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탐방객 자동 계수기 데이터를 활용한 태백산국립공원 탐방로 탐방 행태 분석 및 관리 방안 제언
Managerial Implication of Trails in the Teabaeksan National Park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Visitors Behaviors Using Automatic Visitor Counter Dat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4 no.5, 2020년, pp.446 - 453  

성찬용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조우 (상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김종섭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태백산국립공원 주요 탐방로 입구에 설치된 탐방객 자동 계수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탐방로별 일간 탐방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방로를 유형화하였다. 일일 탐방객수를 종속변수다중회귀분석 실시한 결과, 개천절이나 눈축제 등 행사는 모든 탐방로의 탐방객수에 영향을 미쳐, 태백산국립공원의 일일 탐방객수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3일 이상 휴일이 연속되는 연휴와 일반 공휴일도 대부분의 탐방로의 일일 탐방객수에 영향을 미쳤다. 강수량은 비산행 목적의 탐방객이 많은 탐방로의 탐방객수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나, 산행 목적의 탐방객이 많은 탐방로의 탐방객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산행 목적 탐방객들은 날씨가 궂더라도 산행을 강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온은 산행 목적의 탐방객이 많은 탐방로의 탐방객수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눈축제가 열리는 당골광장 인근의 탐방로의 탐방객수에는 부(-)의 영향을 미쳐, 눈축제의 영향권인지 여부가 탐방로 관리에 결정적 요인이었다. K-mean clustering을 이용하여 18개 탐방로를 유형 분류한 결과, 태백산국립공원의 탐방로는 눈축제에 영향을 받는 유형(유형 1)과, 가까운 거리에 볼거리가 많아 비산행 탐방객이 많은 유형(유형 2), 그리고 산행을 목적으로 온 탐방객들이 대부분인 유형(유형 3)의 3개 유형을 분류할 수 있었다. 탐방로 유형별 탐방객 행태와 불법 행위 유형이 다르므로, 유형별 특성에 맞춰 탐방로 관리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built a model to predict the daily number of visitors to 18 trails in the Taebaeksan National Park using the auto-counter system data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daily number of visitors to each trail and classified the trails by visitors' behaviors.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보다 현실적이고 실무적으로 활용 가능한 대안으로는 탐방로를 몇 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탐방로 유형별로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집분석 방법 중 하나인 K-mean clustering (KMC)를 이용해 태백산국립공원 18개 탐방로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KMC는 다차원 특성 공간(feature space)에서 데이터가 자연적인 군집을 형성하고 있을 때, 이들 군집과 각 데이터의 소속을 연구자의 개입 없이 알고리즘 스스로 찾아주는 통계 분석 방법이다(Hartigan and Wong, 1979).
  • , 2003; Sim and Kwon,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백산국립공원 내 주요 탐방로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무인 탐방객 수 계수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탐방로별 일일 탐방객 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방로별 일일 탐방객 수를 예측하는 탐방객 행태 분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일일 탐방객 수 영향 요인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태백산국립공원 탐방로를 몇 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향후 공원 관리자가 효율적인 국립공원 탐방로 관리를 위한 관리계획 수립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백산국립공원 내 주요 탐방로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무인 탐방객 수 계수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탐방로별 일일 탐방객 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방로별 일일 탐방객 수를 예측하는 탐방객 행태 분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일일 탐방객 수 영향 요인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태백산국립공원 탐방로를 몇 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향후 공원 관리자가 효율적인 국립공원 탐방로 관리를 위한 관리계획 수립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단, 법정 공휴일은 아니지만 5월 1일 노동자의 날은 공휴일로 간주하고 연휴 여부를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타 공휴일은 특정 행사일이나 3일 이상 연휴가 아닌 공휴일과 주말이면 1, 그렇지 않은 날이면 0인 더미 변수로 측정하였다. 