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인력양성 체제로서 국내 직업교육의 변천 과정 고찰
A Study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Vocational Education as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Korea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45 no.2, 2020년, pp.21 - 45  

김충환 (충남대학교) ,  문인영 (청덕중학교) ,  박신희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과 대학원) ,  김지현 (서울대학교 농산업교육과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가인적자원개발 체제로서 산업인력양성을 위한 직업교육이 국가 경제 및 산업, 사회문화적 맥락과 어떤 관련성을 갖고 변천 과정을 거쳤는지를 파악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의 경제 환경, 산업발달, 사회 변화에 따라 산업인력양성 체제로서의 직업교육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둘째, 직업교육의 역할과 비중에 영향을 준 주요 요인들은 무엇인지, 셋째, 산업인력양성 체제로서의 직업교육과 이공계 인력양성은 국가인적자원개발 모형 관점에서 어떻게 다르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술지 논문, 연구보고서, 학위논문 등의 문헌을 조사하여 시대별로 구분하고 시대 별 경제, 산업, 사회적 이슈, 정책과 연관하여 직업교육의 주요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산업이 고도화되면서 직업교육의 수준은 높아지고 범위는 확장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직업교육은 제조업 산업 기반 이후 점점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중등직업교육은 경공업 중심의 국가 산업 이후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1970년대 이후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국가인적자원개발의 다양화 및 직업의 다양화로 학력 수준에 따른 임금 격차가 생겼고 이는 대학교육에 대한 선호를 높여 중등직업교육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이공계 인력양성에 초점을 맞춘 국가인적자원개발 모형을 제안하여 직업교육 전반에 초점을 맞춘 기존 국가인적자원개발 모형을 비교하였고, 국가인적자원개발을 다양한 분야나 수준별로 세분화하여 모형을 도출하고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연구 결과로부터 우리나라 직업교육, 특히 중등단계 직업교육은 경제 성장과 교육열, 외환위기와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 사회문화적 인식에 큰 영향을 받아 쇠퇴해 왔으며, 직업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인식을 바꾸려는 장기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how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training industrial workforce as a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NHRD) system has undergone a transition process in relation to the national economic, industri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First, how vocational educ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직업교육의 범위와 국가인적자원개발의 범위를 확대해서 국가인적자원개발의 경제, 산업, 교육, 사회적 맥락의 영향에 따른 변화, 그 안에서의 직업교육 전체의 변천과 역할 변화를 보는 것이 이 연구의 지향점과 일치할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직업교육과 국가인적자원개발을 넓은 범위로 확장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주로 중등 및 고등직업교육 분야와 산업의 변화에 따라 국가인적자원개발의 초점이 확대된 이공계 인력양성 분야 중심으로 그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교직업교육 분야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산업기능 및 기술인력 양성이고, 국가의 산업 변화는 주로 전문대 이하의 기능·기술 인력과 이공계 대학 이상의 과학기술 인력양성에 영향을 주었고, 산업, 경제, 국가 정책뿐만 아니라 이러한 영향을 받은 사회적 분위기인 문화, 외환위기와 같은 변수들은 중등직업교육 입학 자원을 흡수하는 등,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직업교육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기존의 문헌을 조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문헌은 국내외학술지 논문, 연구보고서, 학위 논문 등이다.
  • 산업이 고도화되면서 직업교육의 수준은 높아지고 범위가 확장되는 양상을 보였다. 산업 발달 초기에는 중등교육 수준의 직업교육을 집중적으로 육성하여 기능공을 양성하였다면 산업이 고도화될수록 고등교육 수준의 직업교육을 육성하여 중견기술인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후 기술집약적 산업과 첨단산업을 육성하는 등 고도화된 산업으로 인해 직업교육을 중심으로 추진되던 국가인적자원개발은 이공계 대학과 대학원을 육성하는 것으로 전환되었다.
  • 우리나라는 정부수립 이후 비약적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산업이 고도화되면서 이에 맞는 인력을 공급하기 위한 인적자원개발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다. 이 과정에서 직업교육은 국가인적자원개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변화했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변화하는 양상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향후 직업교육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에서는 주로 중등 및 고등단계 직업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여기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이공계 분야 인력양성에 한정지어, 국가인적자원개발로서 직업교육의 산업인력양성 체제 역할이 어떻게 변천되어왔는지를 고찰하였다. 이 연구의 한계이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정책 중심의 직업교육 관점에서 벗어나서 국가의 경제, 산업, 사회적 상황에 따라 직업교육이 어떻게 영향을 받아 변천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중등단계 산업인력양성을 위한 직업교육을 중심으로 하여 이와 관련된 국가인적자원개발의 변천을 같이 살펴보고 그 안에서 직업교육은 어떻게 영향을 받아 변천되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인적자원개발로서 산업인력양성 제제인 직업교육의 변화와 현재 위치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이며, 향후 직업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는가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정책 중심의 직업교육 관점에서 벗어나서 국가의 경제, 산업, 사회적 상황에 따라 직업교육이 어떻게 영향을 받아 변천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중등단계 산업인력양성을 위한 직업교육을 중심으로 하여 이와 관련된 국가인적자원개발의 변천을 같이 살펴보고 그 안에서 직업교육은 어떻게 영향을 받아 변천되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인적자원개발로서 산업인력양성 제제인 직업교육의 변화와 현재 위치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이며, 향후 직업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는가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교직업교육 분야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러나, 이 연구에서 직업교육과 국가인적자원개발을 넓은 범위로 확장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주로 중등 및 고등직업교육 분야와 산업의 변화에 따라 국가인적자원개발의 초점이 확대된 이공계 인력양성 분야 중심으로 그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교직업교육 분야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산업기능 및 기술인력 양성이고, 국가의 산업 변화는 주로 전문대 이하의 기능·기술 인력과 이공계 대학 이상의 과학기술 인력양성에 영향을 주었고, 산업, 경제, 국가 정책뿐만 아니라 이러한 영향을 받은 사회적 분위기인 문화, 외환위기와 같은 변수들은 중등직업교육 입학 자원을 흡수하는 등,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2016). 좁은 범위로 한정하였지만 경제, 산업, 사회적 맥락이 직업교육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이러한 다양한 맥락을 고려한 직업교육의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더욱 발전적인 직업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중등단계직업교육에서 정책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추면 새로운 정책의 방향을 제시할 때 생길 수 있는 위험은 무엇인가? 이러한 비판은 특히 새로운 정부가 탄생할 때마다, 경제 침체와 실업 문제가 부각될 때마다, 새로운 정책이 등장하는 시점마다 늘 제기되었고 주로 정책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기존 정책의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어 새로운 정책의 방향을 제시할 때는 기존 정책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근시안적인 정책을 제시하거나 오히려 과거의 실패한 정책으로 회귀할 수도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동일한 정책의 반복이나 과거의 실패를 답습하지 않기 위해서는 변천 과정을 살펴보기도 한다(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직업교육의 변천에 대해 기술한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 즉, 어떤 분야의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과거를 반성하고 고찰하여 보완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 과거에 대한 고찰은 매우 의미 있고 유용하다. 직업교육의 경우 ‘직업교육훈련 100년사’(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광복 70년의 직업교육 정책 변동과 전망’(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에서 직업교육의 변천에 대해 기술하였고 이를 토대로 직업교육의 발전적인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직업교육 정책은 국가의 입장에서는 국가인적자원개발의 일부이고, 국가인적자원개발 역시 다양한 국가 정책 중 일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강경종(2003).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직업교육훈련 정책방향: 분과 발표 및 토론; 직업교육훈련: 참여정부에서의 직업교육훈련 중장기 발전 방향. 대학공업교육학회 공동학술발표 논문집, 189-204. 

