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의편향수정 훈련에서 지시문과 자극제시 시간의 효과: 사회불안증상 집단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Instruction and Stimulus Presentation Time in Attention Bias Modification Training on Social Anxiety Symptom Group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1, 2020년, pp.641 - 649  

김슬아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임상심리실) ,  홍창희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의편향수정(Attention Bias Modification; ABM) 훈련에서 지시문(명시형, 암묵형)과 자극제시 시간(300 ms, 500 ms)에 따른 ABM 훈련의 효과를 대학생 사회불안 증상 집단을 대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부산 소재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 척도(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ADS)가 82점 이상이면서 주의편향 점수(Attention Bias Score; ABS)가 0보다 큰 참가자를 ABM 훈련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훈련 집단은 명시형-300 ms 집단(n=10), 명시형-500 ms 집단(n=8), 암묵형-300 ms 집단(n=8), 암묵형-500 ms 집단(n=7)이었다. 암묵형 지시문 집단에는 ABM 훈련 실시 절차 정보만을 제공하였다. 명시형 지시문 집단에는 추가로 훈련 조작(탐침이 항상 중성 자극이 나타났던 위치에 나타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집단에 따라 300 ms 혹은 500 ms의 자극제시 시간을 사용하였다. 통제 집단은 통제-300 ms 집단(n=5), 통제-500 ms 집단(n=7)으로 구성하여 중성-중성 자극 쌍만을 제시하였다. 역시나 집단에 따라 300 ms 혹은 500 ms의 자극제시 시간을 사용하였다. 총 8회기의 ABM 훈련을 완료하고 SADS와 ABS를 재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ABM 훈련 효과는 지시문 집단에서만 나타났다. ABS 감소는 세 집단(명시형 지시문, 암묵형 지시문, 통제)에서 모두 유의하였지만, 명시형 지시문 집단의 처치 효과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SADS 점수 감소는 명시형 지시문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자극제시 시간에 따른 ABM 훈련 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명시형 지시문이 암묵형 지시문에 비해 ABM 훈련 효과를 증진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struction (explicit, implicit) and stimulus presentation time (300 ms, 500 ms) in ABM training. According to th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ADS) and the attention bias score (ABS), 60 undergraduate students were selected. All participan...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제한점들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는 ABM 프로토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었던 지시문과 자극제시 시간에서 벗어나 더 효과적인 프로토콜을 확인하고자 시도했다는 의의가 있다. ABM 훈련이 가장 많이 실시되는 사회불안증상 집단을 대상으로 지시문(명시형 지시문, 암묵형 지시문)과 자극제시 시간(300 ms, 500 ms)에 따라 ABM 훈련을 실시하고 집단 간 효과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명시형 지시문을 사용한 경우 암묵형 지시문을 사용하는 것보다 훈련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이는 300 ms가 주의 탈개입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최적의 시간이 아닐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300 ms에서 지연된 주의 탈개입이 확인된 선행 연구를 기준으로 300 ms와 500 ms의 자극제시 시간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나, 300 ms 보다 짧은 자극제시 시간에서 주의 탈개입의 어려움이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Koster 등(2006)에 의하면 100 ms에서는 촉진된 주의개입과 주의 탈개입의 어려움이 동시에 관찰되었고, 200 ms와 500 ms에서는 주의 이동이 나타났다[30].
  • 우울은 주의편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불안과 상관이 높다[25]. 본 연구에서는 각 집단의 우울 점수 차이에 의한 ABM 훈련 효과 차이를 막기 위해 통합적 한국판 CES-D로 우울 점수를 측정하고 통제 하였다. 이 척도는 Radloff(1977)가 고안한 CES-D 척도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개발된 세 가지 한국판 CES-D를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2001)이 통합하여 20문항의 4점 리커트식 척도로 표준화한 통합적 한국판 CES-D를 사용하였다[26].
  •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증상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ABM 훈련을 실시하여 지시문(암묵형, 명시형)과 자극제시 시간(300 ms, 500 ms)을 다르게 적용하여 훈련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넷째, 자극제시 시간에서는 ABM의 훈련 효과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상적으로 ABM 훈련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주의 이동이 일어난 참가자를 포함할 수 있는 자극제시 시간인 500 ms와 그보다 더욱 짧아 주의 탈개입의 어려움을 더욱 잘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300 ms의 자극제시 시간에 따른 ABM 훈련 효과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자극제시 시간은 상호 작용 효과나 주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전과 사후의 평균차를 비교했을 때, ABS는 500 ms가 300 ms보다 평균차가 더 컸지만 SADS 점수의 평균차는 통제 집단을 제외하고 300 ms가 500 ms보다 큰 양상이 관찰되었다.
  • 사회불안증상 집단에서 지시문과 자극제시 시간에 따른 ABM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집단과 측정 시기에 따라 주의편향 점수(ABS)와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 척도(SADS) 점수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지시문, 자극제시 시간, 측정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지시문(명시형, 암묵형, 통제 집단)과 자극제시 시간(300 ms, 500 ms)을 참가자간 변인으로, 측정 시기(사전, 사후)를 참가자내 변인으로 하여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
  •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임상군 중 ABM 훈련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사회불안증상 집단을 대상으로 지시문(암묵형, 명시형)과 자극제시 시간(300 ms, 500 ms)에 따라 ABM 훈련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 ABM 훈련 프로토콜의 표준화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 Y. Shin, M. H. Hyun, "Time-course of attentional bias for threatening stimulus in anxiety-prone individual",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Vol.26, No.2, pp.207-223, 2007. 

