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대한 경두개 직류자극술 효과 :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ivenes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tDCS)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9 no.1, 2020년, pp.7 - 23  

원경아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양민아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박지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에 대한 경두개 직류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 2009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NDSL과 RISS를 통해 검색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통해 총 14개의 실험연구 논문이 선정되었다. 이를 PEDro 척도를 사용하여 질적 평가를 시행하고, 이 중 12개 논문에 대해서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 고찰한 문헌 14편은 모두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문헌들이었다.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효과 크기상지 근력 0.19로 '작은 효과크기', 상지 움직임 0.49로 '보통 효과크기'를 보였다. 상지 움직임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또한 양극(anode) 모드는 '큰 효과크기'를. 음극(cathode) 모드는 '보통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양극 모드의 효과크기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상지기능이 제한된 뇌졸중 환자에게 tDCS는 유용한 재활 기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국내 임상가들에게 뇌졸중 환자를 위한 새로운 재활 기법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효과적인 중재를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DCS on the recovery of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Methods : We searched for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between 2009 to 2018, using NDSL and RISS. A total 14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두개 직류자극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문헌의 특성을 P.I.C.O. 형식에 맞춰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P.
  • 따라서 본 연구는 tDCS의 적용 방법과 연구 디자인 등에서 다양한 형태를 띤 연구들의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 및 통합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메타분석을 통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tDCS 중재가 시행된 연구들의 결과를 통합하여 뇌졸중 환자의 ‘상지 근력과 움직임’에 대한 효과 비교 및 ‘tDCS의 양극모드와 음극모드’의 효과 비교를 실시해보고자 한다.
  • 또한, 메타분석을 통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tDCS 중재가 시행된 연구들의 결과를 통합하여 뇌졸중 환자의 ‘상지 근력과 움직임’에 대한 효과 비교 및 ‘tDCS의 양극모드와 음극모드’의 효과 비교를 실시해보고자 한다.
  • 메타분석에서 이질성은 통합하고자 하는 개별 연구들이 동질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상지 근력(strength)과 상지움직임(motion)’과 ‘양극 모드(anodal tDCS; a-tDCS)와 음극 모드(cathodal tDCS; c-tDCS)’로 구분되어진 여러 요인들이 통계적으로 다른지를 확인하기 위해 통계적 이질성 검정이 수행되었다.
  • 메타분석(Meta-Analysis)은 동일하거나 비슷한 주제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체계적이고 계량적으로 분석한 후 효과크기(effect size)라는 수치로 나타내어 상이한 연구결과를 통합하는 과정을 말한 다. 본 연구는 각 개별연구의 이질성 검증과 누적 효과 크기를 분석한 후, 출판 편의를 확인하는 순서로 진행 되었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경두개 직류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을 적용한 연구를 고찰하여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과 관련된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다. 또한 ‘상지 근력과 상지음직임’ 및 ‘양극(anode) 모드와 음극(cathode) 모드’로 결과변수로 설정한 후,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상지기능이 손상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tDCS 적용과 관련하여 최근 10년 이내에 국내외에서 진행된 연구들을 고찰한 후, 메타분석을 시행하다. 분석된 연구들을 통하여 tDCS를 사용한 중재 프로그램의 치료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하다.
  • 본 연구에서는 상지기능이 손상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tDCS 적용과 관련하여 최근 10년 이내에 국내외에서 진행된 연구들을 고찰한 후, 메타분석을 시행하다. 분석된 연구들을 통하여 tDCS를 사용한 중재 프로그램의 치료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u-Yeung, S. S., Wang, J., Chen, Y., & Chua, E. (2014).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o primary motor area improves hand dexterity and selective attention in chronic strok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93(12), 1057-1064. doi:10.1097/PHM.0000000000000127 

  2.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5), 18-22. 

