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거울 치료 시 tDCS의 융합 자극이 다리근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nvergent Stimulation on tDCS during Mirror Therapy to Improve the Muscle Strength and Gait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4, 2020년, pp.51 - 59  

이승태 (순천희망병원 물리치료실) ,  김경윤 (동신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저항운동이 포함된 거울치료 시 tDCS(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의 융합 자극을 통해 마비측 다리의 근력과 보행 능력의 개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2명의 뇌졸중 환자는 실험군 당 6명씩 무작위로 할당하였다. 실험군I(n=6)은 NDT(neurodevelopmental treatment)와 거울치료 시 sham tDCS의 융합자극군, 실험군II는 NDT와 거울치료 시 tDCS의 융합자극군으로 나누어 각각 30분씩, 주5회, 총4주 동안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평가는 중재 전과 중재 4주 후에 실시하였다. 다리근력은 측정한 모든 근육에서 실험군I에 비해 실험군II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p<.05), 변화량을 통한 군 간 비교에서는 quadriceps(p<.01)와 tibialis anterior(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보행능력은 실험군I과 실험군II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p<.05), 변화량을 통한 군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1). 거울치료와 tDCS의 융합자극은 마비측 다리 근력 및 보행능력 향상에 중첩효과를 통한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muscle strength and gait ability of paralyzed lower extremity through convergent stimulation of tDCS(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during mirror therapy with resistance exercise in chronic stroke patients. 12 patients with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NDT와 거울치료 시 tDCS 융합 자극 유무에 따라 마비측 다리의 근력 향상과 그에 따른 보행 능력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재활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NDT와 함께 거울을 매개로 하여 비마비측 팔다리의 시각적 자극을 이용하는 거울치료의 장점을 치료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거울치료가 균형과 보행에 효과적이라고 하지만, 아직까지 직접적인 근력 증진 효과에 대한 보고는 미비한 실정이다.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다리 근력과 보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저항운동이 포함된 거울치료 시 tDCS의 융합자극을 동시에 30분씩 주 5회 총 4주 동안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근력 증진이 보행능력 개선으로 이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뇌졸중 환자의 효과적인 물리치료 중재 방법의 하나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앞으로 거울치료 시 tDCS의 융합자극을 적용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기능증진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중재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신경발달학적 치료(NDT)를 받고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다리 근력강화를 위해 저항운동이 포함된 거울치료와 함께 tDCS의 융합 자극을 했을 때, 마비측 다리의 근력 및 보행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그러나 거울치료가 균형과 보행에 효과적이라고 하지만, 아직까지 직접적인 근력 증진 효과에 대한 보고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반해 tDCS는 대뇌겉질의 흥분성 조절을 통한 근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어 이들의 융합적 자극 시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거울치료란 무엇인가? 거울치료는 거울신경시스템의 활성에 근거를 두며[24], 거울에 반영된 자신의 비마비측 팔다리의 움직임을 관찰함으로써 거울신경원의 활성화를 일으키고 운동겉질의 활성화를 유도하며[25], 대부분 기존 운동 치료는 감각운동 훈련 전략에 초점을 둔 것과 달리 거울치료는 시각적 자극에 중점을 둔 치료법이다[26].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거울치료 시 tDCS의 융합자극을 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다리 근력과 보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저항운동이 포함된 거울치료 시 tDCS의 융합자극을 동시에 30분씩 주 5회 총 4주 동안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근력 증진이 보행능력 개선으로 이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뇌졸중 환자의 효과적인 물리치료 중재 방법의 하나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DCS의 장점은 무엇인가? 비침습적 대뇌 겉질 자극 방법인 tDCS는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맞춰 원하는 시간, 강도, 자극부위의 선택이 가능하며, 대뇌 겉질의 흥분성을 조절할 수 있어[16] 최근 많은 분야에서 활용 중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 B. Beaman, C. L. Pererson, R. R. Neptune & S. A. Kautz. (2010). Differences in self-selected and fastest-comfortable walking inpost-stroke hemiparetic persons. Gait & Posture, 31(3), 311-316. DOI : 10.1010/j.gaitpost.2009.11.011 

  2. S. Dorsch, L. Ada, C. G. Canning. (2016). Lower limb strength is significantly imparied in all muscle groups in ambulatory people with chronic stroke: a cross-section study. Ann Rehabil Med, 97(4), 522-527. DOI : 10.1016/j.apmr.2015.10.106 

