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재난현장 소방공무원 회복실 설치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과 회복탄력을 위한 회복실 설치 모델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회복실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 및 빈도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회복실을 운영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각 소방본부에 회복실 운영을 위한 조직이 구축되어야 하고, 회복실 운영을 위한 인적자원을 확보하여야 한다. 그리고 회복실 운영책임자의 임무 내용, 회복실 운영자의 임무 내용, 회복실 운영절차 등 세부적인 운영기준이 마련되어야 하고, 회복과 회복실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재난현장 소방공무원 회복실 설치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과 회복탄력을 위한 회복실 설치 모델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회복실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 및 빈도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회복실을 운영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각 소방본부에 회복실 운영을 위한 조직이 구축되어야 하고, 회복실 운영을 위한 인적자원을 확보하여야 한다. 그리고 회복실 운영책임자의 임무 내용, 회복실 운영자의 임무 내용, 회복실 운영절차 등 세부적인 운영기준이 마련되어야 하고, 회복과 회복실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a model for the establishment of a rehabilitation room for the safety and rehabilitation of firefighters by proposing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 firefighter rehabilitation room at disaster sit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questionnaire, frequency ana...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a model for the establishment of a rehabilitation room for the safety and rehabilitation of firefighters by proposing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 firefighter rehabilitation room at disaster sit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questionnaire, frequency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rooms for firefight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policy suggestions for operating an effective rehabilitation room are as follows. An organiz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rehabilitation room should be established at each firefighting headquarters, and human resources must be secu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ehabilitation room. In addition, detailed operating standards such as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rehabilitation room's operation manager and its operator, as well as its operation procedures should be prepared. Additionally, training to improve the rehabilitation room and its understanding is needed.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a model for the establishment of a rehabilitation room for the safety and rehabilitation of firefighters by proposing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 firefighter rehabilitation room at disaster sit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questionnaire, frequency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rooms for firefight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policy suggestions for operating an effective rehabilitation room are as follows. An organiz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rehabilitation room should be established at each firefighting headquarters, and human resources must be secured for the operation of the rehabilitation room. In addition, detailed operating standards such as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rehabilitation room's operation manager and its operator, as well as its operation procedures should be prepared. Additionally, training to improve the rehabilitation room and its understanding is need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현장 상황을 바탕으로 소방공무원 회복실 설치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과 회복탄력을 위한 회복실 설치 계획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소방공무원 회복실 설치를 통하여 소방공무원의 심신건강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현장 상황을 바탕으로 소방공무원 회복실 설치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과 회복탄력을 위한 회복실 설치 계획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소방공무원 회복실 설치를 통하여 소방공무원의 심신건강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회복 시스템은 회복과정의 효과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개별 소방관들에게 그들의 한계를 알고 회복 중에 이를 보고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일산화탄소 모니터링도 회복 중 발생한 주요 징후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회복실 설치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과 회복탄력성을 위한 회복실 운영의 모델을 제시하는 데 있다. 