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6개 하천에서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상
Fish Fauna Using Fishway on Six River in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3 no.3, 2020년, pp.255 - 264  

김동억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제철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황종서 (사단법인 한국수생태복원협회) ,  김동섭 (한국수자원공사) ,  이완옥 (사단법인 한국수생태복원협회) ,  황길순 (사단법인 한국수생태복원협회)

초록

국내 주요 6개 하천의 보에 설치된 어도에서 2~9년 이상 매월 연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어류의 어도이용을 조사하였다. 어류의 어도 이용은 어도 출구부에서 trap에 의한 직접 채집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6개 지점의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와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군집구조는 차이를 보였다. 어류의 어도 이용은 대략 2~7종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것은 어류의 어도 이용이 종적 생리특성에 따라 특화된 결과로 보이며, 단순히 어도에서의 흐름에 따라 어도 이용을 유인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6개 지점에서 어도 이용 어류의 분포는 하천의 위치 및 보에 설치된 어도형식에 따라 달랐다. 이러한 차이는 해양 및 하구로부터 이동한 회유종의 분포 여부에 의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어도형식에 따른 수리특성의 차이도 영향을 주었다. 대체로 어도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빠른 유속을 보이는 버티컬슬롯식 어도에서 어도이용 종수가 적고 유영능력이 좋은 어류의 비율이 높았다. 어도를 이용하는 주요 어류의 분석결과는 어도 계획과 이를 위한 주요 대상종의 선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se of fishway has been investigated up to 2~9 years, continuously each month and over the long term that installed in 6 domestic rivers. The fish's use of fishway has been investigated as direct collection by trap in exit section of the fishway. The population structure of fish using 6 fishwa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도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어류를 조사하여 종별 이동생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하천의 종적 연속성 확보 및 수중생물의 최적이동을 위한 적합한 어도 계획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6개 하천의 수중보에 설치된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상을 분석하였다. 하천과 어도에 따라 2~9년 동안 동계를 제외하고 월별로 조사한 어도 이용 어류는 모두 74종 34,872 개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류의 종별 이동을 포함한 개체군 생태와 이동 차단에 의한 군집생태의 영향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이유는? 따라서 댐이나 수중보 등의 수리시설물에 의한 종적 이동의 차단은 어도의 설치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어도 시설을 이용하는 수중생물에 대한 조사와 효과분석이 많지 않아 어류의 종별 이동을 포함한 개체군 생태와 이동 차단에 의한 군집생태의 영향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국내 4대강의 본류에 설치된 수중보의 어도를 모니터링한 결과에서도 월별 어류 종과 개체수의 변동을 제시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댐이나 수중보 등의 수리시설물에 의한 종적 이동의 차단은 어도의 설치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고 본 이유는? 바다와 하천을 오가며 산란 서식하는 회귀성 어류를 포함하여 하천에서 수중생물의 종적 이동은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댐이나 수중보 등의 수리시설물에 의한 종적 이동의 차단은 어도의 설치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댐이나 수중보 등의 수리시설물에 의한 종적 이동의 차단이 필요성을 높인 것은? 바다와 하천을 오가며 산란 서식하는 회귀성 어류를 포함하여 하천에서 수중생물의 종적 이동은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댐이나 수중보 등의 수리시설물에 의한 종적 이동의 차단은 어도의 설치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어도 시설을 이용하는 수중생물에 대한 조사와 효과분석이 많지 않아 어류의 종별 이동을 포함한 개체군 생태와 이동 차단에 의한 군집생태의 영향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lan, J.D. and A.S. Flecker. 1993.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running waters: identifying the major factors that threaten destruction of riverine species and ecosystems. Bioscience 43(1): 32-43. 

  2. Back, H.M. and S.H. Kim. 2014. Freshwater Fish Fauna of down reach of Gapyeong Stream. 4th National Ecosystem Survey. 

  3. Byeon, H.K. 2014. Fish Community and Upstream of Glass Eels (Anguilla japonica) in the Imjin River Estuary,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7(Special issue): 3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Byeon, H.K. 2018. Characteristic of Fish Community and Distribution of Exotic Species at the Hangang River in Seoul,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30: 144-1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arroll, S., M.T. Kinnison and L. Bernatchez. 2011. In light of evolution: interdisciplinary challenges in food, health, and the environment. Evolutionary Applications 4: 155-158. 

  6. Chea, B.S. 2004. Status and protection policy of Gobiobotia naktongensis Mori (Cyprinidae, Pisces). In, The Proceeding of the Fall Academic Symposium.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pp. 47-57. (in Korean) 

  7. Choi, K.C. 1985. Nature of Gyeonggi Provinc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Korean) 

  8. GRMC. 2015.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fishway efficiency. Geum River Management Commission. 

  9. Jeon, S.R. and Y.M. Son. 1983.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Gobiobotia naktongensis Mori (Gobibotinae, Cyprinidae)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16: 21-26. (in Korean) 

  10. Jungwirth, M., S. Schmutz and S. Weiss. 1998. Fish migration and fish by passes. Blackwell Science, Oxford, UK, 440pp. 

  11.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4. Development of Restoration Technology of Habitat in Aquatic Ecosystem. (in Korean) 

  12. Katopodisa, C. and J.G. Williams. 2012. The development of fish passage research in a historical context. Ecological Engineering 48: 8-18. 

  13. Kinnison, M.T., A.P. Hendry and C.A. Stockwell. 2007. Contemporary evolution meets conservation biology II: impediments to integration and application. Ecological Research 22(6): 947-954. 

  14. Ko, M.H. and J.Y. Park. 2013. Changes in Body Size in a Landlocked Population of Sweet Smelt Plecoglossus altivelis (Pisces: Osmeridae),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a Fishway in Lake Okjeong,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4): 429-4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1998. A study on the use of fishway in the estuary.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in Korean) 

  16.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04. Development of corridor technology including fishway in stream. 214pp.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17. K-water. 2016. Report on the environmental impact survey results of Gunnam Flood Control Dam. (in Korean) 

  18. K-water. 2017. A Study on the Ecological Health of Naeseongcheon Stream for the Protection and Restoration of Endangered Fresh Water Fish. (in Korean) 

  19. Laroche, J. and J. Durand. 2004. Genetic structure of fragmented populations of a threatened endemic percid of the Rhone river: Zingel asper. Heredity 92: 329-334. 

  20. Lee, S.A., W.O. Lee and H.Y. Suk. 2012. Genetic differentiation between up and downstream populations of Tribolodon hakonensis (Pieces; Cyprinidae). Guryongmunhwasa, 12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W.O., S.W. Yoon, J.H. Kim and D.H. Kim. 2008. Comparison of growth and spawning characteristics of Ayu, Plecoglossus altivelis in Seomjin River and stream flowing to the East Sea,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0: 179-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Mandal, P., Z. Tu, X. Yuan, Y. Gao, Y. Huang and H. Peng. 2015. Importance of Design Factor in Improvement of Fishway Efficiency. American Journal of Environmental Protection 4(6): 344-353. 

  2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05. Study of standard model development and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Fishery Resources in the River, including Standard Design and Construction of Fishway Facilities. (in Korean) 

  24.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8. Fishway survey and evaluation manual (in Korean) 

  25. National fishway information system. 2019. www.fishway.go.kr 

  26. The Seoul Institute. 2007. Report of monitoring and maintenance of the Jamsil-Bo fishway. (in Korean) 

  27. Yoon, S.J., J.K. Choi and H.G. Lee. 2014. Long-Term Variation of the Fish Community in the Upper Region of the Gapyeong Stream,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4): 432-4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