년 이 땅 위에 건립된 최초의 서양식(西洋式) 건물인 부산일본영사관(釜山日本領事館)을 승계하였으며 오늘날 부산광역시청의 전신(前身)이다. 부산지역 근대 및 일제강점기를 동시에 상징했던 부산부청은 1938년 부립(府立) 도서관으로 전용(轉用) 중 화재로 소실되어 현존하지 않지만, 조선후기 이래 지역사(地域史)의 흐름을 한눈에 보여줄 수 있는 상징적인 건축물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부산부, 부산부사원고(영인본), 민족문화, 1986 

  2. 부산시사편찬위원회, 부산시사, 1989-1991 

  3. 부산광역시 중구, 기록사진으로 보는 부산.부산항 130년, 2005 

  4. 부산시립박물관, 사진엽서, 부산의 근대를 이야기하다, 2007 

  5. 부산광역시.부산대학교, 부산고지도, 2008 

  6. 부경근대사료연구소, 부산근대지도모음, 2012 

  7. 조선왕조실록 (sillok.history.go.kr) 

  8.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www.koreanhistory.or.kr) 

  9. 한국사데이터베이스 (db.history.go.kr) 

  10. 규장각한국학연구원 (kyujanggak.snu.ac.kr) 

  11. 한국고전종합DB (db.itkc.or.kr) 

  12. 국가통계포털 (kosis.kr) 

  13. 국가기록원 (www.archives.go.kr) '통합검색' 활용 

  14. 日本京都大學電子?書館(edb.kulib.kyoto-u.ac.jp) 

  15. 日本國立公文書館(www.digital.archives.go.j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