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도심 활성화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서구 원도심의 지역 회복력 향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ld Down-town Activation Indicator -Focusing on Improving Urban Resilience in the Old Down-town of Seo-gu, Inche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1, 2020년, pp.561 - 569  

장동민 (청운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진단하여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하게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인천시 서구 원도심지역의 회복력향상을 위한 활성화 지표개발을 위해 도시재생의 범주에서 활용중인 회복력 유사지표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예비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의견조사를 통해 지표의 적합성과 중요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도시회복력 향상을 위한 활성화지표는 인구의 안정성, 사회적 포용성, 산업의 다양성, 지역의 생산성, 환경적 지속성, 사회기반의 편의성 등 총 6개 구성영역으로 정립하였다. 도출된 60개의 예비지표를 기준으로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선정된 지표는 42개로 경제활동가능 인구의 확보, 생활형인프라 구축과 정주환경개선, 그리고 산업단지가 포함된 서구의 특성을 반영한 산업의 고도화 및 다양화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후 지표의 객관성을 보완하고 회복력 지수 산출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정량적 지표 위주로 구성되어 지역의 쇠퇴진단에 주목하는 기존연구를 보완하며, 회복력의 개념을 토대로 국내 실정에 맞는 현실적 대안을 제시한 점은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indicators for cities that can be used in the long term and in a sustainable manner. Activ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to improve the resilience in the downtown area of Seo-gu, Incheon. Preliminary indicators were derived from prior studies on similar indicators of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은 지역회복력 구성요소와 지표영역의 연관성, 지표의 영역별 목표를 정리한 것이다. 그리고 도시재생법 및 가이드라인과 관련 선행연구의 유사지표 구성요소와의 관계에 대해 종합한 것이다.
  • 본 연구는 회복력 개념을 바탕으로 도시를 종합적으로 이해, 진단하고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하게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 활성화 지표 개발을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예비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적합성 및 가중치 검토를 통해 지표의 안정성을 구축하였다.
  • 본 연구는 회복력의 개념을 토대로 기존 쇠퇴진단지표를 보완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실질적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후의 연구단계에서는 자료구축 및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지역의 회복력을 진단하여 실효성있는 활성화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 인구의 안정성 부문에서는 경제활동인구의 확보와 지역인구의 경제적 역량 강화가, 사회적 포용성 부문에서는 교육, 복지 건강 등 주민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사회의 안정 및 형평과 포용의 증대, 행정조직과 주민자치회의 포괄적 참여유도가 목표로 설정되었다. 산업의 다양성 부문에서는 제조업 기반의 기존 서구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함께 지식기반의 고차산업화 유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지역의 생산성 부문에서는 일자리 창출과 함께 지역내 생산과 소비를 통한 경제순환 구조화와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 환경적 지속성 부문에서는 노후환경개선과 친환경 공간 조성을 통해 정주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사회기반의 편의성 부문에서는 생활인프라 접근성 향상과 공공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통해 주민생활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목표로 설정되었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도시를 종합적으로 이해, 진단하고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하게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인천시 서구를 대상으로 지역의 여건을 진단하고, 특성을 파악하여 침체된 지역을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지역 활성화지표(Regional Activation Indicator)’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특히 인천시 서구를 대상으로 지역의 여건을 진단하고, 특성을 파악하여 침체된 지역을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지역 활성화지표(Regional Activation Indicator)’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국내외 도시계획 및 지역발전관련 학계 및 정책입안자들 사이에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회복력(Resilience)의 개념을 적용하여 복합적이고 상호의존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도시문제의 특성에 부합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도시를 종합적으로 이해, 진단하고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하게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인천시 서구를 대상으로 지역의 여건을 진단하고, 특성을 파악하여 침체된 지역을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지역 활성화지표(Regional Activation Indicator)’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국내외 도시계획 및 지역발전관련 학계 및 정책입안자들 사이에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회복력(Resilience)의 개념을 적용하여 복합적이고 상호의존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도시문제의 특성에 부합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W. Choi, A. R. Cho, S. H. Le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Indicators in Suwon, Technical Report, Suwon Sustainable City Foundation, Korea, pp.1-2. 

  2. J. G. Kim, J. H. Lim, S. H. Lee, A research on Urban Resilience for Urban Regeneration, Technical Report, Land & Housing Institute, Korea, pp.27-33. 

  3. Jo Da Silva, B. E. Morera, City Resilience Framework, The Rockefeller Foundation & ARUP, United Kingdom, pp.5-9. 

  4. E. L. Moreno, R. O. Murgula, The Cty Prosperity Initiative, Technical Report, UN-Habitat, Kenya, pp.3-4. 

  5. S. J. Ha, K. C. Nam, S. H. Lee, S. J. Jeon, J. S. Park, A Study on the Examination and Application of the Regional Resilie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orea, pp.77-85. 

  6. Y. M. Je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evel of Urban Resilience in the Comprehensive Plan,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pp.33-54, 2016. 

  7. D. G. Han, A resilience approach to constructing analysis system of regional resilience,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of The Graduate School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pp.70-73, 2017. 

  8. S. M. Han, M. H. Lee, "Analysis of Evaluation Indicator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ustainable and Resilient City",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29, No.3, pp.1-24, Sep. 2017. https://www.earticle.net/Article/A310317 

  9. M. R. Byun, Framework of the Inclusive City Indicators and the Inclusiveness of Seoul, Technical Report, The Seoul Institute, Korea, pp.54-67. 

  10. K. J. Kim,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urban decline and potential, Technical Report, Korea Urban Renaissance Center, Seoul, pp.40-41. 

  11. D. S. Yang, Development of urban decline diagnosis indicators and potential indicators to build a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Technical Report, Korea Urban Renaissance Center, Seoul, pp.5-6.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uidelines for Urban Sustainability and Living Infrastructure Assessment, Korea, pp.6-7. 

  13. Y. H. Ki, 2025 Incheon Urban Regeneration Strategy Plan, Technical Report,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Incheon, pp.81-83. 

  14. J. E. Park, 2030 Incheon Urban Regeneration Strategy Plan, Technical Report, Land & Housing Institute, Incheon, pp.81-84. 

  15. N. D. Park, Investigation, evaluation, and countermeasures for vitalization of the original downtown area, Technical Report, Daejeon Development Institute, Daejeon, pp.67-77. 

  16. S. W. Cho, Analysis on the Urban Decline in Incheon Using Multiple Deprivation Index, Technical Report,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Incheon, pp.21-29.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uidelines for Establishing Urban Regeneration Strategy Plan, Korea, pp.9-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