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진단과 처방
Policy Diagnoses and Prescriptions of Crisis on Industrial Reg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22 no.3, 2019년, pp.237 - 245  

정성훈 (강원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이 논문은 '산업위기지역의 재활성화 조건: 유럽과 한국의 경험'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특집호에 실린 논문들을 소개하고,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재활성화에 대하여 진단과 처방에 관한 정책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 논의에서 한국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진단들은 산업, 고용, 기업, 소비, 투자, 부동산, 노동시장 등 양적인 척도들과 외부 환경, 기능적, 구조적, 공간적 특징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인 척도들에 초점을 두고 있다.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처방들은 관련 법 제정, 금융 지원, 일자리 창출, 산업구조 다각화, 도시기반 강화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향후 한국의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접근은 산업과 다양한 분야(사회, 교육, 정치, 복지 등) 간 연계를 강화할 수 있는 정책 개발이 필요하며, 부처 내, 부처 간 협력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통합적 추진체계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articles of the special issue on 'Revitalization Conditions on Crisis on Industrial Regions: Experience from Europe and the Republic of Korea, and to explore policy alternatives to crisis on industrial regions on the basis of policy diagnoses and prescrip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6), 지역에서 새로운 공동학습(collective learning)의 기반을 조성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위와 같은 맥락에서 이 논문은 현재 한국의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두고 논의를 진전시키고자 한다.
  • 이 논문은 ‘산업위기지역의 재활성화 조건: 유럽과 한국의 경험(Revitalization Conditions on Crisis on Industrial Regions: Experience from Europe and the Republic of Korea)’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특집호에 실린 논문들을 소개하고,1)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재활성화에 대한 정책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처방들은 무엇으로 요약될 수 있는가? 한국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처방들은 단기·중장기적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시간적 해결책과 산업, 금융, 공간 등 기능적 해결책으로 요약될 수 있다(조성철 2019b; 이두희 2019). 이두희(2019)는 정부의 정책적 처방에서 일시적인 경기침체에는 사· 민·정의 사회적 결속력을 통한 수요확보와 산업금융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구조적인 침체에는 중장기적으로 지역산업 전체를 재구조화해야 함을 접근방법으로 제시했다(표 1).
정책적 처방들이 초점을 두고 제시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정책적 처방들은 그 내용의 깊이와 폭은 다소 다를지라도, 영남권, 호남권의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처방들(김진석, 2019; 송부용·박진호, 2019; 전지혜·이철우, 2019; 황진호, 2019)과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이러한 처방들은 기존 전략산업 구조고도화 전략, 4차 산업혁명의 기초가 되는 신기술을 활용한 기존 산업의 기술혁신역량 강화 또는 신산업 창출, 도시재생 등에 초점을 두고 제시되고 있다. 이외에도 박소영(2019)이 제안한 정책적 처방들은 기존 정책들의 혼합 또는 연계를 통한 새로운 정책적 접근을 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살기 좋은 도시와 지역 만들기’ 정책은 긴급 대책에서 장기비전으로 넘어가는 ‘중간징검다리’로 활용하는 방안과 도시권 단위의 융·복합 정책 추진 등을 들 수 있다.
지역교육혁신체제란 무엇인가? 그러므로 이 지역은 전 생애주기적 지역교육혁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 for education; RISE) 구축이 필요하다. 필자가 주장하는 지역교육혁신체제란 지역 간 격차 완화 또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 분야가 산업, 과학, 기술, 노동, 사회복지, 인문, 사회 분야 간 혁신적인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교육혁신의 모든 주체들이 다양한 지리적 규모(장소, 지역, 국가, 세계)에서 전 생애주기적 교육혁신을 선도하면서 혁신형 인재양성과 지역 발전을 견인하는 체제를 말한다(정성훈, 2019a). RISE는 철저히 지역 맞춤형과 인재 맞춤형으로 진행되어야하며, 이를 위한 교육 여건, 교육 과정, 교육성과·환류체계 구축에 대한 작업들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경환.문승희.정혜윤.홍진기, 2019, "스페인 빌바오의 지역발전 재생경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258-273. 

  2. 김대중.경종수.정성훈, 2014, "산업구조 다양성과 고용창출 및 지역경쟁력간 관계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786-800. 

  3. 김진석, 2019, 호남지역 산업도시의 현황과 과제, 2019년 한국경제지리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4. 박삼옥, 1999, 현대경제지리학, 아르케. 

  5. 박소영, 2019, "산업위기지역 활성화를 위한 정책 현황과 과제," 국제컨퍼런스 한국 산업도시의 변화와 과제, 2019. 6. 12. 국토연구원. 

  6. 송부용.박진호, 2019, "환경 변화에 따른 영남권 전통산업도시의 현황과 과제," 국제컨퍼런스 한국 산업도시의 변화와 과제, 2019. 6. 12. 국토연구원. 

  7. 이두희, 2019, "지역산업위기 원인과 극복방안," 2019년 한국경제지리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8. 이종호.장후은, 2019, "유럽의 산업위기지역 지원정책 동향 및 시사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 246-257. 

  9. 전지혜.이철우, 2019,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현 주소: 구미지역 산업 환경과 위기실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291-303. 

  10. 정성훈, 2019a, "지역교육혁신체제: 지역발전-지역혁신 성장을 위한 대안," 2019 대한민국 국가비전회의II, 지역혁신과 포용을 통한 균형발전 세션 발표 자료, 2019 대한민국 국가비전회의II 직위원회 pp.1-19. 

  11. 정성훈, 2019b, "한국, 20년전 영국의 실수 반복할 것인가?: 산업위기지역의 회복력 증진을 위하여," 경제지리학자들의 시선(2019. 5. 3.), 프레시안. 

  12. 정성훈.최다희, 2018, 강원도 산업단지 집적화 추진 현황 및 개선 방안, 한국은행 강원본부. 

  13. 정준호, 2016, "EU의 스마트 전문화 및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한국 지역산업정책 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782-798. 

  14. 조성철, 2019a, "지역별 제조업 고용변화에 대한 자동화와 세계의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274-290. 

  15. 조성철, 2019b, "한국 산업도시의 위기 진단과 회복력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국제컨퍼런스 한국 산업도시의 변화와 과제, 2019. 6. 12. 국토연구원. 

  16. 황진호, 2019, "산업도시와 지역의 변화: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2019년 한국경제지리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 

  17. Hudson, R., 1988, Wrecking a Region: State Policies, Party Politics, and Regional Change in North East England, London: Pion Ltd. 

  18. Jung, S.-H., 2001, The Global-Local Interplay: Korean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European Union, Unpublished D.Phil. Thesis, University of Sussex, UK. 

  19. Massey, D., 1994, Space, Place and Gender,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 Peck, J. and Tickell, A., 1994, Searching for a New Institutional Fix: The After Fordist Crisis and Global-Local Disorder, in Amin, A.(ed.), Post-Fordism: A Reader, Oxford: Blackwell, pp.280-315. 

  21. Pike, A., Rodriguez-Pose, A. and Tomany J., 2006, Local and Regional Development, London & New York: Routledge. 

  22. Pike, A., 2019, "Coping with deindustrialisation and economic evolution: institutional and policy learing from British cities," 국제컨퍼런스 한국 산업도시의 변화와 과제, 2019. 6. 12. 국토연구원. 

  23. Pike, A., Tomany, J. and Jenkins, M., 2019, The North of Tyne Metro-Mayor: An Office Without Power?, CURDS, Newcastle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