따라서 NFPA 1584는 회복실 운영에 관한 다양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어 우리나라의 회복실 운영 모델 도출을 위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반영하여 각 소방 본부에 회복실 운영을 위한 조직이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의 사례를 적용하여 현장대응단 소속의 회복지원팀을 신설하여 회복실을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
회복 과정에 대한 표준운영 절차를 제시하고, 열 스트레스와 한랭 스트레스의 분류, 징후, 증상 및 치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부록 자료가 추가되었다. 소방관에 중점을 두어 응급수술과 훈련 전에 적절한 영양 섭취, 수분 공급 및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한 설문지는 재난현장 소방공무원의 회복실 운영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회복실 인식에 대한 2문항, 회복실 운영기준 4문항, 회복실 운영요원 4문항, 회복 차량 현장도착 시간 4문항, 회복차량 5문항, 쿨링물품 6문항, 회복차량 비품 5문항, 회복실 전반에 관한 사항 3문항 등 33문항과 인구사회학적 배경 7문항 등 총 4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Table 1은 설문에 응답한 소방공무원들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분포를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에 적합한 응답을 한 소방공무원들은 총 288명이었다. 분석결과를 해석하기에 앞서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을 먼저 검토하고 분석결과를 해석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설문지의 응답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영역은 회복실 인식, 회복실 운영기준, 회복실 운영요원, 회복차량 현장도착 시간, 회복차량 선호 형태, 쿨링물품, 회복차량 비품, 회복실 운영 효과 등을 선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수들이 재난현장 회복실 운영 모델을 도출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대상 데이터
에서 실시한 연구에서는 소방관들이 모의 구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목표였다. 이 연구에서 10명의 소방관이 두 개의 모의 구조 작업에 참여했는데, 여기에는 177 lb 짜리 인체모형을 평평한 바닥을 따라 끌고 두 개의 계단을 내려가는 것이 포함되었다. 첫 번째 모의 구조 전에 소방관들은 이전의 12 h 이내에 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재난현장 소방공무원의 회복실 운영을 위한 모델개발 기초조사 연구대상을 임의로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서울권, 경기권, 충청권의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300명을 대상으로 각 100명씩 할당표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권과 경기권은 회복실에 대한 이용 경험자이며, 충청권은 회복실에 대한 이용 경험이 없는 소방공무원이다.
조사기간은 2019년 10월 10일부터 10월 20일까지 10일간 실시하였으며, 배포된 총 300부의 설문지 중 293부의 설문지가 회수됨으로써 회수율은 97.6%였다. 회수된 설문지중 불성실한 응답과 응답항목 누락 등으로 활용이 부적합한 설문지 5부를 제외한 288부를 최종적인 유효표본으로 확정하여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6%였다. 회수된 설문지중 불성실한 응답과 응답항목 누락 등으로 활용이 부적합한 설문지 5부를 제외한 288부를 최종적인 유효표본으로 확정하여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Table 1은 설문에 응답한 소방공무원들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분포를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에 적합한 응답을 한 소방공무원들은 총 288명이었다. 분석결과를 해석하기에 앞서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을 먼저 검토하고 분석결과를 해석하고자 한다.
데이터처리
첫째, 수집된 자료를 분석할 때 중요한 것은 자료의 특성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수집된 자료의 전체적인 응답경향과 분포 등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ies analysis)과 평균값 분석을 통해 전체 항목의 빈도, 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산출한다.
둘째, 재난현장 소방공무원의 회복실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주요 변수들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는데, 주요 변수들의 산술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고, 평균값의 크고 낮은 정도로 재난관리 효과성에 대한 지역별 인식정도를 측정한다.
성능/효과
첫 번째 시나리오에서 소방관의 심박수는 분당 146회에서 178회까지 다양했다.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 소방관의 심박수는 분당 165회에서 195회, 온도는 99.8 ℉에서 101.3 ℉까지 다양했다.
는 높은 사망위험은 화재진압, 경보대응, 체력훈련과 관련이 있다고 언급하면서 동의한다. 화재진압은 소방관들의 근무 시간의 약 1∼5%에 불과하지만 관상동맥 및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의 32% 이상을 차지한다는 것을 제시했다. 비상근무 중 관상동맥 및 심장질환으로 사망할 확률과 비교했을 때, 화재진압 시 발생 확률은 12.
화재진압은 소방관들의 근무 시간의 약 1∼5%에 불과하지만 관상동맥 및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의 32% 이상을 차지한다는 것을 제시했다. 비상근무 중 관상동맥 및 심장질환으로 사망할 확률과 비교했을 때, 화재진압 시 발생 확률은 12.1배에서 136배 높았다.
첫째, 회복실 인식(3.01)에 대해서는 중립에 가깝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실의 재난현장 도움(3.
