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명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Basic research for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invention education program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45 no.2, 2020년, pp.86 - 107  

임병웅 (한밭중학교) ,  최완식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교육을 운영하는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준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 평가준거를 제시하여 발명교육의 효과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단계는 '계획(Planning), 준비(Preparation), 과정(Process), 산출(Product)'의 4단계로 '4P 단계'로 명명하였다. 둘째,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계획 단계 평가 영역은 '목표 설정, 요구 분석', 교육과정 설계'이다. 준비 단계 평가 영역은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인적 자원 확보, 물적 자원 확보'이다. 과정 단계 평가 영역은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관리, 학습자 관리'이다. 산출 단계 평가 영역은 '교육 실적, 성취 결과, 교육 평가'이다. 이상의 발명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는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제고하고 관리할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다양한 발명교육 기관에서의 환류와 관계 전문가들의 타당화 과정을 통한 조정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평가준거를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invention education by presenting basic evaluation criteria that can be used when designing and preparing invention education programs in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operate invention education. The results of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교육을 운영하는 관계자와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준비하는 단계에서 참고할 수 있는 발명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교육을 운영하는 교육기관에서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필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재고하며 관리할 수 있는 발명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를 개발하는 데 있다.
  • 이를 통해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개념, 유형, 목적, 특성을 바탕으로 교육프로그램 평가준거를 도출하였다. 이에 관해서는 연구 결과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는 발명교육의 활성화와 제도적 지원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정부는 2015년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발명과 지식재산 교육을 반영했고, 2017년 ‘발명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는 등 발명교육의 활성화와 제도적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적 노력과 함께 발명교육이 한 단계 더 발전하기 위해서 발명교육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준거를 개발하여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제고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제고에 문제점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결과 다양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발명교육이 확대되는 양적 팽창에 이바지하였지만,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제고에는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그 이유로는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가 되는 이론적 연구가 부족하여 프로그램 개발의 기준이 되는 핵심적 교육과정이 미흡하다는 점이다. 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주체가 다양하여 교육 목적이나 방법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 못한 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기 때문이다.
발명교육의 내용 표준과 교수·학습 방법 및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논의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된 결과는 무엇인가? 그 결과 다양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발명교육이 확대되는 양적 팽창에 이바지하였지만,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제고에는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그 이유로는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가 되는 이론적 연구가 부족하여 프로그램 개발의 기준이 되는 핵심적 교육과정이 미흡하다는 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경옥(2009). 영어마을 평가준거 개발.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2. 김보경(2013). 초등교육과정에 따른 서울지역 초등발명교실 콘텐츠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서울. 

  3. 김용익(2003). 기술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평가모형 및 평가준거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6(3), 163-177. 

  4. 김용익(2011). 발명설계 프로세스에 기반을 둔 발명 관련 교재의 내적 체제 모형 구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2), 145-164. 

  5. 김진모(2010). 차세대 지식기반 영재기업인 프로그램-공통프로그램 및 운영 가이드. 서울: 한국발명진흥회. 

  6. 나승일 외(2007).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3), 97-123. 

  7. 남승권(2010). 기술적 사고성향 검사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전. 

  8. 도승이 외(2012). 지식재산기반 차세대영재기업인 육성사업 교육원 평가편람 개발.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성균관대학교. 

  9. 문성환 외(2012). 발명교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초등교육, 23(2), 231-245. 

  10. 박기문(2011). 체제분석적 접근에 기반한 공학교육프로그램 평가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전. 

  11. 박락영(2008).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전략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전. 

  12. 박세근(2008). 서울지역 발명교실의 교육과정 분석 및 운영 실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청주. 

  13. 배선라(2006). 생활과학교실 평가지표 개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14. 배호순(2008). 교육프로그램평가론. 서울: 원미사. 

  15. 성혜경(2011). 서울지역 초등발명교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발명교실 강사의 인식조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서울. 

  16. 엄부영 외(2010). 차세대 창의발명교육 모델구축 연구 보고서.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17. 유승원(2011). 전라북도 발명교실의 교육과정 및 운영 실태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 전주. 

  18. 이건환(2013). 발명교육 활성화 지수를 이용한 발명교실 운영실태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서울. 

  19. 이건환(2017). 발명교사 역량 모델 개발.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전. 

  20. 이규녀(2010). 인재개발 사이버 교육 프로그램의 과정중심 평가준거 개발.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전. 

  21. 이동원(2014). 초등 발명교사들이 기대하는 초등 발명교육의 방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1), 235-255. 

  22. 이동원(2014). 발명교사 PCK에 근거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3), 153-168. 

  23. 이병욱(2002). 공업계 고등학교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평가준거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전. 

  24. 이윤조(2009). 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25. 이재분 외(2013). KEDI 영재교육기관 평가 편람 연구보고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6. 이종승(2009). 교육.심리.사회 연구방법론. 서울: 교육과학사. 

  27. 이한규(2006). 기술적 문제해결력 평가틀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28. 임지연(2006).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논리주도적 평가준거체제 개발.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29. 장순호(2012). 발명교육 연구 동향과 발명교실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광주. 

  30. 정진철(2011). 발명교육 활성화 지수 개발. 대전 : 특허청. 

  31. 정진우(2012). 발명능력 지표 개발 및 평가 도구의 구안. 박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청주. 

  32. 정진철 외(2011). 발명교육 활성화 지수 개발 연구보고서. 한국발명진흥회, 서울대학교. 

  33. 정호근(2008). 발명교실 평가 도구 개발 연구보고서.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34. 최유현 외(2005). 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직업교육연구, 24(3), 271-296) 

  35. 최유현 외(2012).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교육 내용 표준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148-168. 

  36.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2008). 발명교육연구회 활성화 지원사업 연구보고서. 

  37. Altschuld, J W(1995). Program evaluation in science education: The model perspective. New directions for program evaluation, 65, 5 

  38. Brinkerhoff(1988). An integrated evaluation model for HRD. Training and Development Journal. 42(2). 66-68 

  39. Champman(2006). Building an evaluation plan for fully online degree programs. Journal of Distance Learning Administration. IX(I). Retrieved Spring 2006. from http://nurs.westga.edu/-distance/ojdla/spring91/chapman91.htm 

  40. NAGC Pre-K-Grade 12 Gifted Program Standards(1998). 미국 유치원-12학년 영재교육 프로 그램 기준. 국립영재학회. 

  41. Stufflebeam, D. L.(1971). The Relevanc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Accountability.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5. 19-25. 

  42. Stufflebeam. D. L.(2001). Evaluation Checklists: Practical Tools for Guiding and Judging Evaluations. American Journal of Evaluation March . 22(1). 71-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