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제결합법을 활용한 한국적 패션디자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Fashion Design Using the Forced-Relationship Techniques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4 no.5, 2020년, pp.21 - 34  

김한나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서승희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Korean fashion design using forced-relationship techniques and the traditional hanbok Korean dress and Korean traditional images as the source of the ideas. The research methods consisted of literature research and design production. In the literature r...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창의적 발상기법인 강제결합법을 사용하여 한국의 전통 복식인 한복과 한국적 이미지를 발상의 근원으로 한 새로운 한국적 패션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강제결합법은 전혀 관계가 없어 보이는 다양한 이미지를 강제적으로 연관시켜 새로운 패션디자인을 도출하는데 효과적인 발상법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고정된 요소와 임의의 요소를 대입시켜 창의적으로 발상을 가능케 한 '집중된 객체 기법'의 강제결합법을 활용하였다.
  • 시각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요소를 맥락적인 연계 없이 무작위로 적용하는 포스트모던적 사고의 확장에 효과적인 강제결합법을 적용한 본 연구의 디자인 개발에는 전체적으로 한국적인 디자인 요소를 디자인의 형태와 디테일 요소로, 펑크 요소를 아이템과 색상, 소재, 부자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 가치가 담긴 한국적 이미지를 젊은 감성의 펑크 스타일에 적용함으로써 현대적인 한국적 패션디자인 개발의 다양한 가능성의 일례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한복과 한국적 이미지를 디자인 발상의 소스로 활용하여 강제결합법을 적용한 한국적 패션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전통적 가치와 차별화된 글로벌 감성의 새로운 패션 디자인 개발을 모색함으로써, 한류 시장에서 차별화된 K-패션 또는 한국적 문화 콘텐츠를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 이에 본 연구는 한복과 한국적 이미지를 디자인 발상의 소스로 활용하여 강제결합법을 적용한 한국적 패션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전통적 가치와 차별화된 글로벌 감성의 새로운 패션 디자인 개발을 모색함으로써, 한류 시장에서 차별화된 K-패션 또는 한국적 문화 콘텐츠를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 한국적 패션디자인 개발이라는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 고찰을 위해 본 절에서는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개념과 더불어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모태가 되는 한복의 구성과 구조, 디자인 요소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복의 구성과 구조는 궁중 복식과 서민 복식에 있어 차이가 있는데, 역사적으로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은 상류층의 궁중 복식에 비해 서민층에서 한국 고유의 전통 복식을 전수해 온(Cho, 1989) 서민 복식은 한국의 정서를 담은 한국 고유 문화의 산물이라고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서민 복식의 한복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가설 설정

  • 작품의 개발 과정은 첫째, '한국적 패션디자인'으로 주제설정하였다. 둘째, 주제에 따라 한복·한국적 이미지를 고정된 요소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Cha, S. (2015). A study on the Korean fashion and sustain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 Chae, S. (2006). Study on living 'hanbok' or Korea traditional costume that applied the traditional patter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3. Cho, H. (1989). 복식 [Costume]. Seoul: Daewonsa. 

  4. Cho, O. (2004). A study on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and modernized hanbok. The Journal of Design Center, 2004(9), 113-130. 

  5. Chung, I. (2013). Item development for fashion products using creative thinking methods: A case of velvet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2), 213-223. doi:10.5850/JKSCT.2013.37.2.213 

  6. English, B. (2007). A cultural history of fashion in the 20th century. Oxford & New York: Berg. 

  7. Ha, S. (2012). Design and development of a wedding dress using a traditional Teoksal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2(3), 23-41. 

  8. Hanbok Advancement Center. (n.d.). Basic hanbok for men and women. Retrieved October 25, 2018, from http://www.hanbokcenter.kr/user/nd79287.do 

  9. Heo, E. (2011). A study of idea generation applicating as language and visul-scandal in poster design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10. Jeon, K. (2014). Introduction to creative education: Theory & practice (Rev. ed.). Seoul: Changjisa. 

  11. Jeong, J., & Kim, Y. (2019). A study on women's costume apply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2(2), 5-18. doi:10.16885/jktc.2019.06.22.2.5 

  12. Jeong, B. (2017). A study on expression of flower images through symbolism of traditional colors: Forced on the researcher's wo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3. Kim, E. (2004).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Korean design in modern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E. (2013).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women's upper clothing based on a traditional Korean style using the decorative techniques of the Jatmulim.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2), 202-209. doi:10.5805/SFTI.2013.15.2.202 

  15. Kim, E., & Lim, R. (2009). 역사 속의 우리옷 변천사 [A history of the transition of our clothes in history].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16. Kim, E. Y., Kim, E. J., & Lee, M. (2012).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elements in Korean and Chinese fashion design in: Lie Sang Bong and Vivienne Tam.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0(8), 1-11. doi:10.6115/khea.2012.50.8.001 

  17. Kim, H. (2007). Fashion trend and image. Paju: Kyomunsa. 

  18. Kim, I. (2015). New paradigm of Korean-style fashion design.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8(4), 99-112. doi:10.16885/jktc.2015.12.18.4.99 

  19. Kim, Y. (1992). 한국의 복식미 [The beauty of Korea costume]. Seoul: Minumsa. 

  20. Kim, Y. (2009). 한국 복식미 탐구 [Explore the beauty of Korean dress]. Seoul: Gyeongchunsa. 

  21. Kim, M. (2009).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제다움 찾기 : 전통미와 현대적 활용을 중심으로 [Finding the Je-daum of Korean fashion design: Focusing on the aesthetics of tradition and its modern adaptation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2. Kim, S. (2012). Grotesque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Gareth Pugh collec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2(4), 1-15. 

