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남동 지역에서 발생한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의 종관 기상학적 군집 특성 분석
Cluster Analysis of Synoptic Scal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n High PM10 Concentration Episode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1 no.5, 2020년, pp.447 - 458  

채다은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과) ,  이강열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이순환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K-means 군집 분석을 통하여 최근 5년간(2014-2018) 한반도 남동 지역의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종관 기상 패턴을 분류하였다. 또한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일의 발생과 관련된 지역적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NCEP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FNL (Final Operational Global Analysis) 재해석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부산, 울산, 경남 지역의 미세먼지 발생 특성과 관련된 종관 규모 기상의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도 수행하였다. 한반도 남동 지역의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일과 관련된 종관 기상 패턴은 총 5개(C1-C5)로 분류된다. 각 군집의 발생빈도는 24.8% (C1), 21.3% (C2), 20.4% (C3), 17.3% (C4), 16.2% (C5)이다. 기상 패턴 분석을 통하여 제시된 남동 지역의 고농도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요인에는 지역 외부에서 장·단거리 수송(C1, C3, C5)에 의한 영향과 지역내 배출(C2, C4)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일에 대해 부산, 울산, 경남 세 지역의 기상장을 분석하였을 때, 500 hPa 지위 고도 및 풍속 등의 기상학적 특성이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고기압의 작은 위치 변화가 각 지역의 미세먼지 발원과 장거리 이동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sents the K-means clustering analysis-based classification of the meteorological pattern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high PM10 concentration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last five years (2014-2018). Regional difference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re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 동안에 한반도 남동 지역에 발생한 고농도 PM10 사례일의 바람장 분포에 대해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한반도 남동 지역의 고농도 사례일에 영향을 미치는 바람의 주요 패턴에 대해 파악하고, 장기간 관측 및 재분석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지리적으로 맞닿아 있는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서 종관규모 기상장의 미세한 차이가 유발할 수 있는 고농도 발생 시 미세먼지 확산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5년(2014-2018년) 동안, 한반도 남동 지역에서의 미세먼지 발생일 중 고농도 PM10 사례일을 선정하여 해당 사례일에 대해 바람장을 분석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2014-2018) 동안에 한반도 남동 지역에 발생한 고농도 PM10 사례일에 대해 바람 패턴을 분류하고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 고농도 사례일이 발생하였을 때의 지역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500 hPa 평균 지위 고도와 바람장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1°×1°의 해상도를 가지는 NCEP FNL 재분석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M10은 무슨 문제를 발생시키는가? , 2015). 특히, 입자상 오염물질 중 10 μm 이하인 것을 PM10이라고 하며, PM10은 시정을 감소시키며 천식과 같은 호흡기계 질병 악화, 폐기능 저하 및식물의 신진대사 방해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Kim et al., 2013; Lee et al.
공기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은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가? , 2015). 이러한 노력으로 2000년 이래로 국내 PM10 농도는 2012년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후 다소 증가하는 추세이며, 전국 연평균 PM10 농도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51.2 μg m−3, 51.9 μg m−3, 51.0 μg m−3으로, WHO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권고치인 20 μg m−3을 크게 웃돌고 있는 실정이다(Kim et al., 2017; Kim et al.
PM10은 무엇인가? , 2015). 특히, 입자상 오염물질 중 10 μm 이하인 것을 PM10이라고 하며, PM10은 시정을 감소시키며 천식과 같은 호흡기계 질병 악화, 폐기능 저하 및식물의 신진대사 방해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Kim et al., 2013;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med, E., Kim, K.H., Shon, Z.H., and Song, S.K., 2015, Long-term trend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in Seoul, Korea from 2004 to 2013. Atmospheric Environment 101, 125-133. 

  2. Hong, S.H. and Lee, S.H., 2017, Characteristic of $PM_{10}$ Distribution Related to Precise Local Wind Patterns in Busa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6(12), 1375-1387. 

  3. Jeon, B.I., 2012,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intertime High $PM_{10}$ concentration Episodes in Busan.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1(7), 815-824. 

  4. Jeon, W.B., Choi, Y.S., Lee, H.W., Lee, S.H., Yoo, J.W., Park, J.H., and Lee, H.J, 2015, A quantitative analysis of grid nudging effect on each process of $PM_{2.5}$ production in the Korean Peninsula. Atmospheric Environment 122, 763-774. 

  5. Jeon, W.B., Lee, H.W., Lee, T.J., Yoo, J.W., Mun, J.H., Lee, S.H., and Choi, Y.S., 2019, Impact of Varying Wind Patterns on $PM_{10}$ Concentr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South Korea from 2012 to 2016.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58(12), 2734-2755. 

  6. Kim, E.H., Bae, C.H., Yoo, C., Kim, B.U., Kim, H.C., and Kim, S.T., 2018,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mission Control Measures to Improve PM2.5 Concentra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4(3), 469-485. 

  7. Kim, H.C., Kim, S.T., Kim, B.U., Jin, C.S., Hong, S.Y., Park, R.J., Son, S.W., Bae, C.H., Bae, M.A., Song, C.G., and Stein, A., 2017, Recent increase of surfac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Scientific Reports 7:4710. 

  8. Kim, J.H. and Kang, S.W.,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PM_{10}$ Pollution in Korea, 2018, Korea Environmental Economics Association, 779-791. 

  9. Kim, M.K., Juong, W.S., Lee, H.W., Do, W.G., Cho, J.G., and Lee, K.O., 2013, Analysis on Meteorological Factor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PM_{10}$ Concentration in Busa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9), 1213-1226. 

  10. Lee, J.H. and Kim, K,Y., 2018, Analysis of source regions and meteorological factors for the variability of spring $PM_{10}$ concentrations in Seoul,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175, 199-209. 

  11. Lee, K.Y., Lee, S.H., and Kim, E.J., 2016, Assessment of Global Air Quality Reanalysis and Its Impact as Chemical Boundary Conditions for a Local PM Modeling System.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5(7), 1029-1042. 

  12. Lee, S.H. and Lee, K.Y., 2015, Evaluation of Contribution Rate of PM Concentrations for Regional Emission Inventories in Korean Peninsula Using Brute-force Sensitivity Analysi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4(11), 1525-1540. 

  13. Lee, S.M., Ho, C.H., and Choi, Y.S., 2011, High- $PM_{10}$ concentration episodes in Seoul, Korea: Background sources and related meteorological conditions. Atmospheric Environment 45, 7240-7247. 

  14. Lee, S.M., Ho, C.H., Lee, Y.G., Choi, H.J., and Song, C.K., 2013, Influence of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from China on the high- $PM_{10}$ episode in Seoul, Korea for the period October 16-20, 2008. Atmospheric Environment 77, 430-439. 

  15. Seo, Y.S., 2016, An Empirical Study on Air Pollution in Korea'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Journal of Euraian Studies, 12(4), 89-110. 

  16. Souri, A.H., Choi, Y.S., Li, X., Kotsakis, A., and Jiang, X., 2016, A 15-year climatology of wind pattern impacts on surface ozone in Houston, Texas. Atmospheric Research 174-175, 124-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