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ISA 2022 수학 평가틀과 예시 문항 분석
Investigation of PISA 2022 Mathematics Framework and Illustrative Examples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3 no.3, 2020년, pp.299 - 321  

조성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OECD가 주관하는 PISA는, 변화하는 미래 사회를 대비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이고 각 국가에서는 이를 어떻게 길러주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2000년에 첫 번째 본검사를 시작으로 3년 마다 시행된 PISA는 어느덧 여덟 번째 주기를 준비하고 있다. PISA 2022는 10년 만에 수학이 주 영역이 되는 주기로, OECD PISA 국제본부는 기존 주기의 수학 소양의 정의와 평가틀을 수정 보완하고, 이를 반영한 예시 문항을 공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SA 수학 소양에 대한 정의와 평가틀의 변화 흐름을 살펴보고, PISA 2022 평가틀과 함께 소개된 예시 문항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표방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과 수학 학습 평가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SA, organized by the OECD, started with the worries about what competencies students need in preparation for a changing future society. Starting with the first main survey in 2000, PISA, which was administered every three years, is preparing for the eighth cycle. PISA 2022 is a cycle in which ma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ISA의 수학 전문가 집단과 연구연합체는 10년 만에 주 영역이 된 수학 영역의 변화와 혁신을 위해 시대적 흐름과 그에 따른 요구를 검토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와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수학은 무엇인지, 이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PISA 연구 초기부터 중요하게 다루어져왔던 기본 방향은 유지된 채, 실세계 맥락과 수학적 추론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수학 소양의 정의와 평가틀이 수정·보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 영역이 되는 주기가 도래함에 따라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수정․보완된 PISA 2022 수학 소양의 정의와 평가틀, 예시 문항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PISA의 첫 번째 주기인 PISA 2000부터 수학이 주 영역이 되었던 주기별 수학 소양의 정의와 평가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PISA 2022 수학 소양의 정의와 평가틀의 특징을 구체화하고자 한다.
  • 세 번째 하위 문항은 인구 수 또는 최저 시급에 따른 각 국가의 스마트폰 사용자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를 보고, 인구 수와 최저 시급 중에서 그 값이 증가함에 따라 각 국가의 스마트폰 사용자의 비율도 증가하는 것을 고르고 그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항을 통해 학생들은 인구 수와 스마트폰 사용자의 비율, 최저 시급과 스마트폰 사용자의 비율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선형적인 증가 현상을 보이고 있는 변수를 찾을 수 있는지, 적절한 근거를 바탕으로 판단할 수 있는지를 평가받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0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한 이유는? 변화하는 미래 사회를 대비하여 학생들이 성인으로서 생활하기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어느 정도 습득했는지, 각 국가에서 학교교육을 통해 이를 잘 길러내고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경제협력개발기구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이하 OECD)는 2000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이하 PISA)를 시작하였다(OECD, 1999, p. 9), 3년마다 시행되는 PISA는 어느 덧 가장 유명한 교육 이벤트 중 하나로 자리 매김하였을 뿐 아니라 (Pereyra, Kotthoff, & Cowen, 2011, p.
PISA는 주기마다 무엇을 설정하고 개발하는가? PISA는 주기마다 핵심 영역인 읽기, 수학, 과학 중 한 영역을 주 영역으로, 나머지 두 영역을 보조영역으로 설정하여, 주 영역에 대해서는 평가틀을 수정․보완하고 새로운 문항을 개발한다. 또한 사회적 필요와 요구를 반영하여 주기별로 혁신적 영역을 설정하는데, PISA 2015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PISA 2018의 글로벌 역량,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력이 이에 해당한다.
수학 소양이 수학 지식의 기능적 측면과 실생활 맥락에서의 활용이 강조되는 이유는? 수학 소양의 정의에는 수학 지식의 기능적 측면과 실생활 맥락에서의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수학소양은 수학 용어, 개념, 내용 등에 대한 지식 뿐 아니라 연산과 수학적 방법을 수행하는 능력을 전제로 하면서도, 내용 지식만 지나치게 중시하기보다 내용 지식과 기능의 창의적 결합을 통한 활용을 중요시하기 때문이다(OECD, 2004, p. 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2. 교육부 (2020). 과학.수학.정보.융합 교육 종합계획('20-'24) 동시 발표-지능정보사회의 소양을 갖추고 세계를 선도하는 인재 양성. 교육부 보도자료(2020. 05. 27.). 

