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 및 주변환경의 특성이 도시공간의 온도저감에 미치는 영향
Heat Mitigation Effects of Urban Spa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k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3 no.5, 2020년, pp.1 - 14  

서정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오규식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mprove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efforts are being made to increase green areas in cities that include park construction, planting, and green roofing. Among these efforts, urban parks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improving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but also in terms of e...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대부분 공원의 온도저감 효과 또는 범위만을 규명하고 있으며, 공원 및 주변환경의 특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PCI 지표와 공원 및 주변환경 특성의 관계분석을 통해 도시의 열환경 개선에 효과적인 도시공원의 계획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PCI 지표를 기반으로 도시공원의 온도저감 성능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으며, 도시공원의 온도저감 성능이 증대 될 수 있는 공간적 특성과 온도저감에 유리한 도시공원의 특성을 계량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도시공원의 계획 및 관리를 위한 우선 순위 지역을 파악하거나 주변환경의 도시계획 및 관리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의 온도저감 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PCI(Park Cooling Islands) 지표(PCI 영향범위, PCI 효과, PCI 강도)를 구축한 후, PCI 지표와 도시공원 및 주변환경 특성의 관계분석을 통해 어떠한 도시공간에서 공원의 온도저감 성능이 증대될 수 있는지 규명함으로써 도시지역의 온도저감을 위한 효과적인 도시공원의 계획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열섬은 무엇인가? 78℃ 상승하였다(IPCC, 2014). 도시지역의 경우, 지속적인 개발로 인해 녹지 및 수공간의 면적은 감소하고 건축물과 도로의 면적은 증가하여, 인접한 교외지역보다 2~5℃ 이상 더 높게 나타나는 ‘도시열섬(UHI, Urban Heat Islands)’이 발생하고 있다(Howard, 1833; Landsberg, 1981). 이와 같은 도시지역의 고온현상은 도시민의 열적 스트레스뿐 아니라 탈진 및 사망과 같은 공중보건 상 피해를 초래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원 조성, 가로수 식재, 옥상녹화 등 도시내 녹지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지역의 고온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노력은? 도시지역의 경우, 지속적인 개발로 인해 녹지 및 수공간의 면적은 감소하고 건축물과 도로의 면적은 증가하여, 인접한 교외지역보다 2~5℃ 이상 더 높게 나타나는 ‘도시열섬(UHI, Urban Heat Islands)’이 발생하고 있다(Howard, 1833; Landsberg, 1981). 이와 같은 도시지역의 고온현상은 도시민의 열적 스트레스뿐 아니라 탈진 및 사망과 같은 공중보건 상 피해를 초래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원 조성, 가로수 식재, 옥상녹화 등 도시내 녹지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열섬 현상이 초래하는 것은 무엇인가? 도시지역의 경우, 지속적인 개발로 인해 녹지 및 수공간의 면적은 감소하고 건축물과 도로의 면적은 증가하여, 인접한 교외지역보다 2~5℃ 이상 더 높게 나타나는 ‘도시열섬(UHI, Urban Heat Islands)’이 발생하고 있다(Howard, 1833; Landsberg, 1981). 이와 같은 도시지역의 고온현상은 도시민의 열적 스트레스뿐 아니라 탈진 및 사망과 같은 공중보건 상 피해를 초래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원 조성, 가로수 식재, 옥상녹화 등 도시내 녹지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avipanah, S.?Wegmann, M.?Qureshi, S.? Weng, Q. and Koellner, T. 2015. The Role of Vegetation in Mitigating Urban Land Surface Temperatures: A Case Study of Munich, Germany during the Warm Season. Sustainability. 7(4): 4689-4706. 

  2. Bowler, D. E.?Lisette, B.?Knight, T. M. and Pullin, A. S. 2010. Urban greening to cool towns and cit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mpirical evidenc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7: 147-155. 

  3. Ca, V. T.?Asaeda, T. and Abu, E.M. 1998. Reductions in air conditioning energy caused by a nearby park. Energy and Buildings. 29: 83-92. 

  4. Cao, X.?Onishi, A.?Chen, J. and Imura, H. 2010. Quantifying the cool island intensity of urban parks using ASTER and IKONOS dat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6: 224-231. 

  5. Chang, C.?Li, M. and Chang, S. 2007. A preliminary study on the local cool island intensity of Taipei city park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0: 386-395. 