  3. R. W. Bohannon. (2007). Muscle strength and muscle training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9(1), 14-20. DOI : 10.2340/16501977-0018 

  4. R. W. Bohannon & S. Walsh. (1992). Nature,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ue of muscle performance measures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following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3(8), 721-725. DOI : 10.1053/apmr.2003.50003 

  5. M. G. Pandy & T. P. Andriacchi. (2010). Muscle and joint function in human locomotion. Annual Review of Biomedical Engineering, 15(12), 401-433. DOI : 10.1146/annurev-bioeng-070909-105259 

  6. Y. Laufer, R. Dickstein, S. Resnik & E. Marcovitz. (2000). Weight-bearing shifts of emiparetic and healthy adults upon stepping on stair of various height. Clinical Rehabilitation, 14(2), 125-129. DOI : 10.1191/026921500674231381 

  7. M. Roerdink, C. J. Lamoth, G. Kwakkel, P. C. van Wieringen & P. J. Beek. (2007). Gait coordination after stroke: Benefits of acoustically paced treadmill walking. Physical Therapy, 87(8), 1009-1022. DOI : 10.2522/ptj.20050394 

  8. F. M. Campbell, A. M. Ashburn, R. M. Pickering & M. Burnett. (2001). Head and pelvic movements during a dynamic reaching task in sitting: Implications for physical therapis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2(12), 1655-1660. DOI : 10.1053/apmr.2001.26818 

  9. J. M. Gracies. (2005). Pathophysiology of spasitc paralysis. I: Paresis and soft tissue changes. Muscle & Nerve, 31(5), 535-551. DOI : 10.1002/mus.20284 

  10. S. Raine, L. Meadows, M. Lynch-Ellerington. (2009). Bobath Concept: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in Neurological Rehabilitation. Wiley-Blackwell. 

  11. K. N. Arya, S. Pandian, D. Kurnar & V. Puri. (2015). Task based mirror therapy augmenting motor recovery in poststroke hemipares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24(8), 1738-17480. DOI : 10.1010/j.jstrokecerebrovasdis.2015.03.026 

  12. S. Blanton & S. L. Wolf. (1999). An application of extremity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in a patient with subacute stroke. Physical Therapy, 79(9), 847-853. 

  13. G. Buccino, F. Binkofski & L. Riggio. (2004). The mirror neuron system and action recognition. Brain and Language, 89(2), 370-376. DOI : 10.1016/S0096-934X(03)00356-0 

  14. E. H. Choi. (2017). Effect of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exercise using a mirror on gait and balance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5. M. C. D. S. de Moura, F. A. Hazime, L. V. Marotti Aparicio, L. A. C. Grecco, A. R. Brunoni & R. H. Hasue. (2019).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on balance improve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omatosensory & Motor Research, 36(2), 122-135. DOI : 10.1080/08990220.2019.1624517 

  16. M. A. Nitsche et al. (2008).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state of the art 2008. Brain Stimulation, 1(3), 206-223. DOI : 10.1016/j.brs.2008.06.004 

  17. S. Sutbeyaz, G. Yavuzer, N. Sezer & B. F. Koseoglu. (2007). Mirror therapy enhances lower-extremity motor recovery and motor functioning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8(5), 555-559. DOI : 10.1010/j.apmr.2007.02.034 

  18. D. E. Krebs, D. M. Scarborough & C. A. McGibbon. (2007). Functional vs. strength training in disable elderly out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2), 93-103. DOI : 10.1097/PHM.0b013e31802ede64 

  19. D. Podisiadlo & S. Richardson. (1991). The timed "UP & GO" : a test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9(2), 142-148. DOI : 10.1111/j.1532-5415.1991.tb01616.x 

  20. S. G. Kirker, J. R. Jenner, D. S. Simpson & A. M. Wing. (2000). Changing patterns of postural hip muscle activity during recovery from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14(6), 618-626. DOI : 10.1191/0269215500cr370oa 

  21. R. W. Bohannon. (2007). Muscle strength and muscle training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9(1), 14-20. DOI : 10.2340/16501977-0018 

  22. L. F. Teixeira-salmela, S. J. Olney, S. Nadeau & B. Brouwer. (1999). Muscle strengthening and physical conditioning to reduce impairment and disability in chronic stroke survivo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0(10), 1211-1218. DOI : 10.1016/s0003-9993(99)90018-7 