행사 없는 연휴 변수와 마찬가지로 5월 1일은 공휴일로 간주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KMC의 특성 변수(feature)로, 앞서 추정한다 중회귀모형 결과 중 5개 독립변수(일평균 기온, 일간 강수량, 행사 공휴일, 행사없는 연휴, 기타 공휴일)의 t-통계량에, 평일 평균 입산객 수와 주말 평균 입산객 수를 더한 총 7개 변수를 선정하여, 이 7차원 특성 공간에서 태백산국립공원 18개 탐방로의 자연적 군집을 찾아 분류하였다. 다중회귀모형의 t-통계량은 각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일일 탐방객 수)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의미하므로, KMC 분석 결과는 각 독립변수의 영향력이 비슷한 탐방로를 찾아 같은 집단으로 묶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일일 탐방객 수를 종속변수로 하고, 두 날씨 변수와 행사 공휴일, 행사없는 연휴, 기타 공휴일을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모형을 추정하여, 18개 탐방로에 대해 각각 일일 탐방객 수를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방객 행태를 분석 하였다. 일일 탐방객 수는 평일과 주말, 행사일에 따라 편차가 매우 커 회귀분석의 가정인 잔차의 정규성과 등분산성을 충족시키지 못했으므로, 일일 탐방객 수를 자연로그 변환(ln(일일 탐방객수+1))한 다음 종속변수로 입력하였다(Gujarati, 2004).
  • 계수기가 입산객과 하산객을 구분하여 기록하고 있으나, 사전 분석 결과 입산객과 하산객 분석 결과에 큰 차이가 없어, 본 연구에서는 입산객 수 데이터만 이용하여 분석하였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Taekbaeksan National Park Office, 2019). 아래 설명할 회귀 분석에 이용한 다른 변수들의 분석 단위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탐방로별 입산객 수를 하루 단위로 집계하여 분석하였다.
  • 이 중 특정 행사가 열리는 공휴일 변수(행사 공휴일)는 해당일이 천제가 열리는 개천절이나, 새해 첫 일출을 보려는 탐방객이 몰리는 1월 1일, 매년 당골광장에서 열리는 눈축제 기간 중 공휴일, 8월 첫째 주 여름 휴가 기간, 5월 말~6월 초 철쭉철 중 공휴일이면 1, 그렇지 않으면 0인 더미 변수로 측정하였다. 연휴 변수(행사없는 연휴)은 행사 공휴일이 아닌 공휴일 중 3일 이상 연속되는 공휴일이면 1, 그렇지 않으면 0인 더미 변수로 측정하였다. 단, 법정 공휴일은 아니지만 5월 1일 노동자의 날은 공휴일로 간주하고 연휴 여부를 판단하였다.
  • 탐방로별 일일 탐방객 행태에 미치는 요인 분석 모형 구축을 위해 일일 탐방객 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날씨 변수들인 일평균 기온과 일간 강수량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해당일이 특정 행사가 열리는 공휴일인지와 연휴인지, 기타 공휴일인지도 조사하였다(Table 1). 이 중 특정 행사가 열리는 공휴일 변수(행사 공휴일)는 해당일이 천제가 열리는 개천절이나, 새해 첫 일출을 보려는 탐방객이 몰리는 1월 1일, 매년 당골광장에서 열리는 눈축제 기간 중 공휴일, 8월 첫째 주 여름 휴가 기간, 5월 말~6월 초 철쭉철 중 공휴일이면 1, 그렇지 않으면 0인 더미 변수로 측정하였다. 연휴 변수(행사없는 연휴)은 행사 공휴일이 아닌 공휴일 중 3일 이상 연속되는 공휴일이면 1, 그렇지 않으면 0인 더미 변수로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일일 탐방객 수를 종속변수로 하고, 두 날씨 변수와 행사 공휴일, 행사없는 연휴, 기타 공휴일을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모형을 추정하여, 18개 탐방로에 대해 각각 일일 탐방객 수를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방객 행태를 분석 하였다. 일일 탐방객 수는 평일과 주말, 행사일에 따라 편차가 매우 커 회귀분석의 가정인 잔차의 정규성과 등분산성을 충족시키지 못했으므로, 일일 탐방객 수를 자연로그 변환(ln(일일 탐방객수+1))한 다음 종속변수로 입력하였다(Gujarati, 2004).
  • 탐방로별 일일 탐방객 행태에 미치는 요인 분석 모형 구축을 위해 일일 탐방객 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날씨 변수들인 일평균 기온과 일간 강수량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해당일이 특정 행사가 열리는 공휴일인지와 연휴인지, 기타 공휴일인지도 조사하였다(Table 1). 이 중 특정 행사가 열리는 공휴일 변수(행사 공휴일)는 해당일이 천제가 열리는 개천절이나, 새해 첫 일출을 보려는 탐방객이 몰리는 1월 1일, 매년 당골광장에서 열리는 눈축제 기간 중 공휴일, 8월 첫째 주 여름 휴가 기간, 5월 말~6월 초 철쭉철 중 공휴일이면 1, 그렇지 않으면 0인 더미 변수로 측정하였다.
  • 이와 같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17)은 이동통신사의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계룡산국립공원과 태안해안국립공원의 탐방객 이용 패턴을 분석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이동통신사의 기지국 정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 정보를 이용하여, 성별・ 연령별 탐방객 분포를 분석하기도 하였다. 단, 이동통신사 기지국 데이터는 탐방객의 위치를 탐방로가 아니라 기지국 위치로만 파악할 수 있어, 탐방로가 밀집해 있는 경우, 탐방객이 실제 어느 탐방로를 이용했는지 파악할 수 없고, 개인정보 보호 등의 이유로 데이터 습득에 제한이 있는 등의 한계가 있다.