  6. Demuzere, M.?Orru, K.?Heidrich, O.? Olazabal, E.?Geneletti, D.?Orru, H.? Bhave, A.G.? Mittal, N.?Feliu, E. and Faehnle, M. 2014. Mitigating and adapting to climate change: Multi-functional and multi-scale assessment of green urban infrastruc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46:107-115. 

  7. Feyisa, G.L. . Dons, K. and Meilby, H. 2014. Efficiency of parks in mitigating urban heat island effect: An example from Addis Abab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23: 87-95 

  8. Howard, L. 1833. The climate of London: deduced from meteorological observations made in the metropolis and at various places around it electronic resource. Harvey and Darton. 

  9.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Geneva, Switzerland. 

  10. Jaurecui, E. 1990. Influence of a Large Urban Park on Temperature and Convective Precipitation in a Tropical City. Energy and Buildings. 15: 457-463. 

  11. Kim, E. . Lee, D. . Yoon, E. and Park, C. 2019. Exploration of Optimal urban green space using unused land -To improve green connectivity and thermal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2(5): 45-5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Kim, GH. . Kim, SB and Jung, EH. 2004. A Study on Green Net-Work Construction for Urban Heat Island Mitigation in Dalseo District,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3(6): 527-53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3. Kwon YA. 2002. The influence of urban green areas on ambient air temperature in seoul.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Konkuk. (in Korean) 

  14. Landsberg, H.E. 1981. The urban climate. Academic press. 

  15. Li, J. . Song, C. . Cao, L. . Zhu, F. . Meng, X. and Wu, J. 2011. Impacts of landscape structure on surface urban heat islands: A case study of Shanghai, Chin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5(12): 3249-3263. 

  16. Lee, K and Hong, W. 2008. A Study on the Urban Heat Environment Pattern Analysis and Alleviation Pla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9): 253-26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Lee, S. . Lee, K. . Zheng, H. . Jin, W. . Shin, D. and Woo, C. 2008. Cooling Effects of Botanical Garden in Urban Campus during Summe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5): 72-78.(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McGarigal, K. and Marks, B.J. 1995.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General Technical Repor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9. Oh, K. and Hong, J.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tial elements and the urban heat island effec.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6(1): 47-6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0. Onishi, A. . Cao, X. . Ito, T. . Shi, F. and Imura, H. 2010. Evaluating the potential for urban heat-island mitigation by greening parking lot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9(4): 323-332. 

  21. Park, JH. and Cho, GH. 2016. Influence of park size on the park cooling effect - Focused on Ilsan new town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1(5): 247-26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2. Rinner, C. and Hussain, M. 2011. Toronto's Urban Heat Island-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and Surface Temperature. Remote Sensing, 3(6): 1251-1265. 

  23. Seo, J. and Sung, H. A Study on the User-driven Urban Park Development Plan Awareness Survey - Focusing on Lawns.Grass A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2): 61-7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4. Smith, R. and Oke, T. 1998. The thermal regime of urban parks in two cities with di erent summer clim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9: 2085-2104. 

  25. Song, B. and Pakr, K. 2013. Air Ventilation Evaluation at Nighttime for the Construction of Wind Corridor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 16-2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6. Stewart, I.D. and Oke, T.R. 2012. Local Climate Aones for Urban Temperature Studies. American Meterological Studies. 93(12): 1879-1900. 

  27. Sun, R. and Chen, L. 2012. How can urban water bodies be designed for climate adapt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5: 27-33. 

  28. USGS, 2016. Landsat8(L8) data users handbook. Department of the Interior U.S. Geological Survey. 

  29. Xu, D.. Zhou, D.. Wang, Y.. Xu, W. . Yang, Y. 2019. Field measurement study on the impacts of urban spatial indicators on urban climate in a Chinese basin and static-wind city. Building and Environment. 147: 482-494 

  30. Zolch, T. . Rahman, M.A. . Pfleiderer, E. . Wagner, G. and Pauleit, S. 2019. Designing public squares with green infrastructure to optimize human thermal comfort. Building and Environment. 149: 640-654. 

  31. https://kostat.go.kr/portal/korea 

  32. https://map.kakao.com 

  33. https://www.suwon.go.kr/intro.js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