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ADHD 성향과 대인관계스트레스가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
A Study of ADHD traits and Interpersonal Stress Variables Influencing on Hopelessness of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1, 2020년, pp.337 - 344  

김민경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ADHD 성향과 대인관계스트레스가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160명의 남녀대학생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DHD 중에서 부주의 기억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스트레스에서는 가족관계, 이성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희망감이 부정적 무망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ADHD 성향과 대인관계스트레스는 무망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과잉활동을 할수록, 충동성이 낮을수록 대학생의 긍정적 희망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주의 기억문제가 높을수록, 과잉활동을 할수록, 대인관계스트레스 중 교수와의 관계, 이성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의 무망감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무망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ADHD 성향을 조절하고 대인관계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개입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ADHD traits and interpersonal stress influencing on hopelessness of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160 college students. Data analysis was used by mean, SD,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Deficit attention is highest in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5로 부정적 무망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성인 ADHD 증상이 삶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특히 부주의 기억문제와 충동성 및 정서적 불안정성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또한 대인관계스트레스에서는 대학생에게 가족과 이성관계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가 보고되어 독립된 존재로서 성장하는데 가족과 이성의 관계 역할이 중요한 의미를 주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성인 ADHD 성향, 대인관계스트레스와 무망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대학생의 무망감에 미치는 관련요인들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 ADHD, 대인관계스트레스가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의의는 무망감 등에 미치는 성인 ADHD의 다양한 특성들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ADHD 성향이 개인의 삶의 영향에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 ADHD, 대인관계스트레스가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이다. 즉 대학생의 무망감과 관련 요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고 변인들간의 관계와 무망감에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 G. J. Dupaul, M. J. Gormley, & S. D. Laracy.(2013). Comorbidity of LD and ADHD: Implications of DSM-5 for assessment and treatment.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y, 46(1), 43-51. 

  3. Korea Health Insurance & Asessment Service(2019). Statistics of Deases. http://www.hira.or.kr 

  4. M. Willowghby.(2003). Developmental course of ADHD symtomatology during the transition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A review with with recommendation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4, 88-106 

  5. R. A. Barkey. (2006).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3rd Ed). New york: Guilford Press. 

  6. J. M. Nelson. (2013). Self-concept of college students with ADHD: Discordance between self and parent-report.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s, 13(3), 251-258. 

  7. H. W. Jung, M. S. Chang & H. W. Kwak. (2011).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adult ADHD sub-clusters: Path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23(1), 153-169. 

  8. M. S. Chang & H. W. Kwak.(2007). Relationships among depressi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adult ADHD sub-cluster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4), 827-843. 

  9. B. L. Chew, S. A. Jensen & L. A. Rosen.(2009).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s their ADHD peers. Journal of Attention Disordes, 13, 271-276. 

  10. S. H. Noh.(2012). The effects of sand play therapy on anxiety and interpersonal stress and salivary cortisol level of college students with ADHD tendency. Masters' thesis of Namseoul University. 

  11. R. Waites. (2007). Women and attention defit disorders: A great burden overlooked.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Nurse Practitioners, 19(3), 116-125. 

  12. J. J. Godfrey. (1987). A philosophy of human hop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3. C. R. Snyder, A. B.LaPointe, J. J. Crowson & S. Early. (1998). Preferences of high and low hope people for self-referential input. Cognition & Emotion, 12(6), 807-823. 

  14. A. T. Beck. (1967).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and Row.. Depression: Clinical. 

  15. K. S. Lee. (2011). A study on rural old men's hopelessness. Doctoral dissertation, Baesuk Universsity. 

  16. L. Y. Abramson., M. E. P. Seligman., J. Teasdale.(1978). Learned helplessness in humans: Critique and reformulation. Journal adolescents living in a of Abnormal Psychology, 87, 49-79. 

  17. E. M. Hallowell & J. J. Rately. (1992). Driven to distraction. New York: Guild Press. 

  18. E. Sobanski, D. Bruggermann, B. Alm, S. Kem, A. philipsen, H. Schmalzried & M. Rietschel. (2008). Subtype differences in adul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with regard to ADHD symptoms, psychiatric comordity and psycosocial adjustment. European Psychiatry, 23, 142-149. 

  19. T. L. Richards, J. L. Deffenbacher, R. A. Barkey, T. Rodricks. (2006). Driving anger and Driving behavior in adulis with ADHD.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s, 10(1), 54-64. 

  20. C. L. Conners, D. Erhart & E. P. Sparrow.(1999).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 technical manual. New York: Multi-Health Systems. 

  21. H. Y. Kim, J. Y. S. S. Cho, Lee, L. S. Lee & J. H. Kim. (2005). A preliminary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ner's adult ADHD rating scles-Korean version in Colleg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4(1), 171-185. 

  22. G. G, Jeon, G. H. Kim & J. S. Lee. (2000). A study on development of revised College studnts' life stress scale. Korean Journlal of Psychology: Health, 5(2), 316-355. 

  23. A. T. Beck., J. H. Davis., C. J. Frederick., S. Perlin., A. D. Pokorny., R. E. Schulman., R. H. Seiden. & B. J. Wittlin. .(1972).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In H. L. Tesnick, & B. C. Hathorne (Eds.), Suicide Prevention in the 70's.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7-12. 

  24. H. S. Kweon & S. J. Lee.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trait and adjustment on campus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8(2), 297-313. 

  25. T. W. Um. (2008). A study on related variables on adolescents' hopelessness: Focusing on social support. Korean Youth Studies, 15(5), 211-237. 

  26. S. J. Lee.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trait and psychological inadjustment,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ampus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Therapy Research, 7, 193-2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