  2. B. Bandelow, M. Reitt, C. Rover, S. Michaelis, Y. Gorlich, D. Wedekind, "Efficacy of treatments for anxiety disorders: a meta-analysis", International Clinical Psychopharmacology, Vol.30, N0.4, pp.183-192, 2015. DOI: https://doi.org/10.1097/YIC.0000000000000078 

  3. S. G. Hofmann, A. Asnaani, I. J. Vonk, A. T. Sawyer, A. Fang, "The efficacy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 review of meta-analyse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36, No.5, pp.427-440, 2012. DOI: https://doi.org/10.1007/s10608-012-9476-1 

  4. Y. Bar­Haim, "Research review: attention bias modification (ABM): a novel treatment for anxiety disorder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51, No.8, pp.859-870, 2010. DOI: https://doi.org/10.1111/j.1469-7610.2010.02251.x 

  5. K. Mogg, A. M. Waters, B. P. Bradley, "Attention bias modification (ABM): Review of effects of multisession ABM training on anxiety and threat-related attention in high-anxious individuals", Clinical Psychological Science, Vol.5, No.4, pp.698-717, 2017. DOI: https://doi.org/10.1177/2167702617696359 

  6. J. M. Cisler, E. H. Koster, "Mechanisms of attentional biases towards threat in anxiety disorders: An integrative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30, No.2, pp.203-216, 2010. DOI: https://doi.org/10.1016/j.cpr.2009.11.003 

  7. B. Van Bockstaele, B. Verschuere, H. Tibboel, J. De Houwer, G. Crombez, E. H. Koster, "A review of current evidence for the causal impact of attentional bias on fear and anxiety", Psychological bulletin, Vol.140, No.3, pp.682, 2014 DOI: https://doi.org/10.1037/a0034834 

  8. C. MacLeod, A. Mathews, P. Tata, "Attentional bias in emotional disord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95, No.1, pp.15, 1986. DOI: https://doi.org/10.1037/0021-843x.95.1.15 

  9. C. MacLeod, E. Rutherford, L. Campbell, G. Ebsworthy, L. Holker, "Selective attention and emotional vulnerability: assessing the causal basis of their association through the experimental manipulation of attentional bia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11, No.1, pp.107, 2002. DOI: https://doi.org/10.1037/0021-843X.111.1.107 

  10. N. Amir, C. Beard, C. T. Taylor, H. Klumpp, J. Elias, M. Burns, X. Chen, "Attention training in individuals with generalized social phob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77, No.5, pp.961, 2009. DOI: https://doi.org/10.1037/a0016685 

  11. H. Lowther, E. Newman, "Attention bias modification (ABM) as a treatment for child and adolescent anxiety: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168, pp.125-135, 2014 DOI: https://doi.org/10.1016/j.jad.2014.06.051 

  12. C. MacLeod, A. Mathews, "Cognitive bias modification approaches to anxiety",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Vol.8, pp.189-217, 2012. DOI: https://doi.org/10.1146/annurev-clinpsy-032511-143052 

  13. J. M. Cisler, A. K. Bacon, N. L. Williams,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attentional biases towards threat: A critical review",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33, No.2, pp.221-234, 2009. DOI: https://doi.org/10.1007/s10608-007-9161-y 

  14. M. W. Eysenck, M. G. Calvo, "Anxiety and performance: The processing efficiency theory", Cognition & emotion, Vol.6, No.6, pp.409-434, 1992. DOI: https://doi.org/10.1080/02699939208409696 