대상 데이터

  • 총 18개 태백산국립공원 자동 계수기 중, 11개는 2017년 9월부터, 나머지 5개는 2018년 12월 20일부터 계수를 시작하여, 2019년 10월 기준 10개월에서 2년 1개월 동안의 탐방객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다(Table 1, 2). 계수기가 입산객과 하산객을 구분하여 기록하고 있으나, 사전 분석 결과 입산객과 하산객 분석 결과에 큰 차이가 없어, 본 연구에서는 입산객 수 데이터만 이용하여 분석하였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Taekbaeksan National Park Office, 2019). 아래 설명할 회귀 분석에 이용한 다른 변수들의 분석 단위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탐방로별 입산객 수를 하루 단위로 집계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연구대상지는 태백산국립공원 사무소에서 설치・ 운영하는 탐방객 자동 계수기가 설치된 18개 탐방로이다(Fig. 1). 태백산국립공원에는 공원 북단 검룡소를 중심으로 한 탐방로와 두문동재에서 함박산, 만항재로 이어지는 탐방로, 천제단을 중심으로 한 탐방로 등 여러 노선의 법정 탐방로가 있는데, 탐방로에 따라 탐방객 방문 특성이 다르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Taekbaeksan National Park Office, 20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백산국립공원의 일일 탐방객수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태백산국립공원 주요 탐방로 입구에 설치된 탐방객 자동 계수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탐방로별 일간 탐방객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방로를 유형화하였다. 일일 탐방객수를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 실시한 결과, 개천절이나 눈축제 등 행사는 모든 탐방로의 탐방객수에 영향을 미쳐, 태백산국립공원의 일일 탐방객수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3일 이상 휴일이 연속되는 연휴와 일반 공휴일도 대부분의 탐방로의 일일 탐방객수에 영향을 미쳤다.
국립공원 내 탐방 문화 확립을 위해 더욱 힘을 써야할 부분은 무엇인가? 국립공원 내 탐방 문화 확립을 위해서는 탐방객들을 대상으로 국립공원 내에서 행위 제한에 대해 교육・홍보하여야 한다. 탐방객 대상 홍보를 위해서 인터넷이나 공원 내 현수막, 안내문 등 다양한 매체가 활용되고 있지만, 단순 홍보만으로는 탐방객들이 인식을 바꾸는 데 한계가 있고(Yoo and Kim, 2003; Yoo et al., 2008; Cho and Sung, 2015; Kim and Park, 2019), 공원사무소 직원들의 지속적인 현장 단속과 계도가 병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넓은 국립공원 면적에 비해 현장관리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여, 효율적 공원관리를 위해서는 한정된 현장관리 인력을 단속이 필요한 지점에 효율적으로 배치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공원 관리자에게는 어떻게 한정된 인력을 적재적소에 배치할 것인가 하는가 풀어야 할 문제가 되었다.
강수량을 통해 알 수 있는 탐방객의 특징은 무엇인가? 3일 이상 휴일이 연속되는 연휴와 일반 공휴일도 대부분의 탐방로의 일일 탐방객수에 영향을 미쳤다. 강수량은 비산행 목적의 탐방객이 많은 탐방로의 탐방객수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나, 산행 목적의 탐방객이 많은 탐방로의 탐방객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산행 목적 탐방객들은 날씨가 궂더라도 산행을 강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온은 산행 목적의 탐방객이 많은 탐방로의 탐방객수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눈축제가 열리는 당골광장 인근의 탐방로의 탐방객수에는 부(-)의 영향을 미쳐, 눈축제의 영향권인지 여부가 탐방로 관리에 결정적 요인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 W.(2012) Deterioration status of closed-trail of national parks on the Baekdudaegan Mountains, South Korea. Kor. J. Env. Eco. 26: 827-8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 W. and C.Y. Sung(2015)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uccess of a trekking time restriction policy in national parks. Korean J. Envion. Eco. 29: 636-6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Gujarati, D.N.(2004) Basic Econometrics(4th ed.). McGraw-Hill. New York, USA. 

