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ctivation and Onset Time of the Gluteus Maximus Muscle during Three Different Prone Table Hip Extension Exerci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JKPT =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32 no.5, 2020년, pp.295 - 301  

Jeon, In-Cheol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College of Life and Health Science, Hoseo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s, Hoseo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y and onset time of the gluteus maximus (GM) and hamstring (HAM), lumbopelvic kinematics during three different prone table hip extension exercises in healthy individuals. Methods: Twenty subjects were participated. El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6,17 본 연구에서는 PTHEA, PTHEAF 그리고 PTHEAFA의 세 가지 다른 PTHE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큰볼기근과 뒤넙다리근의 근활성도, 허리골반부위의 보상작용 그리고 해당 근육들의 수축 개시시간에 대해서 비교하는 연구이다.
  • 3)에 해당한다고 설명하였다.17 PTHE를 수행하면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좀 더 쉬운 자세에서 큰볼기근 강화운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보완된 PTHE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임상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일반적인 PTHE 운동을 수행하는 것은 엉덩관절 폄을 하기 위해 PHE보다 훨씬 많은 노력이 필요하므로,17 본 연구에서는 PTHE 운동을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고 보상작용을 최소화한 채 큰볼기근의 근활성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 반대쪽 지지하는 다리에 의자로 서포트를 할 예정이다.
  • PTHEAF with hip 30 abduction (PTHEAFA)]을 수행했을 때, 큰볼기근, 뒤넙다리근의 근활성도와 근 수축 개시시간 그리고 보상작용을 비교한 연구는 이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대상자가 PTHEA, PTHEAF 그리고 PTHEAFA의 세 가지 다른 PTHE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큰볼기근과 뒤넙다리근의 근활성도와 근 수축 개시시간 그리고 허리골반부위의 보상작용을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PTHEAFA 운동을 수행할 때, PTHEA와 PTHEAF 때보다 근활성도에 있어서, 큰볼기근의 유의한 증가와, 뒤넙다리근의 유의한 감소를 보일 것으로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제외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토마스 테스트 양성 반응-엉덩허리근 단축이 있는 자,17 2) 앞십자인대 염좌, 만성 발목 불안정성 또는 지난 12개월 안에 하지 부위에 장애를 받은 자, 3) 테스트 중 통증을 호소하는 자, 4) 양측 무릎 및 발목 관절의 제한된 운동 범위를 갖고 있는 자로 설정하였다. 실험 프로토콜은 모든 실험대상자에게 자세히 설명되었으며 각 실험대상자는 사전 서면 동의를 제공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대상자가 PTHEA, PTHEAF 그리고 PTHEAFA의 세 가지 다른 PTHE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큰볼기근과 뒤넙다리근의 근활성도와 근 수축 개시시간 그리고 허리골반부위의 보상작용을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PTHEAFA 운동을 수행할 때, PTHEA와 PTHEAF 때보다 근활성도에 있어서, 큰볼기근의 유의한 증가와, 뒤넙다리근의 유의한 감소를 보일 것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eon IC, Hwang UJ, Jung SH et al. Comparison of gluteus maximus and hamstring electromyographic activity and lumbopelvic motion during three different prone hip extension exercises in healthy volunteers. Phys Ther Sport. 2016;22:35-40. 

  2. Neumann DA.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 for rehabilitation. 3rd ed. Missouri, Mosby, 2017:488-509. 

  3. Kendall FP, McCreary EK, Provance PG.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5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2005:433-46. 

  4.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2012:764-6. 

  5. Sahrmann SA.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1st ed. Missouri, Mosby, 2002:220-49. 

  6. Lieberman DE, Raichlen DA, Pontzer H et al. The human gluteus maximus and its role in running. J Exp Biol. 2006;209(11):2143-55. 

  7. Hungerford B, Gilleard W, Hodges P. Evidence of altered lumbopelvic muscle recruitment in the presence of sacroiliac joint pain. Spine. 2003;28(14):1593-600. 

  8. Hossain M, Nokes LDM. A model of dynamic sacro-iliac joint instability from malrecruitment of gluteus maximus and biceps femoris muscles resulting in low back pain. Med Hypotheses. 2005;65(2):278-81. 

  9. Kim MK, Cho YH Park JW et al. The effects of the contraction degree of hip joint adductor on abdominal muscle activity during bilateral lower extremity raising. J Kor Phys Ther. 2016;28(3):217-20. 

  10. Chance-Larsen K, Littlewood C, Garth A. Prone hip extension with lower abdominal hollowing improves the relative timing of gluteus maximus activation in relation to biceps femoris. Man Ther. 2010;15(1):61-5. 

  11. Lewis CL, Sahrmann SA. Muscle activation and movement patterns during prone hip extension exercise in women. J Athl Train. 2009;44(3):238-48. 

  12. Wilson J, Ferris E, Heckler A et al. A structure review of the role of gluteus maximus in rehabilitation. NZ J Physiother. 2005;33(3):95-100. 

  13. Distefano LJ, Blackburn JT, Marshall SW et al. Gluteal muscle activation during common therapeutic exercises. J Orthop Sports Phys Thera. 2009;39(7):532-40. 

  14. Cappozzo A, Felici F, Figura F et al. Lumbar spine loading during half-squat exercises. Med Sci Sports Exer. 1985;17(5):613-20. 

  15. Comerford M, Mottram S. Kinetic control: the management of uncontrolled movement. Churchill Livingstone, Australia Elsevier, 2012;220-4. 

  16. Oh JS, Cynn HS, Won JH et al. Effects of performing an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during prone hip extension exercises on hip and back extensor muscle activity and amount of anterior pelvic tilt.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7;37(6):320-4. 

  17. Jeon IC, Kwon OY, Weon JH et al. Comparison of hip-and back-muscle activity and pelvic compensation in healthy subjects during 3 different prone table hip-extension exercises. J Sport Rehabil. 2017;26(4):216-22. 

  18. Rainoldi A, Melchiorri G, Caruso I. A method for positioning electrodes during surface EMG recordings in lower limb muscles. J Neurosci Methods. 2004;134(1):37-43. 

  19. Kerrigan DC, Ehrenthal SR. A maladaptive gait abnormality in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J Back Musculoskelet Rehabil.1996;7(1):53-7. 

  20. Lim HW. The effect of motor imagery on onset time of leg muscle and ankle injury score of patien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J Kor Phys Ther. 2012;24(1):7-14. 

  21. Kang SY, Jeon HS, Kwon OY et al. Activation of the gluteus maximus and hamstring muscles during prone hip extension with knee flexion in three hip abduction positions. Man Ther. 2013;18(4):303-7. 

  22. Jeon IC, Jang JH. Comparison of prone hip extension exercise and prone hip extension exercise after iliopsoas stretching on lumbopelvic control and gluteus maximus activity in subjects with short iliopsoas. JMST. 2017;1(1):19-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