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 에너지저장광물 국내외 연구동향 및 전망
Trends and Prospects of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on Earth Energy Storage Mineral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1 no.5, 2020년, pp.437 - 446  

김정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래전략연구센터) ,  김성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래전략연구센터) ,  안은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래전략연구센터) ,  배준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래전략연구센터) ,  이재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래전략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기차,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수요급증으로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증가해 왔다. 에너지 저장장치의 핵심원료인 리튬과 바나듐 등과 같은 에너지저장광물 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술적 대안이 필요하다. 이미 리튬과 바나듐을 직접 확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여러 국가들의 연구개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효과적인 연구개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 특허 및 논문 분석을 통해 각 국의 기술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기술발전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1970년부터 2019년 10월까지 출원 공개 또는 출원 등록된 한국, 미국, 유럽, 일본의 특허자료와 2000년 1월부터 2019년 10월까지의 논문을 대상 검색된 자료를 통해 신기술 개발동향 및 국내외 연구개발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에너지저장광물과 관련된 기술의 성장단계는 태동기 단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기술시장 선도와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개발된 기술에 대한 실증을 병행하여 빠르게 기술을 고도화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pid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and energy storage systems has increased interest in energy storage devices worldwide. New technological alternatives are needed to reliably supply energy storage mineral resources such as lithium and vanadium, which are key materials for energy storage devic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81; Karki, 1997; KIPO, 2007, Park and Park, 2018; Shin, 200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저장광물 확보와 관련된 기술의 한국, 미국, 일본, 유럽의 특허정보와 논문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기술 분야의 신기술개발동향과 국내외 구동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나듐은 어디에 사용되었는가? 바나듐은 은회색의 전이금속으로서 철강에 소량만 첨가하여도 강도가 높아지고 충격과 마모에 물성을 갖게 해주는 특징으로 인하여, 첨단산업 및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고강도 합금의 원료로 주로 사용되었다(Lee, 2009, Lmtiaz et al., 2015; Wang et al.
에너지저장광물 확보와 관련 기술의 기술별 논문게재동향은 어떠한가? 7과 같다. 총 999건의 논문 중 ‘에너지저장광물 정밀탐사기술 개발 및 부존량 예측’ 분야의 논문은 657건이며, 게재 동향을 살펴보면 논문분석 초기인 2000년대 초반부터 중반까지 평균 10건 미만의 논문게재를 보이고 있다. 이후 2009년부터 매년 80건 이상의 논문게재를 보이며,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바나듐 광물 제련/선광 기술’ 분야의 논문은 342건이며, 게재동향을 살펴보면 2000년대 초반에는 증감을 반복하다가 2000년대 후반부터 논문이 소폭 증가하였다. 이후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나,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저장광물 정밀탐사기술 개발 및 부존량 예측’ 분야에 대한 논문이 ‘바나듐 광물 제련/선광 기술’ 분야의 논문보다 315건이 더 많이 게재된 것으로 보아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에너지 저장장치의 핵심원료는 무엇이 있는가? 전기차,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수요급증으로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증가해 왔다. 에너지 저장장치의 핵심원료인 리튬과 바나듐 등과 같은 에너지저장광물 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술적 대안이 필요하다. 이미 리튬과 바나듐을 직접 확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여러 국가들의 연구개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reitzman, A., 2003, A discussion of patent activity and citation statistics, The Lemelson-MIT Program Workshop Paper, 16-21. 

  2. Carpenter, M.P., Narin, F. and Woolf, P., 1981, citation rates to technologically important patents, World Patent Information, 3, 160-163. 

  3. Cho, S.J., 2020, Development and potential resources prediction of exploration technology for energy storage minerals bearing vanadium (V) in Korea, Research Project Proposal of KIGAM's Basic Research Program, p. 93. 

  4. Choi, C.Y., Kim, S.H., Kim, R.Y., Choi, Y.S., Kim, S.W., Jung, H.Y., Yang, J.H., and Kim, H.T., 2017, A review of vanadium electrolytes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69, 263-274. 

