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용수 수요량 산정을 중심으로 한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방법의 개선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estimation focusing on paddy water demand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11, 2020년, pp.939 - 949  

박창근 (가톨릭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황준식 (영남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기술연구소) ,  서용원 (영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농업환경 및 식생활 변화 등으로 인하여 농지 수요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맞물려 정부에서는 2019년 6월에 물관리기본법을 제정함으로써 지속가능한 통합 물 관리시대를 본격화 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통합 물 관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61%라는 가장 많은 용수를 사용하고 있는 농업용수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다. 금회 연구에서는 현재 농업용수 사용량 현황을 분석함과 동시에 농업용수 중 67% ~ 87%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논 용수 산정법을 검토한 후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논 용수 산정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잠재증발산량 산정식 선정에 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잠재증발산량 방법은 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ns: FAO)에서 권장하고 있는 Penman-Monteith 식이 아닌 과거부터 사용되고 있는 수정 Penman 식이다. 또한 실제 증발산량 산정의 주요 인자인 작물계수는 23년 전의 작물계수를 이용함으로써 현재 기후 및 작물품종 변화를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전주기상청의 자료를 이용하여 Penman 및 Penman-Monteith 식을 비교한 결과 수정 Penman 식이 Penma-Monteith 식에 비하여 2배 이상의 큰 값을 보였다. 작물계수를 적용할 경우 증발산량이 높게 발생되는 5월 하순에서 8월 하순까지 두 산정방식에 의한 결과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전북 김제지역 4개 농업용 저수지 용수공급량 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사용량과 산정된 농업용수 수요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잠재증발산량 뿐 아니라 담수심법에 따라 최적 수요량 산정방법에는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the demand for farmland is steadily decreasing due to change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dietary life. In line with this, the government adopted an integrated water management with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Water Management on June 2019. Therefore, it is required to t...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금회 연구에서는 현재 농업용수 사용량 현황을 분석함과 동시에 농업용수 중 67 ~ 87%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논용수 산정법을 검토한 후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통합수자원관리하 농업용수 수요량의 합리적 산정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잠재증발산량 방법인 수정 Penman 식을 대신하여 UN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ns: FAO)에서 권장하고 있는 Penman-Monteith 식을 이용하여 전북지역 저수지 4개소에 적용, 실제 농업용수 공급량과 수요량 예측치를 비교 검토하였다.
  • 이러한 문제점은 수요량을 과대로 예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가뭄과 같은 극한 상황발생시 용수 수급계획에 대한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수수요량의 50%를 차지하며, 농업용수 수요량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논용수 수요량 산정방법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요량 식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개선된 방법들을 적용하여 산정된 수요량과 기존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된 수요량을 비교검토를 수행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수수요량의 50%를 차지하며, 농업용수 수요량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논용수 수요량 산정방법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요량 식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개선된 방법들을 적용하여 산정된 수요량과 기존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된 수요량을 비교검토를 수행하고자 한다.
  • (2018)은 기후변화 및 현장여건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기후인자인 벼 생육시기 및 작부시기변화, 작물계수의 변화 등이 있으며, 현장여건 변화인자로는 논경지 비율의 변화, 영농방법변화, 담수심변화 등이 포함된다고 하였다. 또한 통합물관리 차원에서 유역단위 물관리체제로 전환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농업용수 산정방법론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 논의된 농업용수 산정과정을 실제 공급량 자료를 추산할 수 있는 전북 김제지역 4개 농업용 저수지에 적용, 실제 공급량과 수요량 산정치를 비교, 검토하였다. 논용수 여유수량 산정은 Eqs.
  •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논용수 수요량 산정방법 개선에 따른 논용수 수요량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선정된 지역은 크게 네 가지 기준에 의하여 선정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gricultural Development Corporation (ADC) (1989). A study of the estimation water demand. pp. 3-184. 

  2. Allen R.G., Pereira, L.S., Raes, D., and Smith, M. (1998). Crop evapotranspiration: 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xxvi, p. 300. 

  3. Cho, G.H., Choi, K.S., Lee, J.N., and Kwon, H.J. (2018).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alculation method of agricultural water."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pp. 80-80. 

  4. Choi, J.Y., Chung, H.W., and Kim, D.S. (1997). "Development of a cell-based long-term hydrologic model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2)-pre and post processor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39, No. 2, pp.103-112. 

  5. Chung, H.W. (1987). A study on consumptive use of paddy field. Ministry of Agriculture-Forestry-Fisheries. 

  6. Doorenbos, J., and Pruitt, W.O. (1977). Guidelines for predicting crop water requirements,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no. 24. Food and Agriculture Organisation, Rome. 

  7. Jensen, M.E., Burman, R.D., and Allen, R.G. 1990. Evapotranspiration and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ASCE Manuals and Reports on Engineering Practice, No. 70, ASCE, N.Y. 

  8. Kim, B.J. (2019). "Creation of a new growth engine in Korea through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WRM)."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67, No. 4, pp. 12-13. 

  9. Kim, S.H., Kang, M.S., Kim, K., and Lee, H. (2019). "The analysis of land use change impact in agriculture land on hydrology and water quality"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onference, p. 37. 

  10.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2020). 2019 Reservoir Hydrological Survey Yearbook. pp. 2-833. 

  11. Lee, G.-H. (2007). "Agricultural water demand estimation method and improvement plan."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49, No. 3, pp. 4-14. 

  12. Lee, Y.-G. (2019). "A study on the law of the framework act on water management." Water for future, Vol. 52, No. 3, pp. 48-52. 

  13. Maeng, S.-J., (2006). "Investigation of factors for estimating agricultural water demand."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 Vol. 48, No. 2, pp. 9-14. 

  14.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OAF) (1998). Design criteria for th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ject: Irrigation part. pp. 9-562. 

  15.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MOAF), Agricultural Development Corporation (ADC) (1986). Establishment of crop consumptive use estimation. pp. 3-190. 

  1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OAFRA) (2015). Development of a rural water resources assessment tool. 

  1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OAFRA)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C) (2019). Statistical yearbook of land and water development for agriculture, pp. 4-752. 

  18.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1997). Study on water demand for the variation of farming conditions in paddy field. 

  1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6). Water Vision 2020(2001-2020) 3rd revised plan. pp. 7-131. 

  20.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MOS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01). Water demand forecasting guidelines (proposal). pp. 1-142. 

  21. Park, S. (2018). Unified Water Management (IWRM) unification policy and major countries' cases. Ministry of Environment, KEITI, pp. 2-13. 

  22. Park, S., Jung, M., and Min, K. (2017). The current status of changes in Korean rural villages and direction for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Year 3 of 5). Report 830, No.17-35-0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p.174 

  2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20). General ricemachine transplanting rice (water management), accessed 26 August 2020, . 

  24. Rural Development Corporation (RDC) (1980). Criteria for evaluating the water demand for agricultural water development. 

  25. Yoo, S.H., Choi, J.Y., amd Jang, M.W. (2006). "Estimation of paddy rice crop coefficients for FAO penman-monteith and modified penman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48, No. 1, pp. 13-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