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W 코딩교육에서의 학습분석기반 플립러닝의 학습효과
Learning Effects of Flipped Learning based on Learning Analytics in SW Coding Edu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1, 2020년, pp.19 - 29  

피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전공자 학생들 대상으로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 분석을 활용한 플립러닝 교수법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ADDIE모형을 적용한 플립러닝 프로그래밍 수업모형을 설계한 후 본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강의지원시스템의 학습관련 자료를 크롤링하였다. 크롤링 자료를 교수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대시보드로 제공하여 교수자는 이를 바탕으로 수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설계하여 개별 맞춤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 학기 수업을 통해 수집된 학습관련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학과, 학년, 출결여부, 과제제출 여부, 예/복습 수강여부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문 분석결과 학습 분석을 통한 교수자의 개별화된 피드백이 자기주도적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학습을 촉진시키고 교수자는 교수활동을 개선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 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학습자들의 학습과 관련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내용도 크롤링하여 학습자들의 학습상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s by using learning analytics to enable effective programming learning for non-major students. After designing a flipped learning programming class model applied with the ADDIE model, learning-related data of the lecture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5주차에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 중에서 학습 분석과 관련된 문항에 대해서만 결과를 언급하고자 한다. 학습분석과 관련된 6문항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 일일이 모든 화면을 서핑을 한 후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교수자가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본교에서 지원하는 강의지원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학습 자료를 정기적으로 크롤링하여 이를 대시보드로 작성하여 교수자가 이를 바탕으로 수업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파이썬으로 웹 크롤링을 개발하였다. 크롤링을 통해 교과목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들을 인식할 수 있도록 수강생 위험단계의 학습자에게 경고메시지를 전달하고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학습 분석을 통해서 지도를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들 학습자들에게 맞는 수업모형을 설계하여 플립러닝 교수법으로 진행을 하고자 한다. 플립러닝 교수법으로 인해 자기주도 학습이 어려운 학습자, 학습능력이 부진한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높이고 중도포기를 막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 분석을 통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 대시보드는 분석된 데이터를 효과적이고 직관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선택의 편의성과 유연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내용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비전공자 대학생들 대상으로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 분석을 활용한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하여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플립러닝 교수법이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학습능력이 부진한 학습자들에서는 플립러닝의 학습효과를 얻기가 어렵다고 한다. 따라서 학습능력이 부진한 학습자, 자기 주도적 학습이 어려운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높이고 중도포기를 막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 분석을 통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 향후 학습자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학업성취도 효과의 비교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들의 학습과 관련된 소통을 위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내용도 크롤링하여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학습상황을 파악하여 개별 맞춤교육을 통한 학업 성취도 향상 효과를 기대해보고자 한다.
  • 본 대학에서 지원하는 강의지원 시스템에 교수자가 로그인을 하면 강의 계획서, 공지사항, 질의응답, 예/복습자료실, 출석, 과제, 팀프로젝트, 시험, 토론, 설문, 성적 등의 메뉴화면을 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의지원이 지원하는 메뉴 중에서 학습자들의 활동과 관련된 예/복습자료실, 출석, 과제 영역에 대해서 대시보드를 작성하여 맞춤 학습을 통한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들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을 플립러닝 교수법으로 진행할 때 학습이 부진한 학습자의 적극적인 학습활동을 유도하고 중도 포기 학습자를 막기 위해 학습 분석을 하고자 한다. 현재 본교에서 지원하고 있는 강의지원시스템으로는 교수자가 개별적으로 학생들에게 맞는 맞춤 교육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 미제출, 미수강 누적횟수가 많은 학습자들을 별도로 파악하여 이들 학습자가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맞춤지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파이썬을 이용하여 본교 강의지원 사이트에 접속하지 않고 교수자가 컴퓨터로 작업을 하다가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강의지원시스템의 출석 영역, 예/복습 수강 영역, 과제제출 영역의 자료를 크롤링하여 별도의 지도가 필요한 학습자를 관리하여 중도포기를 예방하고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맞춤지도를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북소재 4년제 D대학의 비전공자 학생들 대상으로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 분석을 활용한 플립러닝 교수법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ADDIE 모형을 적용한 플립러닝 프로그래밍 수업모형을 설계한다.
  • 비전공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목적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을 학습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개념, 원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컴퓨팅사고력과 논리력, 문제해결력을 함양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양교과목으로 비전공자들 대상으로 컴퓨팅 사고력 배양을 위한 프로그래밍 중심 교과과정을 개설하여 다양한 융합교육 모델의 기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웹드라이버(webdriver)라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웹에 명령을 주고, 크롤링, 자동화 등 다양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워크인 셀레니움(Selenium)을 이용하였다. 파이썬으로 웹 크롤링을 구현하여 교수자가 다양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셀레니움은 Selenium Server와 Selenium Client가 있는데, 로컬 컴퓨터의 웹브라우저를 컨트롤하기 위해서는 Selenium Client를 사용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들 학습자들에게 맞는 수업모형을 설계하여 플립러닝 교수법으로 진행을 하고자 한다. 플립러닝 교수법으로 인해 자기주도 학습이 어려운 학습자, 학습능력이 부진한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높이고 중도포기를 막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 분석을 통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학이 발전된 기술들을 이용하여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학습평가로 학습 분석(learnig analytics)을 언급하였다[12].
  •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학이 발전된 기술들을 이용하여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학습평가로 학습 분석(learnig analytics)을 언급하였다[12]. 학습 분석은 교육적 데이터를 유용한 정보로 전환하여 이전에 일어난 교수나 학습활동에 대한 자기성찰과 같은 행동을 촉진하고 교수-학습활동을 개선하는데 목적을 둔다. 학습자의 수행 예측, 관련 학습자료 제안, 사회적 학습촉진, 학습자의 행동을 추적하여 중도포기 예방, 학습자의 감정 탐지 등 여러 가지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된다[13].
  • 분석대상은 교육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와 학습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활동 데이터, 교수자가 제시하는 모형, 교육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소셜 분석 데이터 등이다. 학습 분석의 목적은 교육적 데이터를 유용한 데이터로 전환하여 이전에 일어난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자기성찰과 같은 행동을 촉진하고 개선하는데 있다[16, 17]. 학습 분석은 데이터 기반 접근으로 교육데이터가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는데 학습 자료에 대한 접속과 업로드, 과제제출, 시험응시, 예/복습 자료 읽기 등 학생활동에 대한 대규모 로그 데이터와 상호작용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가 대표적이다[18].
  • 학습 분석의 목적은 교육적 데이터를 유용한 정보로 전환하여 교수-학습활동을 개선하는데 있다.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활동 및 학습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 K. Kim. (2019). Effect of Computational Thinking on Problem Solving Process in SW Education for non-CS Major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22(4), 472-479. DOI:10.9717/kmms.2019.22.4.472 