  15. E. H. Koster, G. Crombez, B. Verschuere, J. De Houwer, "Selective attention to threat in the dot probe paradigm: Differentiating vigilance and difficulty to disengage",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2, No.10, pp.1183-1192, 2004. DOI: https://doi.org/10.1016/j.brat.2003.08.001 

  16. C. MacLeod, P. J. Clarke, "The attentional bias modification approach to anxiety intervention", Clinical Psychological Science, Vol.3, No.1, pp.58-78, 2015. DOI: https://doi.org/10.1177/2167702614560749 

  17. A. Heeren, C. Mogoase, P. Philippot, R. J. McNally, "Attention bias modification for social anxie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40, pp.76-90, 2015. DOI: https://doi.org/10.1016/j.cpr.2015.06.001 

  18. E. H. Koster, B. Verschuere, G. Crombez, S. Van Damme, "Time-course of attention for threatening pictures in high and low trait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3, No.8, pp.1087-1098, 2005. DOI: https://doi.org/10.1016/j.brat.2004.08.004 

  19. Y. P. Chen, A. Ehlers, D. M. Clark, W. Mansell, "Patients with generalized social phobia direct their attention away from fac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0, No.6, pp.677-687, 2002. DOI: https://doi.org/10.1016/S0005-7967(01)00086-9 

  20. E. Fox, "Processing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The role of anxiety and awareness", Cognitive, Affective, & Behavioral Neuroscience, Vol..2, No.1, pp.52-63, 2002. DOI: https://doi.org/10.3758/cabn.2.1.52 

  21. J. Moriya, Y. Tanno, "The time course of attentional disengagement from angry faces in social anxiety",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Vol.42, No.1, pp.122-128, 2011. DOI: https://doi.org/10.1016/j.jbtep.2010.08.00 

  22. N. Y. Park, Kang, The Effects of stimulus presentation time in attention bias modification training on negative interpersonal experienced, Master's thesis, Busan University of Psychology, Busan, Korea, pp.47-57, 2017. 

  23. C. MacLeod, A. Mathews, "Anxiety and the allocation of attention to threat",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Vol.40, No.4, pp.653-670, 1988. DOI: https://doi.org/10.1080/14640748808402292 

  24. Y. K. Hong, J. H. Moon, H. J. Jo,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2",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Vol.30, No.1, pp.117-134, 1997. 

  25. L. S. Hallion, A. M. Ruscio,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cognitive bias modification on anxiety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bulletin, Vol.137, No.6, pp.940, 2011. DOI: https://doi.org/10.1037/a0024355 

  26. K. K. Chon, S. C. Choi, B. C. Yang,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Psychology:health, Vol.6, N0.1, pp.59-76, 2001. 

  27. N. C. Ebner, U. Lindenberger, "FACES-A database of facial expressions in young, middle-aged, and older women and men: Development and validation",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2, N0.1, pp.351-362, 2010. DOI: https://doi.org/10.3758/brm.42.1.351 

  28. A. Lazarov, R. Abend, S. Seidner, D. S. Pine, Y. Bar-Haim, "The effects of training contingency awareness during attention bias modification on learning and stress reactivity", Behavior Therapy, Vol.48, No.5, pp.638-650, 2017. DOI: https://doi.org/10.1016/j.beth.2017.03.002 

  29. S. Eldar, A. Apter, D. Lotan, K. P. Edgar, R. Naim, N. A. Fox, Y. Bar-Haim, "Attention bias modification treatment for pediatric anxiety disord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69, No.2, pp.213-230, 2012. DOI: https://doi.org/10.1176/appi.ajp.2011.11060886 

  30. E. H. Koster, G. Crombez, B. Verschuere, J. De Houwer, "Attention to threat in anxiety-prone individuals: Mechanisms underlying attentional bia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30, No.5, pp.635-643, 2006. DOI: https://doi.org/10.1007/s10608-006-9042-9 

  31. L. Pessoa, M. McKenna, E. Gutierrez, L. G. Ungerleider, "Neural processing of emotional faces requires atten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99, No.17, pp.11458-11463, 2002. DOI: https://doi.org/10.1073/pnas.172403899 

  32. D. Derryberry, M. A. Reed, "Anxiety-related attentional biases and their regulation by attentional control",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11, No.2, pp.225, 2002. DOI: https://doi.org/10.1037/0021-843X.111.2.225 

  33. M. W. Eysenck, N. Derakshan, R. Santos, M. G. Calvo, "Anxiety and cognitive performance: attentional control theory", Emotion, Vol.7, No.2, pp.336, 2007. DOI: https://doi.org/10.1037/1528-3542.7.2.3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