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물의 구조유형을 고려한 해체공사 제도 개선 방안 필요성 - 해체공사의 허가 및 신고를 기준으로 -
Necessity of Improvements on Code of Practice at the Demolition Work considering Building Structure Type : Based on Demolition work of Permission and Registration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1 no.6, 2020년, pp.66 - 74  

심유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  정재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  이재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  정재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체공사의 수요증가와 사고 위험성을 고려하여 정부는 20년 건축물관리법을 시행해 해체공사의 안전관리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건축물관리법 제 30조 건축물의 해체 허가에 따른 기준은 일률적이기 때문에 규모에 따른 허가대상 건축물의 구분은 불합리할 수 있다. 또한, 해체공사는 건축물의 구조 유형에 따라 공사 난이도 및 발생 재해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건축물관리법상 신고대상에 속하는 조적조 등의 소규모 건축물의 구조 유형을 고려한 해체공사 안전관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순서는 (I) 건축물관리법 기준; (II) 건축물의 구조 유형에 따른 해체공사 분석; (III) 해체공사 허가대상 세분화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건축물관리법상 허가대상은 과거 해체공사 실적의 10% 정도, 조적조는 2.43%에 불과하였다. 허가대상 기준을 세분화한 결과 조적조의 경우 연면적 100㎡이하일 때 허가 및 신고대상의 수가 유사해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이해관계자는 1) 해외와 같이 규모에 관계없이 특수구조 건축물에 강화된 안전관리 기준을 적용하거나, 2) 건축물의 구조 유형에 따라 해체공사 허가 대상 기준을 세분화하는 방식 등을 활용한 해체공사 안전관리를 개선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event incident of demolition work the Building Management Act was implemented to manage demolition work. According to this law, buildings with the scale upper than 500㎡ of floor area are classified as permission to conduct the demolition work, however it may be hard to perform safety man...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해체공사 사고 사례 및 해외 해체공사 허가 제도를 분석하였다. 그 후 건축물관리법의 기준을 바탕으로 2001년부터 2018년까지의 해체공사 인허가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해체 건축물을 단순히 규모로 허가와 신고 대상을 구분하는 것이 아닌 건축물의 구조 유형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하지만, 실제 국내 해체공사 중 발생한 사고의 절반 이상이 신고대상의 조적조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특수구조 건축물 허가 제도를 참고해 건축물의 구조물 유형을 고려하여 해체공사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의 특수구조 건축물 허가 제도를 참고하여 건축물의 구조 유형을 고려한 해체공사 제도개선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체공사 사고 사례 및 해외 해체공사 허가 제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체 공사 중 발생한 재해 사례를 파악하기 위해 과거 연구 및 산업안전보건공단의 재해 사례집을 통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조, 조적조 등의 구조에서 발생한 해체공사 사고사례를 분석하였다(Ahn et al., 2019; Cha & Kim. 2012; Ryu, 20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H.S., Jeong, J.W., and Kim, W.S. (2019). "A Study on the Detailed Guidelines for Building Demolition Work." Construction Safety Association of Korea and 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 pp. 1-220. 

  2. Approved Code of Practice for Demolition : BS 6187 (2012). (Aug. 24, 2020). 

  3. BUILDING MANAGEMENT ACT (2020). (Jul. 30, 2020). 

  4. Cha, G.C., and Kim, S.G. (2012). "Analysis of Case and Cause of Collapse Incidents in Demolition Work." Korean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19(3), pp. 25-26. 

  5. Cha, H.J., and Choi, J.S. (2007). "Evaluation of Safety Items in Building Demolition Works Utilizing AHP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Architectural and Municipal Engineering Society, JKIBC, 7(3), pp. 99-105. 

  6. Choi, J.S., and Heo, S.T. (2009). "Development of Safety Management Manual for Deconstruction Work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1(6), pp. 45-53. 

  7. Choi, J.S., Heo, S.T., Go, W.J., and Lee, H.M. (2010). "Development of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and Applicability Validation - Focused on the Building Deconstruction Work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1(6), pp. 45-53. 

  8. Code of Practice for Demolition work. (2015). (Aug. 22, 2020). 

  9. Code of Practice for Demolition : SS 557 (2010). (Aug. 22, 2020). 

  10. Code of Practice for Demolition of Building (2004). (Aug. 22, 2020). 

  11. Gangdong-gu Office. , "Dunchon Jugong Apartment Reconstruction Project." 

  12. Kim, W.P. (2017). "Rewriting Statistical Analysis, Basic Statistical Analysis" Wisein Company, 2017.06., pp. 265-292. 

  13. Kim, W.S., Ji, M.H., Choi, S.M., and Ahn, C.W. (2020). "Development Direction and Introduction of Permit System of Building Demolition Work."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40(1), pp. 425-425. 

  14. KOSHA (2016). "Trapped by Wall Collapsing while Working with a Hammer to Demolition part of the Inner Wall." 2016.8. 

  15. KOSHA (2017). "Standard Safety Work Procedure for Demolition Work." 

  16. Lee, H.M., and Go, S.S. (2008). "A Study on the System Development for Optimum Method Selection in Demolition Work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and Construction, 24(5), pp. 193-200.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0). "The number of demolition buildings for Housing in 2010 to 2018." 

  18. Park, J.S., Song, T.H., and Choi, D.H. (2013). "Applicable Building Rang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Building Separation and Dismantl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1(3), pp. 189-196. 

  19. Ryu, H. (2019). "Safety Management Manual for Building Demolition Work",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ug. 24, 2020). 

  20. Shin, H.W., Song, C.Y., Kong, Y.T., Im, I.H., and Choie, D.H. (2019). "Support for decision-making of small-scale old building safety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lcal Society, pp. 53-5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