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체 가연물 주위의 유동과 열적 두께의 변화가 열방출률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Flow around Solid Combustibles and Thermal Thickness on Heat Release Rate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4 no.3, 2020년, pp.28 - 34  

홍터기 (조선대학교 대학원 기계시스템.미래자동차공학과 대학원) ,  서동표 (한국폴리텍대학 순천캠퍼스 자동화시스템과) ,  박설현 (조선대학교 기계시스템.미래자동차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체 가연물 주위의 유동과 열적 두께의 변화가 열방출률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보기 위해 ISO 5660-1 콘 칼로리미터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체 가연물로는 연소반응 중 Char를 발생시키지 않는 Polymethyl methacrylate (PMMA)를 선정하였고 열침투깊이를 계산하여 PMMA의 열적 두께를 구분하였다. 콘 칼로리미터의 덕트 유동을 12, 24, 40 L/s로 설정하여 가연물 주위에 강제 유동을 발생시킨 뒤 PMMA의 연소 시 측정된 열방출률을 측정함으로써 열분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열적으로 얇은 가연물의 열방출률은 주위의 유동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열적으로 두꺼운 가연물은 유량의 변화에 따라 열방출률이 크게 영향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 ISO 5660-1 cone calorimeter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hanges in flow and thermal thickness around solid combustibles on heat release rate characteristic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is a solid combustible material that does not generate char during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열적 두께를 갖는 고체가연물을 연소시키고 주위에 인위적으로 유동을 생성시켜 가연물의 열분해특성을 고찰해보자 하였다. 고체 가연물로는 Poly methyl methacrylate (PMMA)를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체 가연물 주위의 유동과 열적 두께의 변화가 열분해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열방출특성을 통해 고찰하였다. 고체 가연물로는 PMMA를 선정하였고 ISO 5660-1규격을 만족하는 콘 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연소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P. J. DiNenno, D. Drysdale, C. L. Beyler, W. D. Walton, L. P. Richard, J. R. Hall and J. M. Watts, "SFPE Hand 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Third Edition)",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 (2002). 

  2. V. Babrauskas, "Ignition Handbook: Principles and Applications to Fire Safety Engineering, Fire Investigation, Risk Management and Forensic Science", Fire Science Publishers (2003). 

  3. A. P. Mouritz and A. G. Gibson, "Fire Reaction Properties of Composites, Fire Properties of Polymer Composite Materials", Springer, pp. 59-101 (2006). 

  4. E. Mikkola and I. S. Wichman, "On the Thermal Ignition of Combustible Materials", Fire and Materials, Vol. 14, pp. 87-96 (1989). 

  5. L. Shi and M. Y. L. Chew, "Fire Behaviors of Polymers under Autoignition Conditions in a Cone Calorimeter", Fire Safety Journal, Vol. 61, pp. 243-253 (2013). 

  6. R. E. Lyon and M. L. Janssens, "Polymer Flammability",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2005). 

  7. T. K Hong, M. H. Ryu, J. W. Lee and S. H. Park, "Effects of Char Produced from Burning Wood Combustible on Thermal Pyrolysi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3, No. 5, pp. 7-12 (2019). 

  8. J. Luche, T. Rogaume, F. Richard and E. Guillaume, "Characterization of Thermal Properties and Analysis of Combustion Behavior of PMMA in a Cone Calorimeter", Fire Safety Journal, Vol. 46, pp. 451-461 (2011). 

  9. K. T. Korver, "A Generalized Model for Wall Flame Heat Flux During Upward Flame Spread on Polymer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University of Maryland (2015). 

  10. C. Huggett, "Estimation of Rate of Heat Release by Means of Oxygen Consumption Measurements", Fire and Materials, Vol. 4, pp. 61-65 (1980). 

  11. P. Bbeever,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2nd ed: Self-Heating and Spontaneous Combustion",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1995). 

  12. M. T. Gratkowski, N. A. Deembsey and C. L. Beyler, "Radiant Smoldering Ignition of Plywood", Fire Safety Journal, Vol. 41, pp. 427-443 (2006). 

  13. A. Atreya, "Th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 Convection Heat Transfer",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