셋째, 회복실 운영 요원에 대해 회복실 운영을 위한 전문요원 확보(4.05), 회복실 운영요원의 정기적인 교육의 필요성(4.01), 회복실 운영요원의 전문성 확보(4.15)에 대해 회복실 운영요원의 전문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회복실 재난현장 도착시간에 대해 30 min 이내 도착(3.26), 1 h 이내 도착(3.36), 2 h 이내 도착(2.91), 3 h 이내 도착(2.81)에 대해 적어도 1 h 이내에 도착해야 한다고 인식한다.
다섯째, 이동용 회복차량의 형태에 대해 버스 형태 선호(3.69), 트럭 형태 선호(2.40), 트레일러 형태 선호(2.94), 이동식 컨테이너 형태 선호(3.30)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어 버스형태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회복차량에 부속된 야외 회복실(간이형태)(3.
여섯째, 열 스트레스에 대한 대책으로 쿨링물품에 대해 냉동(장) 생수(4.48), 얼린 수건(4.16), 아이스 팩(4,23), 아이스 박스(4.35), 아이스 조끼(4.00), 쿨링 선풍기(4.32)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어 회복차량에 쿨링물품을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일곱째, 회복차량 비품에 대해 식염 포도당(4.15), 이산화 탄소 제거설비(3.94), 제빙기(3.95), 이온음료(4.49), 에너지 음료(4.36)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F값이 2.767이고, 유의확률이 0.028로 유의수준 5%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내근(행정)이 3.
028로 유의수준 5%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내근(행정)이 3.20으로 가장 높은 평균을 나타내고 있고, 그 다음으로 소방(화재진압)이 3.11로 나타났으며, 구급대원은 평균이 2.46으로 회복실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내근(행정)과 소방(화재진압)에서 회복실 인식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F값이 2.761이고, 유의확률이 0.028로 유의수준 5%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구조대원이 3.
028로 유의수준 5%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구조대원이 3.50으로 가장 높은 평균을 나타내고 있고, 그 다음으로 구급대원이 3.46으로 나타났으며, 내근(행정)은 평균이 2.86으로 이동식 컨테이너 형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구조대원과 구급대원이 회복실 차량 중 이동식 컨테이너 형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6으로 이동식 컨테이너 형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구조대원과 구급대원이 회복실 차량 중 이동식 컨테이너 형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F값이 2.810이고, 유의확률이 0.026으로 유의수준 5%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내근(행정)이 4.
026으로 유의수준 5%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내근(행정)이 4.34로 가장 높은 평균을 나타내고 있고, 그 다음으로 소방차 운전원이 4.23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대원은 평균이 3.74로 얼린 수건 비치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지만 다른 직무보다 평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내근(행정)과 소방차 운전원이 얼린 수건 비치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F값이 3.082이고, 유의확률이 0.017으로 유의수준 5%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구급대원이 4.
017으로 유의수준 5%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구급대원이 4.20으로 가장 높은 평균을 나타내고 있고, 그 다음으로 소방(화재진압)과 내근(행정)이 4.06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대원은 평균이 3.47로 아이스 조끼 비치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지만 다른 직무보다 평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구급대원과 소방(화재진압), 내근(행정)이 아이스 조끼 비치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F값이 9.721이고, 유의확률이 0.000으로 유의수준 1%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내근(행정)이 4.
000으로 유의수준 1%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내근(행정)이 4.45으로 가장 높은 평균을 나타내고 있고, 그 다음으로 소방(화재진압)과 소방차 운전원, 구급대원이 4.41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대원은 평균이 3.59로 쿨링 선풍기 비치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지만 다른 직무보다 평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내근(행정), 소방(화재진압), 소방차 운전원, 구급대원이 쿨링 선풍기 비치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F값이 5.313이고, 유의확률이 0.000으로 유의수준 1%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내근(행정)이 4.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F값이 5.187이고, 유의확률이 0.000으로 유의수준 1%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구급대원이 4.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F값이 5.796이고, 유의확률이 0.000으로 유의수준 1%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구급대원이 4.