  3. 김남희 (2012). PISA 읽기 소양과 21세기 국어 능력. 국어교육, 138, 41-71. 

  4. 김도균, 강병련, 이민희 (2018). PISA 평가틀에 기반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 문항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6), 393-412. 

  5. 김선희, 김수민, 이은정 (2020). IB DP 수학 내용 및 교수.학습 특징에 근거한 고등학교 수학교육의 방향. 수학교육학연구, 30(2), 329-351. 

  6. 김종훈 (2017). 글로벌 교육 거버넌스로서의 OECD PISA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과정연구, 35(1), 43-64. 

  7. 김종훈 (2020). OECD PISA의 의도와 실제 간 차이 탐색: 교육과정 개혁에 대한 권력 효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8(2), 5-26. 

  8. 김현정 (2018). PISA 과학 영역의 특징과 평가틀에 대한 논의. 현장과학교육, 12(4), 389-398. 

  9. 나귀수, 박미미, 김동원, 김연, 이수진 (2018). 미래 시대의 수학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8(4), 437-478. 

  10. 노명완, 박창균 (2006). 읽기 평가틀에 대한 비교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9(1), 159-184. 

  11. 박경미 (1999). OECD/PISA 학생성취도 지표개발 연구의 소개. 학교수학, 1(1), 367-382. 

  12. 박경미, 이환철, 박선화, 권점례, 윤상혁, 강현영, 이경진, 최지선, 강은주, 김민정, 이광상, 김재영, 이광연, 한준철, 김선희, 방정숙, 이경은, 도종훈, 이문호, 황선미, 임해미, 이화영, 조혜정, 박정숙, 이승훈, 박문환, 김성여, 임미인, 권영기, 서보억, 이은정, 김완일, 장혜원, 이만근, 권오남, 안현정, 이지윤, 강성권, 강태석, 김화경, 신동관, 오택근, 전인태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BD15110002. 

  13. 박혜영 (2017). PISA 읽기 평가틀의 변화 특징 탐색. 국어교육, 157, 259-283. 

  14. 손준종 (2014). 전지구적 교육거버넌스로서 PISA의 출현과 국가교육에 대한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24(3), 131-160. 

  15.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 (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16. 신기현 (2006). PISA의 학습 평가틀에 대한 비판적 분석. 열린교육연구, 14(1), 165-183. 

  17. 신현석, 주영효 (2013). 글로벌 거버넌스와 한국의 교육정책: OECD/PISA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1(3), 133-159. 

  18. 옥현진 (2014). 국제 문식성 평가 분석을 통한 문식성 교육 시사점 탐색-PIRLS, PISA, PIAAC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49, 73-103. 

  19. 우정호 (2009).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 이미경, 곽영순, 민경석, 채선희, 최성연, 최미숙, 나귀수 (2004). OECD 2003 결과 분석 연구-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2-1. 

  21. 이서빈, 김선호, 고상숙 (2017). 컴퓨터기반수학평가(츄므)의 문항 제작 가능성 탐색: 동적 기하소프트웨어 환경에서 PISA 2012 또는 2015 울타리 문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3), 325-344. 

  22. 임해미 (2012). PISA 2012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 평가틀과 공개문항. 한국수학교육학회 2012 추계학술대회프로시딩, 61-66. 

  23. 임해미 (2013). OECD PISA 수학 소양 평가의 특징 및 문항 특성 분석. 교과교육연구, 17(4), 971-990. 

  24. 정영옥 (2004). RME의 수학 학습 평가틀에 대한 고찰-Jan de Lange의 수학 학습 평가틀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4(4), 347-366. 

  25. 정혜경, 임해미 (2020). 앵커링 비네트(anchoring vignettes) 방법을 적용한 우리나라의 PISA 수학 설문 결과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30(2), 177-197. 

  26. 조성민, 구남욱, 김현정, 이소연, 이인화 (2019).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21 예비검사 시행 기반 구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9-120. 

  27. 조지민, 정혜경 (2013). PISA 표집 설계에 따른 모수 및 분산 추정. 교육평가연구, 26(4), 875-896. 

  28. 최승현, 노국향, 박경미 (2001). PISA 2000 수학 평가 결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1-9-3. 

  29. 황우형, 구자형 (2006). 수학과 평가틀 비교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4), 497-520. 