  23. Kim, Y., & Geum, K. (2008). Heterogeneous fusion design and perceptive action in contemporary fashion: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Henri Bergs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10), 78-94. 

  24. Kim, Y., & Park, H. (2010). Study on a creative fashion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rough idea classification.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9), 95-105. 

  25. Kim, Y., Ahn, S., & Cho, S. (2009). 서양복식문화의 현대적 이해 [Understanding of western costume for fashion design]. Seoul: Gyeongchunsa. 

  26. Koo, S. (2015). A search on collaborative methods of shape creating by forced combination. Korea Science & Art Forum, 21, 9-18. doi:10.17548/ksaf.2015.09.21.9 

  27. Kwon, S., & Park, S. (2006). A study on wedding dress design for modern application of traditional costum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6(2), 55-75. 

  28. Lee, J. J., & Park, E. K. (2006). Lifestyle & trend (Rev. ed.). Seoul: Yekyong. 

  29. Lee, C. (2013). Development of modern shroud design according to the changes of women's hanbok: Focused on the women's jeogori, skirt and underwear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30. Lee, H. (2017). A study on the creative fashion design process: Focusing on Dieffenbacher's the design cyc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31. Lee, J., & Kim, W. (2013). Hanbok construction systematizing theory. Seoul: Kyungchoonsa. 

  32. Lee, M., & Cho, K. (2009). A study on the wedding dress design of Korea images: Focused on pear blossoms pattern and dang-ui(唐衣) imag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3(5), 23-36. 

  33. Lee, Y., & Kim, S. (2009). Expressive properties of simulation hair style in John Galliano coll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15(4), 405-415. 

  34. Michalko, M. (2001). Cracking creativity. (J. Park, & K. Lee, Trans.). Seoul: Prunsol. (Original work published 1998). 

  35. Michalko, M. (2013). Creative thinkering. (J. Park, Trans.). Seoul: Happy Book. (Original work published 2011). 

  36. Murayama, J. (2017). 근대문화사 읽기로서의 조선의 복장 [Joseon's clothes as reading the history of modern culture]. Seoul: Minsokwon. 

  37. Park, H.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initiating design education program using various thinking methods: Focused on middle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38. Park, H., & Kan, H. (2013).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grotesque in contemporary fashion collection: Focus on Damien Hirst's wor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3), 399-412. doi:10.5850/JKSCT.2013.37.3.399 

  39. Park, M. (2009). The study on the conception teaching method utilizing mind map and forced rel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40. Park, M., & Shim, S. (2016). Modern fashion design development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6(2), 134-147. 

  41. Rouse, E. (2003). Understanding fashion. (J. Lee, Trans.). Seoul: Sizirak. (Original work published 1989). 

  42. Shim, H. (2009). 우리 옷 만들기 [Making our clothes]. Seoul: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43. Shim, S. (2006). Study on high-class oriented character in fashion design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beau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44. Sklar, M. (2013). Punk style. London, UK: Bloomsbury. 

  45. Song, H. (2010). A study on fashion design by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flowered-wall motives: Focused on flower patterns.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0(1), 41-56. 

  46. Suh, J., & Kim, J. (2015). Study on the fashion design of crochet lace of combined traditional Korean painting of flower and bird patterns: Focused on the laser cutting techniqu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3(3), 67-73. doi:10.35226/kskd.2015.13.3.67 

  47. Suh, S., & Kim, H. (2019). Analysis of Korean fashion design from the viewpoint of Simulacr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3(5), 19-30. doi:10.12940/jfb.2019.23.5.19 

  48. Thorpe, S. (2001). How to think like Einstein: Simple ways to break the rules and discover your hidden genius (H. Kim, Trans.). Seoul: Seed Book. 

  49. Whiting, C. S. (1958). Creative thinking. New York: Reinhold. 

  50. Yoon J., & Woo, H. (2011). A study on the modern fashion design applying the characteristic of Hanbok.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4(1), 77-90. 

  51. Yoon, J., & Oh, Y. (2009).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ying the images of the Han 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5(4), 356-369. 

  52. Yoon, S. & Park, H. (2014). A qualitative study of applying creative thinking methods to Surface pattern design developments: Focused on methods of Scamper, Synectics and Forced Connection.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44, 281-295. doi:10.21326/ksdt.2014..44.024 

  53. Yu, K., & Kim, T. (2008).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use of palace an danchung in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1(3), 11-30. 

  54. Yu, M. (2007).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ethod of art class of elementary school using creativity techniqu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