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재예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Fire Prevention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4 no.3, 2020년, pp.100 - 109  

채진 (목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화재예방과 관련된 안전문화 조성, 화재예방 교육, 화재예방 설비, 화재안전 지식, 화재안전 실천을 독립변수로 두고, 종속변수인 화재예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다중회귀분석에서 얻어진 결과는 화재예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화재예방 교육은 화재예방에 통계적으로 가장 강하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재예방 설비는 화재예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재안전 실천은 화재예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e factors affecting fire preven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by establishing a safety culture related to fire prevention, fire prevention education, fire prevention equipment, fire safety knowledge, and fire safety practices as independent variable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화재예방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수행하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의 분석틀을 구성한 후 가설에 대한 검정과 화재예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 하여 화재예방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화재예방과 관련된 안전문화 조성, 화재예방 교육, 화재예방 설비, 화재안전 지식, 화재안전 실천을 독립변수로 두고 종속변수인 화재예방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화재예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즉 다중회귀분석에서 얻어진 이러한 결과들은 화재예방과 관련하여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시사점을 제시한다.
  • 본 연구는 화재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화재예방 영향요인 측정변수는 안전문화 조성, 화재예방교육, 화재예방 설비, 화재안전 지식, 화재안전 실천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가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화재예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화재예방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200명의 주민을 설문대상자로 선정하였다.
  • 그리고 소방안전교육이 제도화되고 소방시설의 사용방법을 반복적으로 숙달한다면 화재예방을 위한 안전문화가 조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을 보완하고, 화재예방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과 화재 예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 분석을 통해 밝혀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화재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화재예방 영향요인 측정변수는 안전문화 조성, 화재예방교육, 화재예방 설비, 화재안전 지식, 화재안전 실천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가정하고자 한다.
  • H4. 화재안전 지식이 많을수록 화재예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 I. Na, "The Japan Fire Prevention and Response Policies to Mixed-use Buildings Complex and Its Policy Implications", Contingencies and Crisis Management Review, Vol. 2, No. 2, pp. 29-45 (2018). 

  2. D. W. Joo, "A Study on Prevention and Improved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Electrical Fire Based on Statistics and Case Analysi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The University of Seoul (2017). 

  3. S. D. Woo, "A Study on Fire Risk assessment and Prevention in Refrigerator Recycling Proces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2009). 

  4. Y. T. Oh, "Problem Analysis and Response of Securing Fire Protection of Apartment Building Project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2015). 

  5. I. G. Jung,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re Safety 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2014). 

  6. Y. J. Kang, "A Study on Cause Analysis and Counter measure for Fire Accident during Construction", Doctoral Thesis,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Myongji University (2010). 

  7. Y. J. Lee, "A Study on Preventing Fire Accident at Construction Site",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2009). 

  8. S. H. Yoon, "Fire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Preventing Fire Accident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2, pp. 112-122 (2012). 

  9. Y. J. Lee and S. Y. Oh, "A Study on the Fire Safety Awareness Level of Young Children's Parent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4, No. 6, pp. 421-444 (2009). 

  10. J. C. Lee, "An Analysis on Safety Accidents Occurring during School Life",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Security and Safety, Vol. 8, No. 2, pp. 225-237 (2012). 

  11. S. J. Kwon and S. J. Lee, "A Case Study on Safety Accidents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 & Countermeasure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Security and Safety, Vol. 7, No. 2, pp. 7-24 (2011). 

  12. G. G. Yang, S. I. Ryu, Y. S. Song, Y. S. Song, J. H. Lee and J. M. Park, "Introduction to Fire Administration", Dymbook (2019). 

  13. E. B. Tylor,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Art and Custom", Londres: Murray (1871). 

  14. A. Ciavarelli Jr. and R. Figlock, "Organizational Factors in Aviation Accidents. Proceedings of the Nin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viation Psychology", Columbus, OH : Department of Aviation, pp. 1033-1035 (1996). 

  15. J. Chae, "Study on the Safety Culture in Korea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Crisisonomy, Vol. 13, No. 8, pp. 1-16 (2017). 

  16. Y. A. Ryu and D Y. Kim, "Research on Ways to Activate the Safety Culture Movemen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2014). 

  17. K. Labich, "Big Change at Big Brown", Fortune, January, Vol. 18, pp. 56-64 (1998). 

  18. S. H. Hyun, J. M. Cha, Y. S. Song and K. H. Park, "A Study on the Measures for Activating the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Fire Fighting Science Classof Gyeonggi-do Goyang Fire St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3, No. 2, pp. 67-77 (2009). 

  19. Y. B. Jin,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Fire Safety Management of Multi-use Establishment",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Safety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Industry, Pukyong National Uniuersity (2013). 

  20. C. S. Choi, "Fire Electrical Equipment", Donghwapub (2018). 

  21. J. S. Yim, "A Study on Preschool Children's Mothers' Knowledge of Safety and Their Practice of the Knowledge", Master's Thesis, Major in Child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2). 

  22. H. Y. Chun, "A Study of Fire Prevention Equipmentin Home, Fire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 of Parents", Master's Thesis,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kmyung Wemen's University (2005). 

  23. E. S. Sim, "Safety-awareness, Safety-practice and Accident Occurrence among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18, No. 2, pp. 258-275 (2004). 

  24. I. Ajze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Vol. 50, No. 2, pp. 179-211 (2012). 

  25. N. P. Park, "A Study of Primary School Students' Procedure during Their School Life", J. of Korean Soc. of School Health, Vol. 16, No. 2, pp. 85-95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