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의금부(義禁府) 청사(廳舍)의 변화 과정과 건축 공간 구성
Transition process and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Prime Jurisdiction office in Joseon Dynasty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9 no.5, 2020년, pp.29 - 40  

배창현 (울산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i-Gum-Bu(義禁府) is regarded as a key organization that reflects the power of the royal authority, mainly because it directly obeys the king's command and retains the power to punish or pardon government officials for severe crimes such as treason or significant breach of Confucian ethics. For this re...

주제어

표/그림 (1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출 지붕은 어떤 요소인가? 이와 같이 돌출 지붕을 청사를 비롯하여 출입문에도 연속적으로 두는 구성은 동시대의 관아 건축에서는 동일한 사례를 찾기 어렵다. 이러한 돌출 지붕은 궁궐의 일부 전각이나 왕릉의 정자각과 같은 의례용 건물에서 주된 행례가 일어나는 중심 공간의 전면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의금부 청사의 구성 방식은? 이와 같은 의금부의 특성은 청사의 구성 방식에서도 잘 드러난다. 유사 관청들과는 달리 중심 건물의 전면에 돌출된 지붕을 두어 심문 공간으로 이용하였는데, 때로는 왕이 직접 거둥하여 관련 절차를 주관하기도 했다. 돌출 지붕은 청사 전면의 대문에도 두었으며, 이 부분으로의 출입은 당상관 이상의 일부 관리들에게만 허용되었다.
의금부의 역할은? 조선시대에 범죄를 다루던 관청으로는 의금부, 형조, 사헌부, 포도청 등이 있다. 이 중 의금부는 주로 왕명을 직접 받들어 고위 관직자들을 대상으로 반역죄와 같은 중범죄에 대한 형사절차를 주관하거나 사면권을 행사했다. 이 때문에 의금부는 왕권의 위세를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핵심 기구로 평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金吾憲錄 

  2. 茶山詩文集 

  3. 東國與地備考 

  4. 朝鮮王朝實錄 

  5. 공평도시유적전시관, 금오계첩 : 공평도시유적전시관 특별기획전, 서울역사박물관, 2019 

  6. 국가기록원,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III-법원.형무소편, 2010 

  7. 문화재청, 전주객사 수리.정밀실측보고서, 2004, 56쪽 

  8. 박명양, 이의현 저, 김영석 역, 금오헌록 역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9. 배창현, 한국건축의 ?과 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107-108쪽. 

  10.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건축사, 1999, 1029쪽 

  11. 안휘준, 한국의 文人契會와 契會圖, 韓國繪?의 傳統, 문예출판사, 1988 

  12. 여상진, 조선시대 객사의 영건과 성격 변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62-67쪽 

  13. 윤진영, 조선후기 金吾契帖의 제작관행과 신경향, 朝鮮時代史學報, 91호, 2019, 197-234쪽 

  14. 최윤철, 한국전통회화에서 사용된 부감법에 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2권 4호, 2011, 377-387쪽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