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암화학요법으로 유발된 만성 말초신경병증 환자의 한의학적 치험 1례 : 2년 이상 지속된 항암화학요법 유발 말초신경병증 치험
A Case Report of Chronic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Treated by Korean Traditional Medicine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41 no.5, 2020년, pp.892 - 901  

안유민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교실) ,  이유나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교실) ,  백경민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교실) ,  장우석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대구한방병원 심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reports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on persistent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CIPN). Method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at included acupuncture, moxibustion, and herbal medicine.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다발성 골수종의 항암화학요법 후 NCI-CTCAE grade 3의 CIPN이 2년 이상 지속된 환자에 대하여 단일 종류의 보험 한약 투여와 침치료를 포함한 적극적인 한의학적 치료를 통하여 CIPN 뿐만 아니라 환자의 우울, 일상생활 수행 능력에 있어서 유의한 호전을 관찰하였기에 다음과 같이 보고하는 바이다.
  • 0) scoring manual에 따라 환산하였으며, 삶의 질 영역과 기능 영역 점수는 점수가 높을수록, 증상 영역은 점수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8. 환자의 증상 호전 및 이에 따른 삶의 질과 기능의 개선을 평가하기 위해 치료 전과 치료 후에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암제가 신경손상을 일으키는 기전은 무엇인가? CIPN은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는 암 환자의 19-85%에서 나타나는 신경 손상 병증으로 통증, 저림, 마비감 등의 증상이 양측 손과 발의 원위부에서 시작되어 진행함에 따라 “stocking-glove”양상으로 분포하는 형태를 보인다. 항암제가 신경손상을 일으키는 기전은 암세포에 대해 항암효과를 일으키는 기전과 유사하여 vincaalkaloids, taxane, platinum, thalidomide, bortezomib계열 항암제가 신경섬유 DNA 내에 화합물을 생성하여 삼차구조를 변형시킴으로써 탈수초화, 축삭 괴사 등의 신경섬유 변형, 신경세포 파괴 및 재생 억제를 야기하여 CIPN이 유발된다14. CIPN은 최대 40%의 환자에게 치료과정 종료 후 비가역적인 후유증을 유발 할 수 있어 삶의 질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표준 치료의 지연도 야기할 수 있어 적극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부작용 중 하나이다5.
국내의 암 발생자수는 1999년과 비교하여 2017년에 어떻게 변화했는가?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에 따라 암 발생률이 비례해서 증가하여, 암 발생자수는 1999년 인구 10만명 당 215.4명부터 2017년 453.4명으로 증가하였다1. 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암치료의 발전에 따라 암 생존율 역시 증가하고 있는데, 최근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발생한 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70.
항암제 유발 말초신경병증은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후 어떤 유병율을 보이는가? 그 중 항암제 유발 말초신경병증(chemotherapy 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CIPN)은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 중 하나이지만 현재로서는 효과적인 예방법과 정립된 치료법이 없다3. CIPN은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후 1개월 이내에 68.1%, 3개월 이내에 60.0%, 6개월 이내에 30.0%의 높은 유병율을 가진다4. 임상에서는 CIPN이 발생하면 증상 완화를 위해 마약성 진통제, 항경련제, 항우울제와 같은 약물요법을 사용하지만 증상 호전에 큰 효과를 보지 못하여 항암제의 용량을 줄이거나 중단시켜 증상을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tatistics Korea. Cancer Incidence and Death Status [accessed September 2020]. Available from: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70#quick_02; 

  2. Statistics Korea. 5 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s [accessed September 2020]. Available from: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41 

  3. Woo IS. Recent Updates on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Korean J Med 2015;88(1):35-7. 

  4. Seretny M, Currie GL, Sena ES, Ramnarine S, Grant R, MacLeod MR, et al. Incidence,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AIN 2014;155(12):2461-70. 

  5. Park SB, Goldstein D, Krishnan AV, Lin CSY, Friedlander ML, Cassidy J, et al. Chemotherapy -Induced Peripheral Neurotoxicity: A Critical Analysis. Cancer J Clin 2013;63(6):419-37. 