  23. C. Pattern, J. Lexell & H. Brown. (2004). Weakness and strength training in persons with poststroke hemiplegia: ratinale, method, and efficac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41(3A), 293-312. DOI : 10.1682/jrrd.2004.03.0293 

  24. A. Bashin, M. V. Padma Srivastava, S. S. Kumaran, R. Bhatia & S. Mohanty. (2012). Neural interface of mirror therapy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Neurology India, 60(6), 570-576. DOI : 10.4103/0028-3886.105188 

  25. S. H. Park, S. M. Lee & S. B. Kim. (2009). The influence of motor cortical excitability on visual illusion using mirror, motor imagery and action observation.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0(3), 211-222. 

  26. H. Thieme, J. Mehrholz, M. Pohl, J. Behrens & C. Dohle. (2012). Mirror therapy for improving motor function after stroke.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 7(7), 1-66. DOI : 10.1002/14651858.CD008449.pub2 

  27. E. L. Altchuler et al. (1999). Rehabilitation of hemiparesis after stroke with a mirror. Lancet, 353(9169), 2035-2036. DOI : 10.1016/s0140-6736(99)00920-4 

  28. S. G. Ji. (2013). The effects of the task-oriented mirror visual feedback therapy on the balance and gait of subacute stroke patients. D.S Thesis, Dongshin University, Naju. 

  29. E. H. Choi. (2017). Effect of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exercise using a mirror on gait and balance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30. D. Liebetanz, M. A. Nitsche, F. Tergau & W. Paulus. (2002). Pharmacological approach to the mechanisms of transcranial DC-stimulation induced after effects of human motor cortex excitability. Brain, 125(Pt10), 2238-2247. DOI : 10.1093/brain/awf238 

  31. Y. H. Kwon et al. (2008). Primary motor cortex activation by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the human brain. Neuroscience Letters, 435(1), 56-59. DOI : 10.1016/j.neulet.2008.02.012 

  32. S. Tanaka et al. (2011). Single session of transcranial direct cureent stimulation transiently increases knee extensor force in patients with hemiparetic stroke.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5(6), 565-569. DOI : 10.1177/1545968311402091 

  33. S. Tanaka, T. Hanakawa & M. Honda. (2009). Enhancement of pinch force in the lower leg by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Exp Brain Res, 196(3), 459-465. DOI : 10.1007/s00221-009-1863-9 

  34. S. Machado, P. Jansen, V. Almeida & J. Veldema. (2019). Is tDCS an adjunct ergogenic resource for improving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performance? A systematic review. Front Psychol, 10(1127), 1-14. DOI : 10.3389/fpsyg.2019.01127 

  35. E. Lattari et al. (2018). Acute effects of single dos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muscle streng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a-Analysis, 13(12), 1-19. DOI : 10.1371/journal.pone.0209513 

  36. T. M. Steffen, T. A. Hacker & L. Mollinger. (2002). Age- and Gender-related test performanc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Six-minute walk test, Berg Balance Scale, Timed Up & Go test, and gait speeds. Physical Therapy, 82(2), 128-137. DOI : 10.1093/ptj/82.2.128 

  37. S. Nadeau, A. B. Arsenault, D. Gravel & D. Bourbonnais. (1999). Analysis of the clinical factors determining natural and maximal gait speeds in adults with a strok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78(2), 123-130. DOI : 10.1097/00002060-199903000-00007 

  38. C. M. Kim, J. J. Eng, D. L. MacIntyre & A. S. Dawson. (2001). Effects of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n walking in persons with stroke: a double-blind controlled pilot study.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10(6), 265-273. DOI : 10.1053/jscd.2001.123775 

  39. S. G. Kim. (2012). Effect of treadmill gradient training on lower limb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 220-226. DOI : https://doi.org/10.5762/KAIS.2012.13.1.220 

  40. S. S. Kantak, J. W. Stinear, E. R. Buch & L. G. Cohen. (2012). Rewiring the brain: potential role of the premotor cortex in motor control, learning, and recovery of function follwong brain injury.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6(3), 282-292. DOI : 10.1177/1545968311420845 

  41. L. Sawaki, C. W. H. Wu, A. Kaelin-Lang & L. G. Cohen. (2006). Effects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n use-dependent plasticity in chronic stroke. Stroke, 37(1), 246-247. DOI : 10.1161/01.STR.0000195130.16843.ac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