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특성과 글로벌가치사슬 참여 구조 변화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etroleum and Petrochemical Industries and Change of Participation in Global Value Chains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23 no.3, 2020년, pp.349 - 368  

고나영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김성훈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글로벌가치사슬 내 위치 변화와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특성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 석유화학산업은 1960년대 정부의 정책적 지원 하 빠르게 성장하였고, 1980년대 수출주도형 산업으로서 한국 국가경제발전의 핵심 기간산업이 되었다. 1980년 말부터 한국 석유화학산업은 민간 주도의 대규모 생산설비 확충을 바탕으로, 한국은 글로벌 석유화학산업의 주요 국가로 자리매김하였다.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공간적 분포는 울산광역시, 여수시, 서산시를 중심으로 상당한 공간적 집중이 나타난다. 그러나 석유화학산업 내 부문별로 지역별 공간적 집중 정도는 차별적으로 나타난다. 국내 석유화학산업은 지역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해 차별적인 전략을 취함으로써, 구조고도화 및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으로 전환하고자 한다. 국가 수준의 석유화학산업 내 구조 변화는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GVC 참여 구조 변화를 유발하였지만, 주요 경쟁국에 비해 국내 부가가치는 낮은 수준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etroleum and petrochemical industries and the change of participation in global value chains. Since 1960s, Korean petroleum and petrochemical industries have been developed under government's industrial poli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유화학산업의 특징은 무엇인가? 석유화학제품은 자동차, 섬유, 가전, 건설 등 수요 산업의 기초원자재로 활용됨과 동시에 일반 소비재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타 산업과의 전후방 연계가 높게 나타난다 (Kannegiesser, 2008; 김창봉, 2010). 그 결과 석유화학산업은 글로벌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GVC) 참여도가 높은 산업 중 하나로, 중간재 교역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특성이 나타난다.
국내 지역 수준의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국내 지역 수준의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강화는 세계 수준의 한국의 산업 경쟁력 강화와 맞물려 있다. 중앙정부의 국가 클러스터 정책에 기반 한 지역 석유화학산업의 구조조정 및 기업 활동의 다각화 전략을 통해 국가 차원의 산업 경쟁력 확보를 도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가 변동과 국제 시장 변동과 같은 외부적 요인에 영향을 덜 받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산업부문 내 구조재편이 필수적이다.
석유화학산업은 무엇인가? 석유화학산업의 정의는 연구자에 따라 그 정의가 다양하게 존재한다. 협의의 석유화학산업은 정유업을 의미하기도 하며, 광의의 석유화학산업은 정유업을 기반으로 한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조업, 고무 및 플라스틱 제조업을 모두 포괄한다. 본 연구에서 정의한 석유화학산업은 크게 정유업(D19), 화학제품 및 의약품 제조업(D20T21), 고무 및 플라스틱 제조업(D22) 세 가지 세부 산업 군으로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5, 동남아시아 지역의 산업 가치 사슬 이동과한국의 대응. 

  2. 김소연.류수열, 2017,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울산광역시 3대 주력산업의 구조변화와 성장요인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1), pp.1-15. 

  3. 김영수.정준호.박창귀, 2016, "충남경제의 성장요인 및 회복력 분석," 국토지리학회 50(3), pp.323-338. 

  4. 김종득.김석민.김선광.이종규.최성희, 2007,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대중국 투자진출에 따른 구조변화에 관한 연구: L사의 ABS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무역학회지 32(2), pp.311-329. 

  5. 김종철, 2019, "우리나라 석유화학산업단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정책 방향 연구-울산지역 파이프랙 구축 지연 원인과 정책대안을 중심으로-," 정책개발연구 19(1), pp.35-65. 

  6. 김종철.고영희, 2018,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미래전략 시나리오 분석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18(1), pp.319-330. 

  7. 김창봉, 2010,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사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14(1), pp.141-160. 

  8. 대구경북연구원, 2019, 경상북도 석유화학산업 투자유치방향 연구. 

  9. 박승규.김의준, 2009,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권역별 산업 성장의 구조변화분석," 경제연구 27(3), pp.79-103. 