000으로 유의수준 1%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내근(행정)이 4.41으로 가장 높은 평균을 나타내고 있고, 그 다음으로 구급대원이 4.39로 나타났으며, 구조대원은 평균이 3.76으로 식염 포도당 비치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지만 다른 직무보다 평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내근(행정)과 구급대원이 식염 포도당 비치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000으로 유의수준 1%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구급대원이 4.22로 가장 높은 평균을 나타내고 있고, 그 다음으로 내근(행정)이 4.13으로 나타났으며, 구조대원은 평균이 3.29로 이산화탄소 제거설비 비치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지만 다른 직무보다 평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내근(행정)과 구급대원이 이산화탄소 제거설비 비치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000으로 유의수준 1%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을 살펴보면 구급대원이 4.30으로 가장 높은 평균을 나타내고 있고, 그 다음으로 내근(행정)이 4.11로 나타났으며, 구조대원은 평균이 3.26로 제빙기 비치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지만 다른 직무보다 평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내근(행정)과 구급대원이 제빙기 비치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회복실 운영을 위한 조직이 구축되어야 한다. 회복실 운영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설문조사의 결과 평균이 4.23으로 나타났으며, 소방관의 지친 심신을 회복시켜주고, 탄력성을 확보한다는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 평균이 4.31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반영하여 각 소방 본부에 회복실 운영을 위한 조직이 구축되어야 한다.
여섯째, 회복차량과 이동식 회복실에서 필요한 쿨링물품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아이스 팩의 평균이 4.23, 아이스조끼의 평균이 4.00, 쿨링 선풍기의 평균이 4.32로 나타나 쿨링 물품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쿨링물품을 재난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장비와 물품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후속연구
다섯째, 회복실 운영을 위한 장비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미국은 대체로 트럭 형태나 이동식 트레일러 형태를 회복차량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쿨링물품을 재난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장비와 물품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재난현장 소방공무원을 위한 회복실 차량과 장비, 비치할 물품에 대해서 그 목적에 알맞은 한국형 차량과 국내규격, 재원을 고려하여 향후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11)
Y. J. Ju, "A Study o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The Risks at the Scene of the Fire and Rescue: Based on Policy Solutions Improving Safety for the Fire Fighters",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Administration Kyonggi University (2013).
FEMA, "Fire-Related Firefighter Injuries Reported to the National Fire Incident Reporting System (2015-2017)", FEMA (2019).
U.S. Fire Administration, "Emergency Incident Rehabilitation", NFPA, pp. 15-19 (2008).
NFPA 1584, "Recommended Practice on the Rehabilitation of Members Operating at Incident Scene Operations and Training Exercises", NFPA (2013).
Office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Physiological Assessment of Firefighting, Search and Rescue in the Built Environment", Fire Research Technical Report 2/2005, London, pp. 18-50 (2005).
D. Elgin and M. Tipton, "Firefighter Training: Determination of the Physical Capabilities of Instructors as the End of Hot Fire Training Exercises, Office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Fire Research Technical Report 5/2003, London (2003).
H. N. Binkley, J. Beckett, D. J. Casa, D. M. Kleiner and P. E. Plummer, "National Athletic Trainers' Association Position Statement: Exertional heat Illness",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Vol. 37, No. 3, pp. 329-343 (2002).
L. Rosenstock and J. Olsen, "Firefighting and Death from Cardiovascular Cause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56, No. 12, pp. 1261-1263 (2007).
S. N. Kales, E. S. Soteriades, C. A. Christophi and D. C. Christiani, "Emergency Duties and Deaths from Heart Disease Among Firefighters in the United State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56 No. 12, pp. 1207-1215 (2007).
M. N. Sawka, L. M. Burke, R. Eichner, R. J. Maughan, S. J. Montain and N. S. Stachenfeld,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Exercise and Fluid Replacement",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39, No. 2, pp. 377-390 (2007).
L. B. Baker, K. A. Dougherty, M. Chow and W. L. Kenny, "Progressive Dehydration Causes a Progressive Decline in Basketball Skill Performance",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Vol. 29, No. 7, pp. 1114-1123 (2007).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