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중심논리의 장례서비스 개념과 역할 고찰
Examination of funeral service concept and role of Service-Dominant Logic 원문보기

서비스연구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v.10 no.3, 2020년, pp.43 - 53  

이필도 (을지대학교 바이오융합대학 장례지도학과) ,  이정선 (을지대학교 바이오융합대학 장례지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비스는 수요자(고객)와 제공자(서비스 종사자)의 인간적인 상호관계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오늘날과 같은 무형경제시대 서비스는 관계재화로서 인적자본을 행사하는 창조활동으로 이해한다. 대부분의 서비스 활동은 사물에 대한 것이 아니라 인간적 활동이기 때문에 이용자와 서비스종사자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의존하게 되며, 장례서비스는 서비스 공급자가 서비스 대상자(고인, 유가족, 조문객)에게 제공하는 인간적 활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장례서비스는 죽음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고인과 유족, 조문객을 위한 서비스로 서비스 종사자와 유가족 및 조문객들의 상호작용이 통합됨으로써 발휘되는 인간적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장례서비스는 고인을 계기로 엄숙한 장례의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장례용품의 원활한 제공과 복잡 다양한 대인서비스로 소비자들의 편익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중심논리 관점에서 서비스의 주체인 상주(유가족)와 조문객을 중심의 장례서비스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장례서비스의 개념과 역할을 연구하였다.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장례서비스의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동태적 자원 관점에서 장례서비스와 장례용품을 구분하고, 소비자에게 폭넓은 선택권의 자유를 보장하고, 고객의 불만족과 개선요구가 투명하게 처리될 수 있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이제 우리는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죽음 질에 대한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장례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시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rvice involves a human interaction between a consumer (customer) and a provider (service worker). In particular, services in today's intangible economy are understood as creative activities that exercise human capital as related goods. Since most service activities are human activities, not obje...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장례서비스는 돌아가신 분에 대한 예를 갖추고 장례절차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장례장소 및 시설을 갖추고 장례용품 제공과 상주와 유가족. 그리고 조문객에 대한 편의제공 등 장례절차 진행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중심논리 관점에서 서비스의 주체인 상주, 유가족과 조문객을 중심으로 하여 장례서비스의 방향성을 연구하였다.
  • 장례의 사회적 기능과 함께 장례서비스와 관련된 제도 변천과정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산업화, 도시화된 현대 사회에서의 장례서비스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례서비스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먼저 상장례에 관한 가치관과 사고방식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 주요 장례용품 및 서비스에 대하여 정부 혹은 장의협회의 주관으로 현재 치루어지고 있는 장례절차에 대한 간단한 서술 및 상중하 구분에 따른 품질 및 권장가격의 내용을 담은 소비자 교육자료를 제작하고 장례식장에 비치⋅배포토록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례서비스에서 외형적으로 중요하게 부각되는 기능은 무엇인가? 장례서비스는 외형적으로 시신의 위생적 처리 및 관리와 내면적으로 장례의식에 참가하는 구성원들 사이에서 가족 및 소속집단 사이에서 감정적, 물질적 수단을 통한 사회적 유대를 확인하는 기능이 중요하게 부각된다. 장례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장례상담을 통하여 장례일정, 장례절차, 방법을 안내하고, 장례장소와 장례용품을 공급하며, 보건위생적인 시신처리와 염습, 조문예절 등 장례절차를 진행시키고 필요한 행정절차를 서비스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날 장례 의식에서 가족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낮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장례의식은 가족구성원끼리의 일체감을 느낄 수 있는 대표적인 가족의례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장례 의식에서 가족이 차지하는 비증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상장례에 대한 지식이 거의 전무한 형편이기 때문이다. 대신 장례서비스 종사자장례서비스 종사자에게 댓가를 지불하면서 종사자가 시키는 대로 장례절차를 진행하며 장례용품을 이용하고 있는 형편이다.
장례서비스는 무엇인가? 장례는 한 인간의 죽음이 육체적 소멸로 끝나지 아니하고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죽음으로 되살리는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다. 장례서비스는 돌아가신 분에 대한 예를 갖추고 장례절차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장례장소 및 시설을 갖추고 장례용품 제공과 상주와 유가족. 그리고 조문객에 대한 편의제공 등 장례절차 진행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hn, Jinho, Hyunsoo Kim, JeungSun Lee (2017). Effect of the Service Design Characteristics on the performance of Servitization in Sam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firm, Journal of Industrial Design. 11(2):23-34. 

  2. Chesbrough H., J. Spohrer (2006), research manifesto for services science, Communications of the ACM, 49(7): 35-40. 

  3. Katzan, H. (2008). Foundations of Service Science concepts and facilities. Journal of Service Science. 1(1): 1-22. 

  4. Kim, Hyunsoo (2015) A Suggestion on the New Service Research Framework,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5(2): 199-216. 

  5. Kim, Hyunsoo(2016). A Study on Accelerating Service Economy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6(3): 15-28. 

  6. Kim, Kihwan, Kim, Sookkyung(2011,), Improvement of Funeral Service Business, Korea KOREA INSTITUTE INDUSTRIAL ECONOMICS &TRADE. 

  7. Kim, Sideuk, (2007.11), Funeral Culture in Contemporary Urban Area, Korean Cultural Anthropology. 

  8. Kim, Yongjin, Nam, Kichan (2007), Theoretical framework and service innovation for understanding service scienc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17(6): 69-83. 

  9. Parasuraman, A., Zeithaml, V. A. & Berry, L. L. (1985).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4): 41-50. 

  10. Park, Jungsuk (2003), A Case Study of the Funeral Space and Method in Urban Area, Asian Comparative Folklore, vol25. 

  11. Lee, Pildo (2002), Funeral Service Industry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Journal of the Korean Funeral Culture, 2002(1). 

  12. Lusch R.F., Vargo S.L., Wessels G. (2008). Toward a conceptual foundation for service science: Contribution from service-dominant logic, IBM Systems Journal, 47(1): 5-14. 

  13. Nam, Kichan, Kim, Yongjin and Kin, Jinwha (2010), Service Power: The core strategy of creative management where customers call customers. Dong-A Ilbo. Seoul: Korea. 

  14. Vargo, S. L. & Lusch, R. F. (2004). Evolving to a new dominant logic for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68: 1-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