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난 지연시간의 적용과 방화문 개방 정도에 따른 피난 안전성 확보에 관한 고찰 : 주거형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afety of Evacuation according to Evacuation Delay Time and Fire Door Openness: Based on Residence Type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4 no.2, 2020년, pp.156 - 165  

서동길 (에이원소방) ,  김미선 (에이원소방) ,  구선환 (에이원소방) ,  송영주 (동신대학교 소방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주거형태를 가지는 건축물의 성능위주설계 시 수행되는 피난 지연시간(인지 시간 + 개시 시간)의 적용과 세대 내 방화문의 개방 정도가 피난 안전성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현실적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논문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2018년 6월까지 시행되었던 광주광역시의 성능위주설계 대상 건축물 중 주거형태를 가지는 건축물(공동주택, 도시형생활주택 등)의 피난 안전성 평가에 대해 선행 조사를 하였다. 그런 다음 선행 조사된 건축물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2가지 대표적인 Type에 대해 피난 지연시간은 W1, W2를 적용하고 방화문의 개방 정도는 전체개방, 1/4 개방, 누설 틈새를 각각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한 다음 피난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피난 안전성 평가의 수행결과 방화문 개방 정도가 전체개방 및 1/4 개방 상태에서 사생활 침해 등을 고려하여 피난 지연시간 W2를 적용한 경우에는 피난 안전성을 모두 확보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누설 틈새를 적용한 경우에만 피난 지연시간 W2를 적용해도 피난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거형태를 가지는 건축물이 성능위주설계 대상이 될 때 피난 안전성 평가 수행 시 CCTV 설치 등으로 사생활 침해 등의 우려가 있는 국내 현실을 반영하여 피난 지연시간은 W1보다는 W2의 적용을 검토하고 방화문의 차연성능 확보 및 성능위주 설계의 고도화를 위해 방화문의 개방 정도에 누설 틈새를 적용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해 줄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성능위주 설계 시 좀 더 현실화된 자료로 피난 안전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한 단계 더 발전된 성능위주설계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he application of evacuation delay time (Cognition time + initiation time) and examine the degree of opening of fire doors in households for evaluating evacuation safety and suggest a realistic alternative. In order to proceed with this study, first of all, the preliminary investig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에서 수행되었던 성능위주설계 대상 건축물 중 주거 형태(공동주택, 오피스텔, 생활형 숙박시설)를 가지는 건축물에 대해 선행 조사하여 방화문의 개방 정도와 피난 지연 시간을 분석하였으며, 이것을 바탕으로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다음 피난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여 피난 안전성 확보 여부를 확인ㆍ판단하고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결과에서 확인하였듯이 주거형태를 가지는 건축물의 피난 안전성 평가 시 보수적인 상황을 가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방화문 개방 시 전체개방과 1/4 개방을 사용하고 있으나 화재를 한정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건축법의 방화구획 목적과 상반되는 것으로 방화문 개방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 즉, 주거형태를 가지는 건축물에 피난 안전성 평가 수행 시 방화문의 차연성능 확보와 성능위주 설계의 고도화를 위해 방화문의 개방 정도에 누설 틈새를 적용하는 방안과 함께 피난 지연시간의 적용 중 W1을 만족시키기 위해 세대 내에 CCTV를 설치하는 것은 재실자의 사생활 보호를 침해하는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기준이 되므로 피난 지연시간 W2의 적용을 함께 검토해 줄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좀 더 정확한 피난 안정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고 Passive적인 시스템의 보강으로 안전성의 증대 또한 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가설 설정

  • 화재 시뮬레이션 모델링 시 화재는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의 2018년 화재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발화지점이 가장 많이 발생한 주방을 선택하여 두 가지 Type 모두 다 오른쪽 세대 싱크대에서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화원의 크기는 1 m × 1 m로 가정하였다. 열방출율은 2,363 ㎾로 ‘지하공간 환경개선 및 방재기술 연구사업’ 제1세부과제의 싱크대 화재 특성 평가 시험 결과를 인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Y. S. Lee, "A Study on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Method of Fire Door in Apartment Build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7, No. 6, pp. 261-268 (2017). 

  2. J. I. Ha, "A Study on the Improvement in the System for Securing Safety of Fire Door and Fire Compartment", Ph.D. Dissertaion, Kyonggi University (2019). 

  3. S. E. Hwang, "Alleviating Effects of CPTED Factors Applied in Multi-Family Housing in Korea on the Fear of Crime", Ph.D. Disserta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9). 

  4. J. K. Han, "A Study on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Crime Prevention CCTV", Journal of Public Society, Vol. 8, No. 4, pp. 109-137 (2018). 

  5. Y. J. Song, I. C. Kong and H. J. Kim, "A Study on Improvement of Evacuation Safety Evaluation for Performance Based Design in Underground Parking Lo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3, No. 2, pp. 85-97 (2019). 

  6. 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 "SFPE Handbook of Gire Protection Rngineering", 3th Edition,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Quincy, MA, pp. 3-347 (2010). 

  7. O. S. Kweon, Y. H. Yoo, H. Y. Kim and Y. S. Lim, "The Study on Fire Characteristics of Furniture", Proceedings of 2009 Spring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379-384 (2009). 

  8. National Fire Agency of Republic of Korea, "Performance Based Design Methods and Standards on Fire-Fighting System Installation Act", Annex 1 3-c (2016). 

  9. Y. H. Yoo, H. J. Shin, H. Y. Kim, B. J. Lee, C. S. Ahn, E. K. Hwang, D. H. Kim, O. S. Kweon et al., "Development of Fire Spread Prevention and Escape Safety Design Technique According to Standard Fire Model", KICT 2009-176,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09). 

  10. The Building Center of Japan, "Building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Guidelines", p. 142 (1997). 

  11. National Fire Agency of Republic of Korea, "Performance Based Design Methods and Standards on Fire-Fighting System Installation Act", Annex 1 3-b (2016). 

  12. Seoul Metropolitan City, "Performance Based Design Guidelines fo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p. 9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