  5. Choi, Y.H., Park, Y.R., and Noh, J.H., 2014. Genesis of Boam lithium deposits in Wangpiri, Ulji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4), 489-500. 

  6. Cunha, A., Martins, J., Rodrigues, N., and Brito, F.P., 2015, 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a technology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Research, 39, 889-918. 

  7. Jeon, H.S., 2020,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ining/smelting/utilization for energy storage minerals bearing vanadium (V) in Korea, Research Project Proposal of KIGAM's Basic Research Program, p.257. 

  8. Jeon, H.S., Baek, S.H., Kim, S.M., and Go, B.H., 2018, Status of reserves and development technology of rare earth metal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55(1), 67-82. 

  9. Jordens, A., Cheng, Y.P., and Waters, K.E., 2013. A review of the beneficiation of rare earth element bearing minerals. Minerals Engineering, 41, 97-114. 

  10. Ju. J., Fu, H.G., Wei, S.Z., Sang, P., Wu, Z.W., Tang, K.Z., and Lei, Y.P., 2018. Effects of Cr and V additions on the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of hign-vanadium wear- resistant alloy steel. Ironmaking and Steelmaking, 45(2), 176-186. 

  11. Karki, M.M., 1997, Patent citation analysis: A policy analysis tool. World Patent Information, 19(4), 269-272. 

  12. Kim, J.S., 2013,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e recovery of uranium and vanadium from Korean black shale o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22(1), 3-10. 

  13. Kim, J.M. and Park, H.S., 2017. Experimental analysis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in vanadium redox flow battery. Applied Energy, 206, 451-457. 

  14. Kim, S.M. and Jeon, H.S., 2019, Separation processes for self-sufficient recovery of vanadium resourc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56(3), 292-302. 

  15. KIPO (Korea Institute of Patent Information), 2007, Indicators and techniques for patent information analysis, Patent 21, 72, 2-19. 

  16. Lee, C.H., Lee, H.K., and Shin, M.A., 1997, Barium-vanadium muscovite of coaly metapelite in the Hoenam area of the Ogcheon Supergroup,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3(2), 55-64. 

  17. Lee, G.J., Kim, S.Y., and Koh, S.M., 2013, Potential evaluation of the Uljin lithium deposit. Mineral and Industry, 26, 32-36. 

  18. Lee, H.B., 2009, Domestic vanadium stock adequacy. Mineral and Industry, 22(1), 60-70. 

  19. Lmtiaz, M., Rizwan, M.S., Xiong, S., Li, H., Ashraf, M., Shahzad, S.M., Shahzad, M., Rizwan, M., and Tu, S., 2015, Vanadium, recent advancements and research prospects: A review. Environment International, 80, 79-88. 

  20. Park, G.S., Cho. S.J., Oh, H.J. and Lee, C.W., 2014, Mineral potential mapping of Gagok mine using 3D geological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6(6), 412-421. 

  21. Park, K.H. and Sohn, J.S., 2008, Status and prospect of vanadium resources and processing. Trends in Metals and Materials Engineering, 21(4), 4014. 

  22. Park, K.R. and Park, H.J., 2018,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conceptual change in Ear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9(2), 193-207. 

  23. Shin, D.H., 2000, Past, present, and future of earth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1(4), 479-487. 

  24. Tang, J., Zhang, Y., Bao, S., and Liu, C., 2016, Pre-concentration of vanadium-bearing mica from stone coal by roasting-flotation. Physicochemical Problems of Mineral Processing, 53(1), 402-412. 

  25. .Wang, M., Huang, S., Chen, B., and Wang, X., 2018, A review of processing technologies for vanadium extraction from stone coal. Mineral Processing and Extractive Metallurgy, 1-9. 

  26. Xu, C., Zhang, Y., Liu, T., and Huang, J., 2017, Characterization and pre-concentration of low-grade vanadium titanium magnetite ore. Minerals, 7(8), 137-148. 

  27. Yan, B., Wang, D., Wu, L., and Dong, Y., 2018, A novel approach for pre-concentrating vanadium from stone coal ore. Minerals Engineering, 125, 231-23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