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재 가연물의 연소 시 생성되는 탄화가 열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ar Produced from Burning Wood Combustibles on Thermal Pyrolysi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3 no.5, 2019년, pp.7 - 12  

홍터기 (조선대학교 대학원 기계시스템.미래자동차공학과) ,  류명호 (조선대학교 대학원 기계시스템.미래자동차공학과) ,  이종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술연구본부 미래융합연구부) ,  박설현 (조선대학교 기계시스템.미래자동차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재 연료의 연소 시 생성되는 탄화가 열분해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기 위해서 ISO 5660-1 콘칼로리미터 실험을 수행하였고 Fire dynamics simulator (FDS) 전산해석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목재 연료로는 건축자재, 가구재 등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Douglas-fir를 사용하였다. Douglas-fir 연소 시 측정된 열방출률FDS 전산해석을 통해 예측한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지만 탄화 층의 표면반응을 고려하지 않는 FDS 전산해석 모델은 훈소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열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FDS 전산해석을 통해 탄화 층은 가연물에 열장벽을 형성하여 내부로의 열전달을 방해하고 열적 두께를 두껍게 하여 열분해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char layer formed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on the pyrolysis of wood combustibles, ISO 5660-1 cone calorimetry experiments and Fire dynamics simulator (FDS) simulations were performed, and the results from these two methods were compared. The wood combustib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목재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탄화 층의 생성률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이 부재하고 이로 인해 탄화 층 비율의 증감이 열방출이나 열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재가연물의 탄화 비율이 연소과정 중 열분해와 열방출률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목재 가연물로는 건축자재, 가구재 등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목재인 Douglas-fir를 선정하였고 ISO-5660 콘칼로리미터 실험결과와 화재 시뮬레이션 코드인 Fire dynamics simulator (FDS) 전산해석을 통해 목재 가연물의 탄화 비율에 따른 열방출율과 열분해율을 비교·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목재 가연물의 열분해 과정은 식(2)를 통해 예측하였고 Douglas-fir의 열분해를 통해 발생된 가연증기는 목재의 열분해 시 주로 발생하는 대표적인 가연성 증기인 메탄 (Methane, CH4)으로 모두 전환된다고 가정하였다(8). 가연성 증기의 연소반응은 식(3)에 제시된 유한반응모델(Finite rate reaction model)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orea Forest Service (KFS), "Comprehensive Measures Forest Fire Prevention in South Korea" (2019). 

  2. J. D. Philip, D. Dougal, L. B. Craig, W. W. Douglas, L. P. Richard, Jr. J. R. Hall and Jr. H. M. Watts,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it.)" (2005). 

  3. H. C. Kung, "A Mathematical Model of Wood Pyrolysis", Combustion and Flame, Vol. 18, pp. 185-195 (1972). 

  4. K. M. Bryden, K. W. Ragland and C. J. Rutland, "Modeling thermally thick pyrolysis of wood", Biomass and Bioenergy, Vol. 22, pp. 41-53 (2002). 

  5. C. D. Blasi, "Modeling and Simulation of Combustion Processes of Charring and Non-Charring Solid Fuels", Progress in Energy and Combustion Science, Vol. 19, pp. 71-104 (1993). 

  6. ASTM D4442-92, Standard Test Methods for Direct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of Wood and Wood-Base Materials (2003). 

  7. G. Wypych, "3rd Edition PVC Degradation and Stabilization", pp. 241-285 (2015). 

  8. C. Anand, B. Shotorban, S. Mahalingam, S. McAllister and R. Weise, "Physics-Based Modeling of Live Wildland FuelIgnition Experiments in the FIST Apparatus", Combus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 189, No. 9, pp. 1551-1570 (2017). 

  9. W. Mell, A. Maranghides, R. McDermott and S. Manzello, "Numerical Simulation and Experiments of Burning Douglas Fir Trees", Combustion and Flame, Vol. 156, pp. 2023-2041 (2009). 

  10. G. R. Boarnand, "Polymethylmethacrylate Combustion in a Narrow Channel Apparatus Simulating a Microgravity Environment", University of San Diego State, Master's Thesis (2015). 

  11. V. Babrauskas, "Ignition Handbook: Principles and Applications to Fire Safety Engineering, Fire Investigation, Risk Management and Forensic Science", Fire Science Publishers (2003). 

  12. B. Schartel and T. R. Hull, "Development of Fire-Retarded Materials-Interpretation of Cone Calorimeter Data", Fire and Materials, Vol. 31, pp. 327-354 (2007). 

  13. J. Hietanienmi, S Hostikkam and J Vaari, "FDS Simulation of Fire Spread-Comparison of Model Results with Experimental Data", VTT Working Papers 4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