  2. 강일규, 고혜원(2002). 인적자원개발정책 평가체제 개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 강현주, 조대연(2017). 델파이 조사를 통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적자원개발 정책 방향 및 과제 탐색. HRD 연구, 19(4), 1-34. 

  4.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03). 과학기술의 질적 제고 및 불균형 완화: 정책과제 및 개선방안.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 권오정(2005).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과 활용에 대하여. 교육인적자원부. 

  6. 교육개혁위원회(1996). 신 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II). 대한교과서. 

  7. 교육인적자원부(2003). 현안 및 주요 정책과제: 대통령 업무보고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8. 김동연, 김진수(2013).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3), 22-46. 

  9. 김덕기(2005). 산업부문별 인적자원개발과 국가직무능력표준.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김소영(2019). IMF 외환위기 실업자 직업훈련정책 효과성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영재, 김정기(2014). 한국 전문대학정책의 변천에 관한 연구: 제도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지, 34, 242-270. 

  12. 김영화(1997). 한국의 경제발전과 교육의 역할. 교육재정경제연구, 6, 31-74. 

  13. 김장호(2005). 한국의 인적자원: 도전과 새 패러다임. 경기: 법문사. 

  14. 김종철 외(1996). 첨단과학기술시대에 대비하는 고등교육의 개혁 3. 교육행정학연구, 14, 80-117. 

  15. 김진모(2004). 인적자원개발 연구 동향.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6(4), 115-138. 

  16. 김호준(2015). 이승만정권기 실업교육진흥책의 추진과 성격. 사학연구, 119, 329-372. 

  17. 김흥규(2012). 과학기술인력양성정책의 변천사와 시사점. 경영사학, 62, 157-175. 