  3. Cha, H. K., Ji, S. G., Kim, M. K., & Chang, J. S. (2014).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f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6(3), 363-365. doi:10.1589/jpts.26.363 

  4. Cho, H. S., & Cha, H. G. (2015). Effect of mirror therapy with tDCS on functional recovery of the upper extremity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7(4), 1045-1047. doi:10.1589/jpts.27.1045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New York: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 Dehem, S., Gilliaux, M., Lejeune, T., Delaunois, E., Mbonda, P., Vandermeeren, Y., ... Stoquart, G. (2018). Effectiveness of a single session of dual-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combination with upper limb robotic-assisted rehabilita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double-blind, cross-over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41(2), 138-145. doi:10.1097/MRR.0000000000000274 

  7. Figlewski, K., Blicher, J. U., Mortensen, J., Severinsen, K. E., Nielsen, J. F., & Andersen, H. (2017).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potentiates improvements in functional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receiving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Stroke, 48(1), 229-232. doi:10.1161/S TROKEAHA.116.014988 

  8. Floel, A. (2014). tDCS-enhanced motor and cognitive function in neurological diseases. Neuroimage, 85(3), 934-947. doi:10.1016/j.neuroimage.2013.05.098 

  9. Floel, A., & Cohen, L. G. (2010). Recovery of function in humans: Cortical stimulation and pharmacological treatments after stroke. Neurobiology of Disease, 37(2), 243-251. doi:10.1016/j.nbd.2009.05.027 

  10. Fusco, A., Iosa, M., Venturiero, V., De Angelis, D., Morone, G., Maglione, L., ... Paolucci, S. (2014). After vs. priming effects of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upper extremity motor recovery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32(2), 301-312. doi:10.3233/RNN-130349 

  11. Hesse, S., Waldner, A., Mehrholz, J., Tomelleri, C., Pohl, M., & Werner, C. (2011). Combin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robot-assisted arm training in subacute stroke patients: An exploratory, randomized multicenter trial.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5(9), 838-846. doi:10.1177/15459683 11413906 

  12. Hummel, F., Celnik, P., Giraux, P., Floel, A., Wu, W. H., Gerloff, C., & Cohen, L. G. (2005). Effects of non-invasive cortical stimulation on skilled motor function in chronic stroke. Brain, 128(3), 490-499. doi:10.1093/brain/awh369 

  13. Kang, S. Y. (2017). Clinical application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neurological disorder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35(2), 63-71. doi:10.17340/jkna.2017.2.1 

  14. Kim, D. Y., Ohn, S. H., Yang, E. J., Park, C. I., & Jung, K. J. (2009). Enhancing motor performance by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8(10), 829-836. doi:10.1097/phm.0b013e3181b811e3 

  15. Kim, D. Y., Lim, J. Y., Kang, E. K., You, D. S., Oh, M. K., Oh, B. M., & Paik, N. J. (2010).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motor recovery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9(11), 879-886. doi:10.1097/PHM.0b013e3181f70aa7 

  16. Law, M., & MacDermid, J. (2008). Evidence-based rehabilitation: A guide to practice. NJ: Slack Inc. 

  17. Lee, B. K., & Sohn, Y. K. (2016). The effects of statistical artifacts on outcomes in meta-analysi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edges-olkin and hunter-schmidt meta-analytic approaches.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15, 47-97. 

  18. Lee, S. J., & Chun, M. H. (2014). Combinatio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virtual reality therapy for upper extremity training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5(3), 431-438. doi:10.1016/j.apmr.2013.10.027 

  19. Lefebvre, S., Dricot, L., Laloux, P., Desfontaines, P., Evrard, F., Peeters, A., ... Vandermeeren, Y. (2017). Increased functional connectivity one week after motor learning and tDCS in stroke patients. Neuroscience, 340(6), 424-435. doi:10.1016/j.neuroscience.2016.10.066 

  20. Liberati, A., Altman, D. G., Tetzlaff, J., Mulrow, C., Gotzsche, P. C., Ioannidis, J. P., ... Moher, D. (2009).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 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PLoS Medicine, 6(7), e1000100. doi:10.1371/journal.pmed. 1000100 

