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닥섬유 특성을 이용한 패션 주얼리 표현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Fashion Jewelr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aper Mulberry Fiber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4 no.5, 2020년, pp.35 - 51  

이지현 (군장대학교 패션산업과) ,  전양배 (군장대학교 패션산업과) ,  간호섭 (홍익대학교 섬유미술 패션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atisfy consumers' desire to enjoy their own individuality and cultural trends, the discovery of various materials and the expression of materials embodying their characteristics ar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fashion jewelry industry. This study examines, paper mulberry fiber, a raw material ...

주제어

표/그림 (3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닥섬유 소재를 패션 주얼리 소재로써 기능성, 내구성 및 디자인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닥섬유 중량 및 건조 실험을 실시하여 패션 주얼리의 성형 조건을 도출하고자 한다.
  • 닥섬유 캐스팅 성형 기법은 기존의 캐스팅 기법과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문양 선택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이 가능함을 증명하고 닥섬유에 캐스팅 실험과 적용 방법에 따라 정리하면서 건조했을 때 문양의 선명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 닥섬유를 재질감이 있는 망으로 감싸고 압력을 가하여 성형물의 표면에 압력 흔적을 남기는 성형 방법으로 개발을 위한 실험을 실시하고 순서에 따라 정리하여 성형 방법을 확립하고자 한다.
  • 전통적으로 한지와 닥섬유의 활용은 다양한 공예기법을 통해 안경집, 술잔, 요강 같은 생활 소품에서 내의, 두루마기, 갑옷까지 용도에 따라 염색과 바느질, 엮기 등의 방법으로 생활에서 쓰임새가 다양했음을 알 수 있다. 닥섬유의 활용은 현재까지도 전통공예기법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데 닥섬유가 활용된 전통과 현대의 공예품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작품 현황과 각각의 특징을 통해 닥섬유 활용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닥섬유 물성이 지닌 조형적 특성을 활용하여 패션 주얼리를 성형하는 조건에 대하여 알아보고 다양한 재질감 표현을 연구하여 작품 제작을 통해 상품화 가능한 닥섬유 패션 주얼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신소재 발굴과 다양한 재료의 조합으로 패션 주얼리의 제한된 소재의 범위를 넘어 새로운 시각의 패션 주얼리 산업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부가가치 창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닥섬유 물성이 지닌 조형적 특성을 활용하여 패션 주얼리를 성형하는 조건에 대하여 알아보고 다양한 재질감 표현을 연구하여 작품 제작을 통해 상품화 가능한 닥섬유 패션 주얼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신소재 발굴과 다양한 재료의 조합으로 패션 주얼리의 제한된 소재의 범위를 넘어 새로운 시각의 패션 주얼리 산업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부가가치 창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 닥섬유가 산업화의 소재로 활용되기 위한 요건을 충족시키고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심화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실험을 통해 닥섬유의 물성을 바탕으로 닥섬유에 풀을 섞지 않고 패션 주얼리를 표현할 수 있는 성형 조건과 기법을 연구하여 닥섬유가 다양한 표현이 가능함을 증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하여 닥섬유의 경량화, 염색성, 조형적 특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을 담아낸 패션 주얼리가 미래 패션 주얼리 산업의 시장 확대에 따른 향후 기술 수요 변화에 능동 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하였다. 이에 소재의 습윤 시 가변성에 따라 패션 주얼리의 다양한 표현기법들이 디자인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어 차별화된 부가가치 창출의 방향성이 제시되었다.
  • 종이는 우리의 일상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소재로써 매우 친숙하고 자연스러운 경향이 있지만 그만큼 새로운 수요시장의 창출을 위해서는 종이의 물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활용할 수 있는 특성을 찾아낼 필요성이 있다. 선행연구를 보면 이미 많은 작가들이 종이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철학을 투영하여 다양한 작업을 해온 것을 알 수 있는데 선행 연구사례를 살펴보면서 종이 주얼리에 대한 연구현황과 접근 방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특히 패션 주얼리의 소재의 융합, 신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천연 소재를 비롯한 인공적으로 가공된 소재들이 자유로운 표현을 전제로 다양하게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특징을 패션 주얼리에 주로 사용되는 소재를 중심으로 정리해 보면서 확인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wang, W. (2011). A Study on lighting design using Dak-Fiber Materi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2. Jang, H. (2009). A study on the activities of art expression through the use of traditional paper clay craft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ju University of Education, Jeonju, Korea. 