  6. Richardson PG, Briemberg H, Jagannath S, Wen PY, Barlogie B, Berenson J et al.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reversibility of peripheral neuropathy during treatment of advanced multiple myeloma with bortezomib. J Clin Oncol 2006;24(19):3113-20. 

  7. Kerckhove N, Collin A, Conde S, Chaleteix C, Peze D, Balayssac D. Long-Term Effects,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and Risk Factors of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ie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Frontiers in Pharmacology 2017;8(86):1-17. 

  8. Fayers PM, Aaronson NK, Bjordal K, Groenvold M, Curran D, Bottomley A. The EORTC QLQ-C30 Scoring Manual. 3rd Edit. Brussels: European Organis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2001, p. 1-12. 

  9. Smith EML, Barton DL, Qin R, Steen PD, Aaronson NK, Loprinzi CL, et al. Assessing patient-reported peripheral neuropath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LQ-CIPN20 Questionnaire. Quality of Life Research. 2013;22(10):2787-99. 

  10. Yun YH, Mendoza TR, Kang IO, You CH, Roh JW, Lee CG, et al.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 D. Anderson Symptom Inventory. J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06;31(4):345-52. 

  11. Lazaridou A, Elbaridi N, Edwards RR, Berde CB. Essentials of Pain Medicine. 4th Edition. Philadelphia: Elsevier; 2018, p. 39-46. 

  12. Yoon SY, Lim JH, Han CS. Rating Scales for Measurement-Based Clinical Practice of Depression. The Korean J of Psychopharmacology 2012;23(4):136-46. 

  13. Leppert W. Role of oxycodone and oxycodone/naloxone in cancer pain management. Pharmacological Report 2010;62(4):578-91. 

  14. Zajaczkowska R, Kocot-Kepska M, Leppert W, Wrzosek A, Mika J, Wordliczek J. Mechanisms of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International J of Molecular Sciences 2019; 20(6):1451-79. 

  15. Jo KH, Goh HY, Gwon JN, Kim YS, Park SW, Baek GM, et al. Textbook of Korean Internal medicine of Cardiology and Neurology. 3rd rev. Seoul: Koonja; 2013, p. 416-9, 422. 

  16. Kook YB, Kim SC, Park SD, Park SG, Seo BI, Seo YB, et al. Text Book of the Herbal Formula Study. 4th rev. Seoul: Yunglimsa; 2008, p. 268-9. 

  17. Litscher G, Wang L, Huber E, Nilsson G. Changed skin blood perfusion in the fingertip following acupuncture needle introduction as evaluated by laser Doppler perfusion imaging. Lasers in medical science 2002;17(1):19-25. 

  18. Ma S, Cornford ME, Vahabnezhad I, Wei S, Li X. Responses of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the gracile nucleus to sciatic nerve injury in young and aged rats. Brain research 2000;855(1):124-31. 

  19. Ogawa K, Ogawa M, Nishijima K, Tsuda M, Nishimura G. Efficacy of contact needle therapy for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3;2013:928129. 

  20. Stubblefield MD, Burstein HJ, Burton AW, Custodio CM, Deng GE, Ho M, et al. NCCN task force report: management of neuropathy in cancer. J of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2009;7(5):S1-S26. 

  21. Kim EH, Yoon JH, Lee JY, Yoon SW. The Therapeutic Eficacy of Acupuncture for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Int Korean Med 2020;41(3):350-61. 

  22. Lim YK, Park HJ, Lee HS, Lee HJ, Lim SBN, Chae YB, et al. Details of Meridians & Acupoints. 6st rev. Daejeon: Jonglyeonamu; 2012, p. 213-30, 1168, 1186. 

  23. Wang Y, Zhang Y, Wang W, Cao Y, Han JS. Effects of synchronous or asynchronous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with low versus high frequency on spinal opioid release and tail flick nociception. Exp Neurol 2005;192(1):156-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