  30. 황혜정, 최승현 (1999). 수학과 평가틀에 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9(2), 459-471. 

  31. de Lange, J. (1999). Framework for classroom assessment in mathematics. Freudenthal Institute & National Center for Improving Student Learning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Science. Retrieved from http://www.fi.uu.nl/publicaties/literatuur/6279.pdf (2020.09.10.) 

  32. de Lange, J. (2006). Mathematical literacy for living from OECD-PISA perspective. Tsukuba Journa l of Educational Study in Mathematics, 25, 13-35. Retrieved from https://pdfs.semanticscholar.org/5aed/c8a2c06e4cdb9e5932910bddc8f9e5bac8a4.pdf?_ga2.119965056.904421435.1597635146-2032521134.1584692249. (2020.08.10.). 

  33. Mahajan, S., Marciniak, Z., Schmidt, B., & Fadel, C. (2016). PISA Mathematics in 2021:.center for Curriculum Redesign. Retrieved from https://curriculumredesign.org/wp-content/uploads/Recommendations-for-PISA-Maths-2021-FINAL-EXTENDED-VERSION-WITH-EXAMPLES-CCR.pdf. (2020.08.10.). 

  34. Meyer, H-D & Benavot, A. (2013). PISA and the globalization of education governance: some puzzles and problems. In H-D Meyer & a. Benavot (eds.), PISA, power, and policy: the emergence of global educational governance (pp. 9-26). Symposium books. 

  35.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3). The Mathematical Sciences in 2025.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6. OECD (1997).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OECD Publishing. 

  37. OECD (1999). Measuring student knowledge and skills-a new framework for assessment. OECD Publishing. 

  38. OECD (2001). Knowledge and skills for life: First results from PISA 2000. OECD Publishing. 

  39. OECD (2004). The PISA 2003 assessment framework-mathematics, reading, science and problem solving knowledge and skills. OECD Publishing. 

  40. OECD (2006). Assessing scientific, reading and mathematical literacy: a framework for PISA 2006. OECD Publishing. 

  41. OECD (2013). PISA 2012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mathematics, reading, science, problem solving and financial literacy. OECD Publishing. 

  42. OECD (2015). Students, computers and learning: making the connection. OECD Publishing. 

  43. OECD (2016). Equations and inequalities: making mathematics accessible to all. OECD Publishing. 

  44. OECD (2017). PISA 2021 mathematics: a broadened perspective. OECD Publishing. 

  45. OECD (2018). PISA 2021 Mathematics Framework (Draft). Retrieved from https://pisa2021-maths.oecd.org/files/PISA%202021%20Mathematics%20Framework%20Draft.pdf (2020.08.10.). 

  46. OECD (2019a).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Conceptual learning framework-Concept note: OECD Learning Compass 2030. Retrieved from http://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teaching-and-learning/learning/learning-compass-2030/OECD_Learning_Compass_2030_concept_note.pdf (검색일 2020.08.10.) 

  47. OECD (2019b). PISA 2018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OECD Publishing. 

  48. OECD (2019c). Skills matter: additional results from the survey of adult skills. OECD Publishing. 

  49. Pereyra, M. A., Kotthoff, H-G., & Cowen, R. (2011). PISA under examination: Changing knowledge, changing tests, and changing schools. In M. A. Pereyra, H-G. Kotthoff, & R. Cowen (eds.), PISA under examination: changing knowledge, changing tests, and changing schools (pp. 1-14). Sense Publishers. 

  50. Polya, G. (2003). 수학과 개연 추론: 개연적 추론의 여러 가지 패턴(이만근, 최영기, 전병기, 홍갑주, 김민정 역). 서울: 교우사. (원저 1968 출판). 

  51. Sellar, S. & Lingard, B. (2013). PISA and the expanding role of the OECD in global educational governance. In H-D. Meyer & A. Benavot (eds.), PISA, power, and policy: the emergence of global educational governance (pp. 185-206). Symposium books. 

  52. Stacey, K. (2015). The real world and the mathematical world. In K. Stacey & R. Turner. (eds.), Assessing mathematical literacy: the PISA experience (pp. 57-84). Springer. 

  53. Stacey, K. & Turner, R (2015). The evolution and key concepts of the PISA mathematics framework. In K. Stacey & R. Turner. (eds.), Assessing mathematical literacy: the PISA experience (pp. 5-33). Spring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