  3. JannaSyvanoja Necklace, 2017. (n.d.). Retrieved August 24, 2020, from http://www.jannasyvanoja.com/ 

  4. JannaSyvanoja Necklace, 2018. (n.d.). Retrieved August 24, 2020, from http://www.jannasyvanoja.com/ 

  5. Jeon, Y. (2012). Study on the shroud design adapting Korean paper HanjI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6. Jiho Craft Jangdokdae2, 2018. (n.d.). Retrieved September 18, 2020, from http://www.mu-um.com/?mid03&actdtl&idx6004 

  7. Joo, H. (2015). A study on paper jewellery based on formarive principles of repetition, intergration and overlap: With a focus on symbolism of circ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s University, Seoul, Korea. 

  8. Jung, D, & Yoon, H. (1999). 겨레과학인 우리 공예 [Korean craftsmanship]. Seoul: Misokwon. 

  9. Kang, J., & Ju, Y. (2005). Manufacture of Hwaseonji(korean traditional paper) using various kinds of short-length fiber pulps. Journal of Korea TAPPI, 37(2), 78-86. 

  10. Kim, H. (2007). Studies on the mechan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Hanji(Korean paper) yar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buk, Korea. 

  11. Kim, M. (2012). Preferences for fashion jewelry depending on consumption valu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12), 567-576. doi:10.5392/JKCA.2012.12.12.567 

  12.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2013). Craft trend fair 2013. Seoul: KCDF 

  13. Korean Traditional Oil Paper Ling, 2009. (2009). Retrieved August 24, 2020, from https://heejookim.com/fifth-season/fifth-season-2/2009-2/#jp-carousel-992 

  14. Lee, S. (2002).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한지 [Our Hanji we really need to know]. Seoul: Hyeonamsa. 

  15. Lee, S. (2005). Fashion jewelry brand industry's situation and its implication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9(2), 131-142. 

  16. Lee, S., & Boo, J. (2005). Fashion jewelry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Store retailing and non-store retail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3(1), 121-132. 

  17. Lee, Y & Kim H. (2011). A study on color mix development of mulberry textile and expression of Hanji form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 & Design, 14(1), 76-91. 

  18. Mhin, S. & Nah, K. (2015). Study of costume jewelry design components - Focused on emotional value according to market change.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33, 305-314. 

  19. Myung Urso, Necklace, 2010. (n.d.). Retrieved August 24, 2020, from http://www.myungurso.com/work_2010.html 

  20. Myung Urso, Brooch, 2016. (n.d.). Retrieved August 24, 2020, from http://www.myungurso.com/work_2016.html 

  21. Paper Mulberry Fiber Brooch, 2020. (2020). Retrieved August 18, 2020, from https://hayko.tv/kit_craftspace/CELET7XJrfx 

  22. Park, C. (2017). The study of objet expression of contemporary jewelr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Hanji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23. Pierre, M. (2000). 종이 일상의 놀라운 사건 [Amazing events in paper everyday]. Seoul: Sigongsa. 

  24. Shin, J. (2014). The study on jewelry design with various materials, Journal of Digital Design, 14(3), 615-624. 

  25. Wologok Jewelry Foundation Research Center. (2020). WJRC annual report 2020. Wolgok: WJRC. 

  26. Yang, M.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raft products using the mulberry fib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ju University, Jeonju, Kore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