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갱년기 증후군, 회복탄력성이 중년 남성의 은퇴불안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Effects of Andropause Syndrome, Resilience on Retirement Anxiety in Middle-aged Men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4, 2020년, pp.23 - 31  

김순애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이송현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홍은희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남성의 갱년기 증후군, 회복탄력성, 은퇴불안 간의 관계를 융·복합적 측면에서 파악하고 이들 관계를 확인하여 은퇴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S시에 거주하는 87명을 대상으로 2019년 7월 20일부터 10월 25일까지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중년남성의 은퇴불안은 갱년기 증후군과 회복탄력성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갱년기 증후군이 있는 대상자가 증상이 없는 대상자보다 회복탄력성은 낮고, 은퇴불안은 높았다. 따라서 중년남성의 은퇴불안을 효율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갱년기 증후군을 감소시키고,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ndropause symptoms, resilience, and retirement anxiety in the context of convergence. It is also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retirement anxiety by checking these relationships. For data collection, the study surveyed 87 middel-aged men wh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갱년기 증후군, 회복탄력성, 은퇴불안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은퇴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갱년기 증후군, 회복탄력성, 은퇴불안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관계를 확인하여 은퇴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은퇴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회복탄력성을 높여주고, 갱년기 증후군을 감소시키는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은퇴불안의 영향 요인에 연령이 들어가므로 후속 연구로 40대, 50대, 60대의 중년 남성간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 이에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갱년기 증후군, 회복탄력성, 은퇴불안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추후 갱년기 중년 남성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성 갱년기를 잘 인식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오늘날 급변하는 한국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중년의 남성들은 전통적인 규범과 성역할의 사회적 변화의 갈등을 경험하고 있으며, 신체적 노화와 갱년기를 겪고 있다[5]. 중년기는 신체 변화를 통해 스스로 노화를 깨닫게 되는데, 여성은 폐경기라는 신체적 변화가 일어나는 반면, 남성은 호르몬 변화가 서서히 일어나 갱년기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6].
본 논문에서, 중년기는 어떤 시기라고 하는가? 중년기는 노년기가 시작되기 직전의 인간 발달 과정으로 은퇴 후 삶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시기이다 [1]. 최근 의학의 발달로 우리나라 남자의 기대수명은 2020년 80.
우리나라 남자의 기대수명은 얼마나 되는가? 중년기는 노년기가 시작되기 직전의 인간 발달 과정으로 은퇴 후 삶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시기이다 [1]. 최근 의학의 발달로 우리나라 남자의 기대수명은 2020년 80.8세, 2025년 84.2세, 2030년 85.2세로 점차 늘어나는 추세로[2], 점차 중년기 이후 남성 인구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중년기는 노화불안, 정서적 공허함, 중압감 및 호르몬의 변화 등으로 우울, 가족 위기 등을 경험할 수 있는 시기로[3], 중년기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노년기에 더 큰 건강문제가 생길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 J. Suh (2018). A Study on the Effects of Middle Aged Workers on Retirement Anxiety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y. Journal of new industry and business, 36(1), 73-105. DOI : 10.30753/emr.2018.36.1.004 

  2. Statistics Korea (2017). life expectancy.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3. M. A. Kang, Y. Y, Yang & N. Y, Choi (2017). A concept analysis of middle-aged mem's crise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10), 721-729. DOI : 10.14257/ajmahs.2017.10.49 

  4. H. J. Lee & E. J. Jung (2016). Socioeconomic Status and Elderly Health in Life Course Perspective: Testing of Multi-mediational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in Early Adult and Middle Aged.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6(3), 53-84. DOI : 10.15709/hswr.2016.36.3.53 

  5. M. W. Lee & H. Park (2013). A Study on Late-onset of Hypogonadism, Erectile Dys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Male Worke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5), 483-493. DOI : 10.7475/kjan.2013.25.5.483 

  6. H. W. Jeon & S. A. Kim (2017). A phenomenological convergence study on the experience of middle-aged men menopaus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217-229. DOI : 10.15207/JKCS.2017.8.9.217 

  7. M. L. Heo & S. B. Im (2012). Depress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Depending on the Climacteric Symptoms of Middle-aged Mal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3), 239-246. DOI : 10.5807/kjohn.2012.21.3.239 