  18. 나일주, 변현정(2007). 국가인적자원개발의 전개맥락. 평생학습사회, 3(2), 55-74. 

  19. 문지은(2018). 제 2 차 교육과정 개정의 특징과 사회적 맥락 (1958-1963).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7(1), 47-69. 

  20. 박경화(2004). 김대중 정부 교육개혁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기범(2014). 과학기술인력정책의 성과와 한계: 과학기술인력 수급전망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 24(3/4), 24-15. 

  22. 박문수, 김은영(2019). 지역대학 이공계 연구인력 육성방안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22(1), 25-40. 

  23. 박영구(2011). 중화학공업화선언과 1973년 공업교육제도 변화. 한국민족문화, 40, 347-388. 

  24. 신현석(2000). 전문대학 개혁정책의 분석 연구: 1980 년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0, 89-110. 

  25. 신현석, 정용주, 윤지희(2018). 문재인 정부 교육개혁의 쟁점과 과제: 교육개혁의 방향과 내용, 추진방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24(2), 81-114. 

  26. 오정란(1995). 산업사회에서의 기술변화와 직업훈련. 연세교육연구, 8(1), 42-59. 

  27. 오헌석(2002). 국가인적자원개발관리 모델과 인적자원정책 방향의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3(2), 191-218. 

  28. 오헌석, 송영숙, 최예슬(2009). 인적자원개발기본법 개정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7(3), 145-161. 

  29. 윤근혁(2017). 문재인 정부 교육정책 어떻게 바뀔까? 우리교육, 32-41. 

  30. 이강우, 박진철(2011), 공학교육인증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건축, 55(6), 66-70. 

  31. 이서정, 정진철(2014). 국내 인적자원개발 관련 법률의 내용분석과 발전적 논의.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6(1), 131-150. 

  32. 이은경(2006). 이공계 기피 논의를 통해 본 한국 과학기술자 사회의 특성, 과학기술학연구, 6(2), 77-102. 

  33. 이종태(2003). 참여정부의 교육혁신, 어떻게 할 것인가. 참여정부 교육개혁 방향과 과제 공청회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34. 이훈구(1986). 실업.기술교육의 실태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2, 47-62. 

  35. 임경수, 이희수(2015).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국가인적자원개발정책에 대한 체제적 평가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3(3), 133-162. 

  36. 장명희, 김종우(2012). 마이스터고 지속 가능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이슈페이퍼 2012-7,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7. 전영욱, 류지은(2018). 중등단계 직업교육 학점제의 쟁점과 개념적 모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0(4), 33-55. 

  38. 정종철(2013). 박근혜 정부 교육정책과 정부 3.0: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 교육. 한국행정학회 2013 학술발표논문집, 1-33. 

  39. 정진성(2016). 1960 년대 한국 정부의 기술인력 양성정책-기능공 양성을 중심으로. 경제사학, 62, 321-365. 

  40. 조은상(2001). 21세기 국가인적자원개발의 방향 및 정책과제. 인력개발연구, 3(1), 181-204. 

  41. 하태수(2011). 전두환 정권 출범 시기의 중앙정부조직 개편 분석. 한국정책연구, 11(1), 89-122. 

  42. 한경희(2014). 새로운 공학교육의 비전, 어디에서 어떻게 시작할 수 있을까? 건축, 59(1), 21-24. 

  43. 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8). 직업훈련교육 100년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4. 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9). 직업교육훈련 대사전.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5.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 국가인적자원개발의 인프라구축.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6.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1).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과 활용.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7.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6). 광복 70년의 직업교육 정책변동과 전망.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8. 한숭희(2005). 문민정부 교육개혁과 평생교육담론: 권위적 국가주의 청산과 교육개혁의 새판짜기. 아시아교육연구, 6(3), 59-80. 

  49. 홍성민(2012). 과학기술인력정책의 연혁과 전개 방향. 과학기술정책, 188(9), 166-173. 

  50. 홍성민(2015). 제3차 이공계 인력 지원 육성 기본계획의 추진방향. 과학기술정책, 25(7), 20-27. 

  51. 황민영(2005). 농업경쟁력과 인적자원개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9. 

  52. Cho, E., & McLean, G. N. (2004). What we discovered about NHRD and what it means for HRD.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6(3), 382-393. 

  53. Cho, E., & McLean, G. N. (2017).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sited in the Republic of Korea.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14(1), 25-46. 

  54. WEF. (2016).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ies for the Forth Industry Revolution. Retrieved from http://www3.weforum.org/docs/WEF_Future_of_Jobs.pdf. 2019.5.4. 

  55. WEF. (2017). Realizing Human Potential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 Agenda for Lwaders to Shape the Future of Education, Gender and Work. Retrieved from http://www3.weforum.org/docs/WEF_EGW_Whitepaper.pdf. 2019.5.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