  2. J. Y. Park. (2015). Direction and prospect of SW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42(3), 85-89. 

  3. S. Y. Choi. (2017). Design and Application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Flipped learning of Programming Clas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4), 27-36. DOI:10.32431/kace.2017.20.4.027 

  4. K. M. Kim & H. S. Kim. (2014). A Case Study on Necessity of Computer Programming for Interdisciplinary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1), 339-348. DOI:10.14400/JDC.2014.12.11.339 

  5. E. S. Kang, S. I. Shim & K. J. Lee. (2019). Education Model Using PBL for IT Convergence Education of Non-Major in Liberal Arts Class: Focusing on Computing Thinking.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20(11), 2159-2168. DOI:10.9728/dcs.2019.20.11.2159 

  6. M. J. Lee. (2017). Exploring the Effect of SW Programming Curriculum and Content Development Model for Non-majors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Visual Representation of SW Solu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7), 1313-1321. DOI:10.14400/JDC.2017.18.7.1313 

  7. Y. S. Lee. (2018). Python-based Software Education Model for Non-Computer Majo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3), 73-78. DOI:10.15207/JKCS.2018.9.3.073 

  8. K. S. Lee. (2019). Case Analysis for Constructing a Homogeneous Learning Group in Programming Lessons for Non-Specialis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2), 59-65. DOI:10.14400/JDC.2019.17.12.059 

  9. K. M. Kim & H. J. Kim.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Flipped Class by Analysis of Programming Achievement.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4), 15-25. DOI:10.32431/kace.2017.20.4.015 

  10. E. S. Yi & H. S. Lim. (202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lip Learning Classes on Academic Performance in Primary Course of Technical Univers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3(3), 59-64. DOI:10.32431/kace.2020.23.3.059 

  11. S. Y. Pi & S. J. Do. (2017). The Effectiveness of the Flipped Learning using the Smart Devi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65-71. DOI:10.14400/JDC.2017.15.4.065 

  12. D. S. Han. (2016). University Education and Content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umanities Contents, 42(9), 9-24. DOI:10.18658/humancon.2016.42.9.009 

  13. S. H. Jin & M. N. Yoo. (2015). An Analytic Review of the studies on Learning Analytics based Dashboard in e-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1(2), 185-213. DOI:10.15833/KAFEIAM.2015.21.2.185 

  14. Y. J. Park & I. H. Jo. (2014). Need Analysis for Learning Analytics Dashboard in LMS: Applying Activity Theory as an Analytic and design Too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0(2), 221-258. DOI:10.17232/KSET.2014.30.2.221 

  15. Long. P & Siemens. G. (2011). Penetrating the fog : Analytics in learning and education. EDUCAUSE Review, 46(5), 30-32. 

  16. A. L. Dyckhoff, D. Zielke, M. Bultmann, M. A. Chatti & U. Schroeder. (2012).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earning Analytics Toolkit for Teache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5(3), 58-76. 

  17. M. A. Chatti, A. L. Dyckhoff, U. Schroeder & H. Thus. (2012). A Reference Model for Learning Analy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Enhanced Learning, 4(5), 318-331. DOI:10.1504/IJTEL.2012.4.5.318 

  18. J. H. Shin, J. W. Choi & W. Koh. (2015). A study on the Use of Learning Analytics in Higher Education: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professor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31(2), 223-252. DOI:10.17232/KSET.2015.31.2.223 

  19. K. Y. Lim, J. H. Eun, Y. J. Jung & H. N. Park. (2018). Exploratory study on the information design of online dashboard for learner-centere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1(3), 35-50. DOI:10.32431/kace.2018.21.3.035 

  20. S. W. Bae, H. D. Lee & D. S. Cho. (2018).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Crawler System for Collection of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21(2), 199-209. DOI:10.9717/kmms.201821.2.199 

  21. H. J. kim, K. H. Kim & S. S. Shin. (2017). Crepe Search System Design using Web Crawl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261-269. DOI:10.14400/JDC.2017.15.11.261 

  22. D. Y. Kim & J. T. Kim. (2009). Efficient Design of Web Searching Robot Engine Using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with Javascript Fun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s, 13(12), 2595-2602. 

  23. Y. G. Yu, K. B. Nam & K. R. Park. (2019). Implementation of web server monitoring system using crawling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4(4), 123-128. DOI:10.9708/jksci.2019.24.04.123 

  24. C. H. Lee. (2008). Mode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Program Based on ADDIE Model.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8(1), 131-146. DOI:10.34138/KJTE.2008.8.1.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