  8. A. E. Jannini & R. E. Nappi (2018). Couplepause: A New Paradigm in Treating Sexual Dysfunction During Menopause and Andropause, Sexual Medicine Reviews, 6(3), 384-35. DOI : 10.1016/j.sxmr.2017.11.002 

  9. E. H. Seo, E. Y. Kim & E. Y. Jung (2016). The Effects of Climacteric Symptoms and Hardiness on Mid-Life Crisi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4), 454-463. DOI : 10.5762/KAIS.2016.17.4.454 

  10. B. R. Kim & K. M. Sung (2018). Andropause Symptoms, Stress,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2), 467-475. DOI : 10.14400/JDC.2018.16.12.467 

  11. H. S. Baek (2010).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K-CD-RISC). Eulji university(Master's degree), DaeJeon. 

  12. Y. Oh, S. Yoon & E. Oh (2016). The Effect of Resilience and Retirement Attitudes Perceived by Middle-aged Married Men on a Meaningful Lif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4(4), 157-174. DOI : 10.7466/JKHMA.2016.34.4.157 

  13. E. Waters & L. A. Sroufe (1983). Social competence as a developmental construct. Developmental Review, 3(1), 79-97. DOI : 10.1016/0273-2297(83)90010-2 

  14. J. H. Kim (2019). Resilience: a pleasant secret that turns trials into good luck, Wisdom House. 

  15. T. H. Ha (2016). Development of the Structural Model of Middle-aged Men's Subjective Quality of Lif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5), 125-135. 

  16. E. S. Min (2017). Relationship Between Stress, Depression, and 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4), 199-207. DOI : 10.21184/jkeia.2017.06.11.4.199 

  17. K. H. Jung & K. S. Kim (2020). The Effect of Resilience of Middle-aged Employees on Retirement Attitude and Retirement Prepar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1(5), 495-507. DOI : 10.5762/KAIS.2020.21.5.495 

  18. W. L. Fletcher & R. O. Hansson (1991). Assessing the social componets of retirement anxiety. Psychology and Aging, 6, 76-85. 

  19. D. Lee, H. Choi & H. Kim (2019). The effects of the Meaning of Work on Retirement Anxie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Men.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6(1), 135-156. DOI : 10.15284/kjhd.2019.26.1.135 

  20. Y. Won, J. T. Kim & H. H. Kim (2018).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Stress Coping Style, and Retirement Anxiety of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7(2), 225-238. DOI : 10.23949/kjpe.2018.03.572.15 

  21. D. Kim & D. Chang (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Retirement Anxiety in University Athletes. Sport Science, 36(2), 105-115. 

  22. E. J. Lee & J. Y. Lee (2016). The effect of occupational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middle-aged workers: The mediating effect of retirement anxiety and healthy marital relationship.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3(1), 71-94. DOI : 10.15284/kjhd.2016.23.1.71 

  23. J. E. Morley & E. Charlton (2000). Validation of a screening questionnaire for androgen deficiency in aging males. Metabolism, 49, 1239-1242. http://dx.doi.org/10.1053/meta.2000.8625 

  24. S. W. Kim & S. J. Oh (2004). Development of the Korean-translation of Androgen Deficiency in Aging Males (ADAM) Questionnaire. Investigative and Clinical Urology, 45(7), 674-679. 

  25. K. M. Connor & J. R. Davidson (2003).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 Anxiety, 18, 76-82. 

  26. E. J. Lee, J. Y. Lee (201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iddle-Aged of Retirement Anxiety Sca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6(4), 435-458. 

  27. M. W. Lee & H. Park (2013). A Study on Late-onset of Hypogonadism, Erectile Dys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Male Worke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5), 483-493. DOI: 10.7475/kjan.2013.25.5.483 

  28. S. M. Ok & H. S. Jeon (2020). The Effect of Spouse Support and Cognitive Strategy for Emotional Regulation on Retirement Anxiety of Middle Aged 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4), 599-605. DOI: 10.14400/JDC.2016.14.12.599 

  29. N. Ronkainen, I. Watkins & T. V. Ryba (2016). What can gender tell us about the pre-retirement experiences of elite distance runners in Finland?: A thematic narrative analysi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22, 37-45. DOI: 10.1016/j.psychsport.2015.06.003 

  30. Maeil Business Newspaper (2018.12.08.). Lost hope and nowhere to lean...Exposure to risk from teenagers to old age. Retrieved from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8/12/7530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