  10. 산업연구원, 2015, 한국형 ODA 산업분야 연구: 발전경험 시리즈 [석유화학산업]. 

  11. 정홍석, 2018, "유가 변동의 석유화학산업에 대한 영향 분석," 산은조사월보 755, pp.75-93. 

  12. 울산발전연구원, 2007, 울산지역 석유화학산업의 발전과정. 

  13. 이동휘.현인규, 2016, "한.중.일 석유화학 산업의 국제경쟁력 분석: 마이클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중심으로," 유통경영학회지 19(4), pp.31-53. 

  14. 이병완.김태현, 2019, "수출산업 고도화전략에 대한 연구: 울산지역 석유화학산업을 중심으로," 무역학회지 44(1), pp.237-251. 

  15. 이우배.김성권, 2012, "동남경제권 석유화학산업의 지역 선도산업적 기능 및 위상 분석 연구," 지역연구 28(2), pp.39-58. 

  16. 정윤정.우수한.박근식, 2015, "석유화학업체의 플랜트 입지 선정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1(1), pp.127-145. 

  17. 정준호.조형제, 2016, "OECD 부가가치 기준 교역자료를 이용한 자동차산업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의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3), pp.491-511. 

  18.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http://stat.kita.net/main.screen 

  19. 한국산업단지공단, 2016, 한국산업단지총람. 

  20.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 2006, 석유화학산업의 이해: 석유화학으로 만드는 세상. 

  21.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 2010, 통계로 보는 석유화학산업 40년사. 

  22.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2015, 전남 석유화학산업의 환경변화와 대응전략. 

  23. 울산일보, 2011.6.29., "울산공단 50년 (8) 석유화학단지.현대자동차.중공업" (https://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704) (최종열람일: 2020년 9월 20일). 

  24. 매경이코노미, 2009.10.21., "김완주 전라북도 지사 3년 동안 398개 기업 유치했죠"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4&aid0000027485) (최종열람일: 2020년 9월 17일) 

  25. Hummels, D., Ishii, J. and Yi, K. M., 2001, "The nature and growth of vertical specialization in world trade,"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54(1), pp.75-96. 

  26. Johnson, R. C. and Noguera, G., 2012, "Accounting for intermediates: Production sharing and trade in value added,"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86(2), pp.224-236. 

  27. Kannegiesser, M., 2008, Value chain management in the chemical industry: Global value chain planning of commodities. Physica-Verlag. 

  28. Koopman, R., Wang, Z. and Wei, S. J., 2014, "Tracing Value-Added and Double Counting in Gross Exports," American Economic Review 104(2), pp.459-494. 

  29. Matsuhashi, K. and Togashi, K., 1988, "Locational dynamics and spatial structures in the Japanese manufacturing industries: A review on the Japanese industrial restructuring process of leading sectors," Geographical Review of Japan Series B. 61(1), pp.174-189. 

  30. OECD TiVA(Trade in Value Added), http://www.oecd.org/sti/ind/measuring-trade-in-value-added.htm#access 

  31. Park, S. O., 2008, "A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s industrial structural transformation and spatial development," in Huang, Y. and Magnoli Bocchi (eds.), A. Reshaping Economic Geography in East Asia., The World Bank, pp.320-337. 

  32. Ponte, S., Gereffi, G. and Raj-Reichert, G. (Eds.), 2019, Handbook on Global Value Chains, Cheltenham: Edward Elgar. 

  33. Wang, Z., Wei, S. J., Yu, X. and Zhu, K., 2017, "Measures of participation in global value chains and global business cycles,"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Working Paper No. 23222. 

  34. Wang, L., Zhang, C. and Jiang, F., 2019, "Matching governance mechanisms with transaction-specific investment types and supplier roles: An empirical study of cross-border outsourcing relationships,"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28(2), pp.316-327. 

  35. World Bank, 2020, World Development Report 2020: Trading for Development in the Age of Global Value Chains, Washington, DC: World Bank (https://www.worldbank.org/en/publication/wdr2020/brief/world-development-report-2020-dat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