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도구 도시재생사업 대상지의 상권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of Commercial Areas in Yeongdo-gu Urban Regeneration Reg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8, 2022년, pp.367 - 376  

이혜인 (한국해양대학교 해양문화콘텐츠융복합협동과정) ,  오광석 (한국해양대학교 해양문화콘텐츠융복합협동과정)

초록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으로 인한 지역 활성화로 영도구 도시재생사업 대상지의 상권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도시쇠퇴로 인한 지역 침체의 심화는 도심 상업 기능의 쇠퇴를 가속할 수 있기에, 경제활동이 저하된 원도심을 활성화하기 위한 상권 활력 증진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도시재생사업 대상지의 상권변화 분석을 위해, 상업 활성화를 살펴보는 상점 밀도, 업종 다양성을 지표로 산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인구의 유입과 집객에 영향을 미치는 음식점업과 카페 비율을 통해 대상지 상권의 동태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영도구 내 도시재생사업 대상지에서 상점 밀도와 업종 다양성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음식점업과 카페 비율의 경우 큰 차이를 발견하기는 어려우나, 영선2동(흰여울문화마을)의 경우 상업적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영도구 도시재생사업 대상지의 상업적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 분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hanges in commercial areas in Yeongdo-gu urban regeneration reg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regional revitalization. Urban decline can accelerate the decline of downtown commercial functions, and revitalization of stagnant areas can be evaluated as enhancing the vitality of commerc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지역 경제활동이 저하된 원도심의 활력 회복 및 활성화 수준을 지역 상권의 활력 증진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12]. 도시재생사업으로 인한 활성화와 경제 활성화 사이에는 연관성이 높을수 있어 도시재생사업 대상지 주변의 상권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논문은 지역 활성화를 주요 목표로 한, 도시재생사업 대상지 주변의 지역 상권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상권의 경우 지역적 특성, 상권의 범위 및 업태등에 따라 다양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도시재생사업과 상권 및 경제적 활성화와의 연계성을 직접적으로 도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대상지의 상권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지역 내 상권의 동태적 변화를 살펴 보았다. 도시재생사업은 쇠퇴한 원도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물리적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것과 더불어 지역 활력을 결정짓는 상권의 경제적 기반 활성화를 지원하여, 지역의 자족적인 구조를 형성하고 자생기반을 마련하여 지역 성장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비전과 목표에 따르면, 도시재생이란 도시공간의 개선으로 주거 및 도심기능을 확충하고 지역의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 활성화를 지원하는 의미로 볼수 있다[5]. 잃어버린 활력을 회복하기 위한 총체적이고 복합적인 지원을 통해 도시의 자생적 성장 기반을 확충하고 도시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원도심의 재활성화 및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한찬규, 대구광역시 도심상권 활성화 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부동산학, 박사학위논문, 2019 

  2. 정소양, 유재윤 외, 원도심 쇠퇴현황 및 도시재생 추진방향, 국토정책 Brief, 2014. 

  3.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뉴딜사업 (우리동네살리기) 실행계획 수립 및 사업시행 가이드라인, 국토교통부, 2020. 

  4.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사업추진 모니터링 및 정보활용 방안 연구, LH토지주택연구원, 2018. 

  5. https://www.city.go.kr/index.do, 2022.07.07 

  6. 김소민, 정혜진, "도시재생 활성화 수단으로서의 창업 분석: 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pp.107-120, 2017. 

  7. 유병상,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근린상권 활성화 방안 연구-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동의대 경제학, 박사학위논문, 2020. 

  8. https://surc.or.kr/columns/312, 2022.08.04. 

  9. 이일희, 이주형,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2권, 제6호, p.101-114, 2011. 

  10. 김영환, 최정우, 오덕성, "성장관리형 도심재생의 기본전략 및 계획요소," 국토계획, 제38권, 제3호, pp.85-97, 2003. 

  11. 김주진, 황규홍, 임주호, 류동주,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사업 추진 방안, LH토지주택연구원, 2015. 

  12. 이영주, 임은선, 서민경제 안정을 위한 지역상권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1. 

  13. http://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41224000128, 2022.08.04. 

  14. http://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91027000097, 2022.08.04. 

  15. https://www.city.go.kr/map/index.do 

  16. https://www.yeongdo.go.kr/00672/02632/02634.web, 2022.07.07 

  17. 김형균, 김종욱, 박상필, 서정렬, 도시재생 사업지역의 주민생활 및 상권변화 연구, 시민행복연구본부, 2015. 

  18. 한동욱, 김태영, 주수민, 김혜주, 홍명기, 백종인, 반영운, "도시재생사업 효과 분석," 지역연구, 제34권, 제1호, pp.61-75, 2018. 

  19. 류신현, 임남기, "정량적 평가지표를 활용한 도시재생 선도지역 사업효과 분석-천안시 선도지역을 사례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35권, 제10호, pp.83-90, 2019. 

  20. 장성만, 박영수, "신규 창업점포 밀도 및 다양성 지표를 활용한 도시재생사업 대상지 평가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제37권, 제2호, pp.3-16, 2021. 

  21. 류화연, 박진아, "서울시 주거지역 내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단계별 변이과정 분석 연구-상업 업종의 변화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54권, 제1호, pp.40-51, 2019. 

  22. 강태연, 박진아, "상권변화과정 분석을 통한 상권 재활성화 진단 연구," 국토계획, 제56권, 제3호, pp.78-91, 2021. 

  23. 이새나리, 김흥순, "상업가로 활성화 지표 도출에 관한 연구-신촌, 이태원, 신사동 가로수길, 홍대 지역 가로방문객을 대상으로," 국토지리학회지, 제51권, 제2호, pp.109-121, 2017. 

  24. 염지혜, 양승우, "음식점 변화를 통한 서울 삼청동길의 상업가로 활성화 단계 실증해석," 도시설계, 제15권, 제6호, pp.111-122, 2014. 

  25. 임하나, 성은영, 최창규, "상업시설의 다양성과 가로활력과의 관련성 실증분석," 도시설계, 제18권, 제6호, pp.37-49, 2017. 

  26. 심경미, 이상민, 차주영,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 진단체계 연구: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8 

  27. 정광진, 전혜진, 정연우, 이삼수, "도시재생사업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의 개발과 적용-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52권, 제3호, pp.55-74, 2017. 

  28. 윤윤채, 박진아, "상업용도 변화 측면에서 본 서울시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속도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17권, 제4호, pp.17-32, 2016. 

  29. 김동진, 전재균, "IPA기법을 통한 흰여울문화마을의 관광활성화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제23권, 제1호, pp.445-458, 2021. 

  30.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201030.33001008594, 2022.08.04. 

  31. 이정란, 최막중, "동종과 이종의 도.소매업종구성에 따른 상권변화의 특성," 한국지역개발학회, 제30권, 제2호, pp.137-154, 2018. 

  32. 부산광역시, 2018년 부산관광산업 동향분석, 2018. 

  33. htt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2022/02/28/P3I4NDZ7ABACLI54G6HHFCU64M/, 2022.07.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