  21. Llorens, R., Borrego, A., Latorre, J., Alcaniz, M., Colomer, C., & Noe, E. (2017). A combin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virtual reality-based intervention on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survivors with severe hemiparesis. Retrieved from https://ieeexplore.ieee.org/stamp/stamp.jsp?arnumbe r8007486 

  22. Mahmoudi, H., Haghighi, A. B., Petramfar, P., Jahanshahi, S., Salehi, Z., & Fregni, F. (2011).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Electrode montage in strok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3(15-16), 1383-1388. doi:10.3109/09638288.20 10.532283 

  23. Marquez, J. L., Conley, A. C., Karayanidis, F., Miller, J., Lagopoulos, J., & Parsons, M. W. (2017). Determining the benefi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functional upper limb movement in chronic stroke.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40(2), 138-145. doi:10.1097/MRR.0000000 000000220 

  24. McCambridge, A. B., Stinear, J. W., & Byblow, W. D. (2018). Revisiting interhemispheric imbalance in chronic stroke: A tDCS study. Clinical Neurophysiology, 129(1), 42-50. doi:10.1016/j.clinph.2017.10.016 

  25. Merton, P. A., & Morton, H. B. (1980). Stimulation of the cerebral cortex in the intact human subject. Nature, 285(5762), 227. doi:10.1038/285227a0 

  26. Nitsche, M. A., & Paulus, W. (2001). Sustained excitability elevations induced by transcranial DC motor cortex stimulation in humans. Neurology, 57(10), 1899-1901. doi:10.1212/WNL.57.10.1899 

  27. Ochi, M., Saeki, S., Oda, T., Matsushima, Y., & Hachisuka, K. (2013). Effects of anodal and cath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combined with robotic therapy on severely affected arms in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45(2), 137-140. doi:10.2340/16501977-1099 

  28. Poreisz, C., Boros, K., Antal, A., & Paulus, W. (2007). Safety asp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concerning healthy subjects and patients. Brain Research Bulletin, 72(4-6), 208-214. doi:10.1016/j.brainresbull.2007.01.004 

  29. Priori, A., Berardelli, A., Rona, S., Accornero, N., & Manfredi, M. (1998). Polarization of the human motor cortex through the scalp. Neuroreport, 9(10), 2257-2260. doi:10.1097/00001756-199807130-00020 

  30. Rabadi, M. H., & Aston, C. E. (2017).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severely affected arm-hand motor function in patients after an acute ischemic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 trial.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96(10), 178-184. doi:10.1097/PHM.000 0000000000823 

  31. Rossi, C., Sallustio, F., Di Legge, S., Stanzione, P., & Koch, G. (2013).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f the affected hemisphere does not accelerate recovery of acute stroke patients.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20(1), 202-204. doi:10.1111/j.1468-1331.2012.03703.x 

  32. Russo, C., Souza Carneiro, M. I., Bolognini, N., & Fregni, F. (2017). Safety review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stroke. Neuromodulation: Technology at the Neural Interface, 20(3), 215-222. doi:10.1111/ner.12574 

  33. Sattler, V., Acket, B., Raposo, N., Albucher, J. F., Thalamas, C., Loubinoux, I., ... Simonetta-Moreau, M. (2015). Anodal tDCS combined with radial nerve stimulation promotes hand motor recovery in the acute phase after ischemic stroke.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9(8), 743-754. doi:10.1177/15 45968314565465 

  34. Simes, R. J. (1987). Confronting publication bias: A cohort design for meta-analysis. Statistics in Medicine, 6(1), 11-29. doi:10.1002/sim.478006010 4 

  35. Thrasher, T. A., Zivanovic, V., McIlroy, W., & Popovic, M. R. (2008). Rehabilitation of reaching and grasping function in severe hemiplegic patients us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2(6), 706-714. doi:10.1177/ 1545968308317436 

  36. Veerbeek, J. M., Langbroek-Amersfoort, A. C., Van Wegen, E. E., Meskers, C. G., & Kwakkel, G. (2017). Effects of robot-assisted therapy for the upper limb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31(2), 107-121. doi:10.1177/15459683166669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