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업모의 일의 의미와 자녀수반자기가치가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 상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the Meaning of Work and Child-Based Self-Worth on Career Commitment in Working Mother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the Work-Family Interface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4 no.4, 2020년, pp.39 - 57  

박민정 (울산여성가족개발원 정책연구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olve the factors that affect happiness levels and l Considering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careers of working mothers,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meaning of work (MOW) and child-based self-worth (CBSW) on the wor...

주제어

참고문헌 (47)

  1.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https://opendic.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371081&viewTypeconfirm 

  2. 김근호.장지현.김성혜.조아로.장원섭(2019). "일의 의미" 실증연구 동향: 2009~2018년 국내.외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1(1), 79-101. 

  3. 김정희.윤동열.공영광(2020). 일.가정 친화 경력지원분위기가 공공기관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일-가정 균형 만족의 매개 효과. 대한경영학회지, 33(1), 1-24.1. 

  4. 박민정(2019a). 일.가정생활 우선도와 일.가정양립제도에 대한 인식차이가 근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성별 차이를 보이는 산업군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3), 43-74. 

  5. 박민정(2019b). 일.가정양립이 취업모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돌봄서비스만족, 가사분담, 양성평등의식, 성역할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0(9), 66-81. 

  6. 박지현.탁진국(2008). 여성종업원의 조직 내 성차별 지각이 경력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1(2), 245-263. 

  7. 설경옥.경예나.박지은(2015).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이 양육행동과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1), 109-131. 

  8. 소효종(2019).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에 따른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족 갈등 수준의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안유선.유성경(2019). 어머니의 자기분화, 심리적 통제 양육 관계에서 자녀수반자기가치와 불안의 이중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24(2), 125-147. 

  10. 유성경.홍세희.박지아.김수정(2012). 한국 여성의 일-가족 갈등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1), 1-29. 

  11. 이인영.정영숙(2020). 중년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과 심리적 통제와의 관계에서 자녀 성공에 대한 당위적 기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25(2), 113-128. 

  12. 이화용.홍아정(2012). 기혼 근로자의 배우자 및 상사의 지원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갈등의 매개효과. 직업교육연구, 31(2), 45-66. 

  13. 임중경.고선강(2010). 직장 내 가족친화제도가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4(1), 97-118. 

  14. 전민정.윤은정(2018). 일-가정 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력몰입의 매개효과: MICE 산업을 중심으로. MICE관광연구, 18(3), 37-58. 

  15. 조설애.정영숙.이재식. 주미정(2018). 중년 성인의 일의 의미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10), 871-882. 

  16. 정형석(2000). 일의 의미 척도의 구성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심리과학연구, 1(1), 81-117. 

  17. 채신석(2016). 일-가정에서의 다중역할갈등과 촉진이 경력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내 특1급 호텔 기혼여성종사원을 중심으로 -. 외식경영연구, 19(6), 163-185.. 

  18. 최환규.이정미(2017). 한국판 일의 의미 척도(K-WAMI)의 타당화 연구. 韓國心理學會誌 : 社會 및 性格, 31(4), 1-25. 

  19. 통계청.여성가족부 보도자료(2020.9.2),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84858. 

  20. Bielby, D.D., & Bielby, W.T.(1989). She works hard for the money: Household responsibilities and the allocation of work effec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3, 1031-1059. 

  21. Blau, G.J.(1985).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8, 277-288. 

  22. Blau, G.J.(2003). Testing for a four-dimensional structure of occup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6, 469-488. 

  23. Carlson, D.S., Kacmar, K.M., Wayne, J.H. & J.G. Grzywacz(2006). Measuring the positive side of the work-family interfac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work-family enrichment scal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8, 131-164. 

  24. Carson, K.D. & Bedeian, A.G.(1994). Career commitment: Construction of a measure and examination of its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4(3), 237-262. 

  25. Cicek, I., Karaboga, T. & Sehitoglu, Y.(2016). A new antecedent of career commitment: work to family positive enhancement.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29, 417-426. 

  26. Crocker, J., & Wolfe, C.T.(2001). Contingencies of self-worth. Psychological Review, 108(3), 593-623. 

  27. Darden, W.R. Hampton, R., & Howell, R.D.(1989). Career versu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retail sales-peoples' commitment. Journal of Retailing, 80-106. 

  28. Eaton, M. M. & Pomerantz, E.M.(2004). Parental Contingent Self-Worth Scal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Ilinois. 

  29. Fornell C. & D.F. Larcker(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 (1), 39-50. 

  30. Greenhaus, J., & Allen, T.(2011). Work-family balance: A review and extension of the literature. In J.C. Quick & L.E. Tetrick (Eds.), Hand 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2nd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1. Grzywacz J. G., Almeida D. M., & Mcdonald D. A.(2002). Work-family spillover and daily reports of work and family stress in the adult labor force. Family Relation, 51(1), 28-36. 

  32. Hair, J. F., Jr., W.C. Black, B.J. Babin, R.E. Anderson, & R.L. Tatham(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33. Hall, D.T.(1971). A theoretical model of career subidentity development in organizational setting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6(1), 50-76. 

  34. Hobfoll, S.E.(1989). Conservation of resources: A new attempt at conceptualizing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44, 513-524. 

  35. Katz Ian M., Cort W. Rudolph, & Hannes Zacher(2019). Age and career commitment: Meta-analytic tests of competing linear versus curvilinear relationship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12, 396-416. 

  36. Kooij, D.T., & Zacher, H.(2016). Why and when do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attitude decrease with aging? The role of perceived remaining time and work centrality. Journal of Social Issues, 72(1), 146-168. 

  37. Ngah, N., Ahmad, A., Hamid, T.A. & Ismail, A.(2010). The mediating role of work-family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Social Sciences, 4(11), 187-197. 

  38. Okurame, D.E.(2012). Linking work-family conflict to career commit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gender and mentoring among nigerian civil servants.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9(5), 423-442. 

  39. Poulose, S. & M. Dahl(2020). Role of perceived work-life balance between work overload and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35(3), 169-183. 

  40. Pradana, A. & Salehudin, I.(2015). Work overload and turnover intention of junior auditors in greater Jakarta, Indonesia. The South East Asian Journal of Management, 9(2), 108-124. 

  41. Sorensen, T.J. & McKim, A.J.(2014). Perceived work-life balance ability,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commitment among agriculture teacher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55(4), 116-132. 

  42. Steger, M.F., Dik, B.J., & Duffy, R.D.(2012). Measuring meaningful work: The work and meaning inventory(WAMI).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0(3), 32-37. 

  43. Tenbrunsel, A.E., Brett, J.M., Maoz, E., & Stroth, L.K.(1995). Dynamic and static work-family relationship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63, 233-246. 

  44. Joana M.Vieira, J.M., M. Matias, F.G. Lopez, & P.M. Matos(2018). Work-family conflict and enrichment: An exploration of dyadic typologies of work-family bal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09, 152-165. 

  45. Voydanoff, P.(2005).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perceived work family fit and balance: A demands and resources approac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 822-836. 

  46. Wayne, J.H., R. Matthews, W. Crawford & W.J. Casper(2020). Predictors and processes of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Examining the role of personal, work, and family resources and conflict and enrichment, Hum Resour. Manage., 59, 25-42. 

  47. Weale, V.P., Y.D. Wells & J. Oakman(2019). The work-life interface: a critical factor between work stressors and job satisfaction. Personnel Review, 48(4), 880-897. Behavior, 36, 621-64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