  4. Hartigan, J.A. and M.A. Wong(1979) Algorithm AS 136: A K-means clustering algorithm. J. Royal Stat. Soc. Series C (Appl. Stat) 28: 100-108. 

  5. Kang, D.I. and H.C. Sung(201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visitors and degradation of natural resources in Bukhansan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Tech. 19: 8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S.R. and S.G. Park(2019) Analysis of the user behavior and recognition in Mudeung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33: 734-7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o, D.W., S.H. Boo and S.J. Ham(2010) The comparative analysis of local festivals through evaluation factors with an emphasis upon Taebaek festivals. Kor. Tourism. Res. Assoc. 24: 143-1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07) Carrying Capacity Management system Research 

  9.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17) A Validation Study on the Status and Use Pattern of National Park Visitors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Big Data 

  10. Korea National Park Service Taekbaeksan National Park Office(2019) Building a Park Management System based on Data Analysis for Factor Affecting Visitor Management 

  11. Korea National Park Service(2019) 2019 National Park Basic Statistics 

  12. Kwon, T.H., S.H. Choi and K.K. Oh(2001)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on the mountainous national park using the impact rating class of trail(I)-In the case study of Bukhan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5: 257-2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Nam, Y., J.H. You and S.H. Heo(2015) Assessment of impact rating class and deterioration condition on the trails in Juwang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9: 605-6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Shin, J., H.R. Kim, S.R. Jang, H.Y. Kim and P. Rho(2019) Evaluating the criteria and weight value for ecological network connectivity of Baekdudaegan Mountain Ragne on Taekb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33: 292-3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Sim, J.W., H.B. Kim and T.G. Lee(2020) A study on the congruence between city walking tour route and visitors' behavior using location-based data. J. Korean Cadastre Inf. Assc. 22: 145-1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Sim, K.W. and H.G. Kwon(2011) A study on forecasting visit demands of Korea national park using seasonal ARIMA model. J. Korean For. Soc. 100: 124-1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Woo, K.D., K.W. Sim, S.Y. Han and J.H. Lee(2003) Analysis of temporal?spatial use distribution of visitors in the Bukhansan National Park. J. Korean Inst. Forest Recreation 7: 53-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Yoo, K.J., W. Cho and K.S. Cho(2008) User's evaluation for the rail structures in the Dobong District of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2: 145-1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Yoo, K.J. and J.M. Kim(2003) A Study on visitors' and managers' perception to national park use and management attributes-a case study on national parks in Kangwon area, Korea. 17: 35-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