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가정지원센터의 1인 가구 대상 특화 프로그램 방향성 모색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A direction of specific program for single households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 focused on Seoul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4 no.3, 2020년, pp.1 - 17  

송혜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윤소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강은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guideline of specific program for single households in the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s. This study focused on Seoul area. To collect the data the in-depth interviews for 9 staffs managing the program for single person in field are progressed. The ma...

주제어

참고문헌 (30)

  1. 강은나.김혜진.김영선(2017). 도시지역 1인 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보건사회연구, 37(2), 184-215. 

  2. 권종선(2019). 중노년 1인 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문화기술의 융합, 5(1), 153-167. 

  3. 김연옥(2016). 1인 가구 시대의 도래 : 특성과 생활 실태. 한국가족복지학, 52, 139-166. 

  4. 김영정.김연재(2016). 서울시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 : 608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보고서 

  5. 김혜정(2015). 비혼 여성 1인 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논집, 25(2), 7-40. 

  6. 노혜진(2018).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 보건사회연구, 38(2), 71-102. 

  7. 박미석.전지원(2017). 비혼 1인 가구의 생활불안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4), 25-42. 

  8. 박미현(2016). 장년층 1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8(2), 71-102. 

  9. 박미현(2018). 장년층 1인 가구의 취업결정요인 분석. 글로벌사회복지연구, 8(1), 5-26. 

  10. 서명희.김영희.이현옥(2017). 1인 가구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 718-727. 

  11. 서울특별시 건강가정지원센터(2015). 2015 서울시 가족백서 

  12. 서울열린데이터광장(http://data.seoul.go.kr) 

  13. 서울특별시(2019). 내 손 안에 서울. 나혼자산다 시대 서울시 1인가구 맞춤 지원 발표. 서울시청 

  14. 서지원.양진운(2017). 중년 1인 가구의 여가활동 유형별 시간사용 결정요인. 한국가 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86-286. 

  15. 송혜림.강은주.김민주(2018). 청년 1인 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연구 -성별.취업여부에 따른 식사와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45-63. 

  16. 송혜림.윤소영.고선강.강은주(2019). 건강가정지원센터의 1인 가구 대상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2), 1-15. 

  17. 심애리.박성신(2017). 군산시 노인1인 가구의 현황 및 커뮤니티센터 요구도 분석.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9:4, 29-40. 

  18. 양지명(2019). 청년 취업 1인 가구의 일과 여가의 균형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 학회지, 23(2), 17-40. 

  19. 연합뉴스(2018.7.6). EU, 세 가구 중 하나꼴로 '1인 가구'...스웨덴 51%, 덴마크 43%. https://www.yna.co.kr/view/AKR 20180706138000098 

  20. 윤강인.강인선(2016). 중고령 1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36(2), 457-473. 

  21. 임민경.고영미(2018). 비동거자녀 지원이 1인 가구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성별에 따른 비교. 한국융합학회, 9(3), 265-277. 

  22. 장온정(2015). 중년남성 1인 가구주의 사회자본 형성과정 경험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7(3), 67-100. 

  23. 장진희.김연재(2016). 서울 1인 가구 여성의 삶 연구 : 203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 방안.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24. 정지영(2017). 노년기 1인 가구의 실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5. 최효미.김지현(2018). 청년 1인 가구 현황 및 청년층의 1인 가구에 대한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7-21. 

  26. 통계청(2018a).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1인 가구의 현황 및 특성. 

  27. 통계청(2018b). 인구총조사. 

  28. 통계청(2018c). 2017 인구주택총조사보도자료. 

  29. 파이낸셜뉴스(2019.8.29). 우리나라 가구 중 절반 이상 1인 또는 2인 가구. https://www.fnnews.com/news/201908291109229663 

  30. 한국문화원연합회(www.kccf.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